KR960009418Y1 - 천정판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판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418Y1
KR960009418Y1 KR2019930008704U KR930008704U KR960009418Y1 KR 960009418 Y1 KR960009418 Y1 KR 960009418Y1 KR 2019930008704 U KR2019930008704 U KR 2019930008704U KR 930008704 U KR930008704 U KR 930008704U KR 960009418 Y1 KR960009418 Y1 KR 960009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ap
nut
bar
ce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922U (ko
Inventor
김도범
Original Assignee
김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범 filed Critical 김도범
Priority to KR2019930008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418Y1/ko
Publication of KR940026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정판 부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리드볼트 5 : 리드바
7 : 리드캡 9 : 너트
본 고안은 건물 내부의 스라브 천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천정판(석고보드)을 부착하기 위한 천정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리드캡 상면 중앙으로 너트를 유설하여 리드볼트를 나사결합한 후, 리드볼트를 스라브상에 스크류앵커를 이용 고착시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한 너트의 조정으로 리드캡의 높이를 조절 가능토록 함으로서 리드캡에 결합된 리드바의 수평조정이 용이토록 한 천정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부의 스라브 천정면에는 석고보드 등으로 된 천정판을 부착시켜 미장재로 마감처리 하였는바,
이 같은 종래의 천정판 부착방식은 스라브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목재로 된 지지틀을 종횡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한 후 지지틀 상에 천정판에 맞접시켜 스크류를 이용 고정 부착하였으나,
이는 지지틀이 설치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이 낮거나 높은 등 정확하게 수평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을 뿐 아니라 시공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드볼트와 리드캡 그리고 리드바 등으로 이루어진 부착장차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리드캡의 중앙으로 볼트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에 리드볼트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리드캡 저면으로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리드캡을 리드볼트와 결합시킨 후, 리드캡에는 다시 리드바를 결합하여 리드바의 주면상에 천정판을 맞접시켜 스크류를 이용 수착하였으나 이는 종횡으로 길게 연설되는 리드바의 수평조정시 반드시 리드바를 리드캡에서 탈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수평조정 또한 다수의 리드볼트에 나사 결합된 리드캡의 높이를 일일히 모두 맞춰 수평조정을 함에 따른 불편함과 정확한 수평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드바를 리드캡에서 탈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평조정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천정판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스라브 천정면(1)에 스크류앵커(2)로 고정되는 ㄱ자형 리드볼트(3)에 전,후 양측으로 안내홈(4)(4')이 형성된 리드캡(7)을 결합하고,
상기 안내홈(4)(4')에는 리드바(5)의 가이더(6)(6')가 끼워져 이동가능케 한 천정판 부착장치(S)에 있어서,
리드캡(7)의 정중앙에는 관통공(8)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8) 상에 너트(9)의 저부에 일체화된 리벳부(10)를 끼워 리벳팅체결하되,
리드캡(7)의 상면으로 너트(9)를 위치시켜 리드캡(7)에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9)가 회전자재되게 유설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11)는 천정판(12)는 천정판 고정 스크류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자면,
제3도에서와 같이 먼저 ㄱ자형으로 절곡된 리드볼트(3)를 스크류앵커(2)를 이용 스라브 천정면(1)에 고착한 상태에서,
리드볼트(3)에 리드캡(7)의 상면 중앙에 유설된 너트(9)를 나사 결합하여 리드볼트(3)와 리드캡(7)을 상호 결합한 후, 리드캡(7)의 전,후 양측 안내홈(4)(4')에는 리드바(5)의 양측 가이더(6)(6')를 끼워 리드캡(7)에 리드바(5)를 이동 가능케 결합하고,
상기 리드바(5)의 주면상에 천정판(11)을 맞접시켜 천정판 고정 스크류(11)를 이용 부착하는 방식은 통상의 방식과 같은 것이고, 상기한 바에서 다수의 리드캡(7)에 결합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설된 리드바(5)의 수평상태가 맞지 않을 경우는 리드바(5)를 탈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드캡(7)의 상면으로 돌출된 너트(9)를 스패너(미도시됨)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정하면 리드바(5)의 수평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수평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리드바(5)의 주면상에 천정판(11)을 맞접시켜 천정판 고정 스크류(12)를 이용 부착하면 그 시공이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와 같은 본 고안을 리드캡에 결합된 리드바를 탈리하지 않은 상태로도 리드바의 수평조정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수평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른 작업능률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 스라브 천정면(1)에 스크류앵커(2)로 고정되는 "ㄱ"자형 리드볼트(3)에 전,후 양측으로 안내홈(4)(4')이 형성된 리드캡(7)을 결합하고, 상기 안내홈(4)(4')에는 리드바(5)의 가이더(6)(6')가 끼워져 이동가능케 한 천정판 부착장치(S)에 있어서, 리드캡(7)의 정중앙에는 관통공(8)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8) 상에 너트(9)의 저부에 일체화된 리벳부(10)를 끼워 리벳팅체결하되, 리드캡(7)의 상면으로 너트(9)를 위치시켜 리드캡(7)에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9)가 회전자재되게 유설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판 고정장치.
KR2019930008704U 1993-05-21 1993-05-21 천정판 부착장치 KR960009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704U KR960009418Y1 (ko) 1993-05-21 1993-05-21 천정판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704U KR960009418Y1 (ko) 1993-05-21 1993-05-21 천정판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22U KR940026922U (ko) 1994-12-09
KR960009418Y1 true KR960009418Y1 (ko) 1996-10-21

Family

ID=1935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704U KR960009418Y1 (ko) 1993-05-21 1993-05-21 천정판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4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68U (ko) * 2020-04-29 2021-11-08 (주)그렉스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68U (ko) * 2020-04-29 2021-11-08 (주)그렉스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22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311B1 (ko) 재배치가능벽내의패널용발판및수평조절기구
FR2651817B1 (fr) Ferrure reglable permettant la fixation de plaques exterieures de recouvrement de facade.
KR20080012144A (ko) 데크재(deck材)의 고정 장치
KR960009418Y1 (ko) 천정판 부착장치
KR200166400Y1 (ko)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155141Y1 (ko) 칸막이받침대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196201Y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CN217268523U (zh) 一种通用性强的干挂式护墙板安装结构
JPS6414464A (en) Fixture for sheathing board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JPS6316753Y2 (ko)
JPH0346095Y2 (ko)
JPH0541141Y2 (ko)
JPH0411071Y2 (ko)
JPS5838083Y2 (ja) 屋根梁の取付装置
JPH0746661Y2 (ja) 瓦棒用サン棒取付構造
JPS6240166Y2 (ko)
JPS6033206Y2 (ja) 型材の取付装置
JPH0510097Y2 (ko)
JPH03349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