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68U -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68U
KR20210002468U KR2020200001474U KR20200001474U KR20210002468U KR 20210002468 U KR20210002468 U KR 20210002468U KR 2020200001474 U KR2020200001474 U KR 2020200001474U KR 20200001474 U KR20200001474 U KR 20200001474U KR 20210002468 U KR20210002468 U KR 20210002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ir circulation
circulation device
ceil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126Y1 (ko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렉스 filed Critical (주)그렉스
Priority to KR2020200001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2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켓을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공기순환장치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상부 브라켓의 지지플레이트 하부면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며 L자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슬라이드 프레임에, 하부 브라켓의 상부면 양측 끝단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에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으로써, 공기순환장치의 고정 설치를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Bracket for Air Circulation Device}
본 고안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공기순환장치를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을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공기순환장치가 장착되는 하부브라켓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상부 브라켓에 형성된 슬라이드 프레임에 하부 브라켓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을 슬라이드 방식의 끼움 결합함으로써, 공기순환장치의 고정 설치를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 공기의 온도·습도·청정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순환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공기순환장치는 공기의 강제순환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급기팬과 배기팬 등으로 구성되며, 공기순환장치 작동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기순환장치의 견고한 고정 설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공기순환장치의 설치 구조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11543호(1999.02.18.공개)의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에서는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판에 복수개의 걸림편을 형성하고, 공기조화기의 본체에 복수의 걸림공을 형성하여 걸림편과 걸림공간 결합을 통해 공기조화기를 고정설치하는 설치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설치구조는 공기조화기의 천장 설치시 걸림편과 걸림공간 결합이 결합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측방향 외력 작용시, 고정판으로부터 공기조화기가 쉽게 분리되면서 공기조화기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2257호(2001.10.23.공개)의 공기조화기 설치구조에서는 천장 또는 벽면에 2개의 설치판을 앵커볼트로 고정하고, 설치판 사이 내측면과 설치판 외측면으로 각각 공기조화기와 측면판을 배치한 후, 체결재를 통해 공기조화기를 고정설치하는 설치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판과 측면판을 이용한 설치구조는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된 설치판에 측면판 및 공기조화기를 각각 배치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체결재를 통해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설치판과 측면판 및 공기조화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설치판을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공기조화기 또는 측면판의 간섭에 의해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공기조화기 또는 측면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볼트 장착부를 공기조화기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이 증가하면서 설치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고, 공기조화기의 외관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11543호 (1999.02.18.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2257호 (2001.10.23. 공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공기순환장치를 장착하는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는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공기순환장치 장착시 공기순환장치의 안정적인 거치가 발생할 수 있는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공기순환장치 장착시 장착 구조물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설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설치된 공기순환장치의 미관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순환장치를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브라켓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공기순환장치에 장착되고, 상부 브라켓과 연결되는 하부브라켓의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부 브라켓은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구,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며 L자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슬라이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 브라켓은 결합플레이트,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구, 결합구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 끝단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 각각의 측면플레이트 상부 끝단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며 상부 브라켓의 슬라이드 프레임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레일으로 구성되며, 상부 브라켓은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하부 브라켓은 결합구를 관통하여 공기순환장치에 형성된 결합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공기순환장치에 장착되어, 공기순환장치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외측면 표면에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레일의 외측면 표면에는 제1 고정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간 결합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의 요철간 걸림이 발생하면서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슬라이드 프레임 양 끝단의 슬라이드 레일 삽입부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을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각각의 부재를 건물의 설치면과 공기순환장치에 장착한 후, 브라켓 부재간 슬라이드 끼움 결합을 통해 공기순환장치를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순환장치의 설치 공정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간 연결부에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홈 또는 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간 연결시 요철간 걸림이 발생하면서 상하부 브라켓의 분리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의 슬라이드 프레임이 삽입되는 상부 브라켓의 슬라이드 프레임 양측 입구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상하부 브라켓간 연결 작업을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된 상태에서의 브라켓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형상 및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 부재간 슬라이드 끼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과 공기순환장치간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100)과, 공기순환장치(1)가 장착되는 하부브라켓(200)의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부 브라켓(100)은 패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110)에 체결구(111)가 형성되고,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10)의 하부면에는 체결구(11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두 개의 슬라이드 프레임(120)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며, 각각의 슬라이드 프레임(120)은 L자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슬라이드 프레임(120) 사이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200)은 패널 형상의 결합플레이트(210)에 결합구(211)가 형성되고, 결합구(21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결합플레이트(210)의 상부면 양측 끝단으로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220)가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다.
각각의 측면플레이트(220) 상부 끝단에는 슬라이드 레일(230)이 하부 브라켓(200)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며, 돌출된 슬라이드 레일(230)은 상부 브라켓(100)의 슬라이드 프레임(120)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체결구(111)와 결합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결합구(211)는, 브라켓(10)을 통해 공기순환장치(1)를 천정에 장착할 때 공기순환장치(1)의 무게 중심점이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두 개의 슬라이드 프레임(120) 또는 슬라이드 레일(230) 중 어느 한쪽으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지지플레이트(110)의 중앙부 및 두 측면플레이트(220) 사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집중하중 작용에 의한 슬라이드 프레임(120) 또는 슬라이드 레일(230)의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브라켓(100)은 지지플레이트(110)의 체결구(111)를 관통하여 천정 또는 벽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결부재가 결합플레이트(210)의 결합구(211)를 관통하여 공기순환장치(1)에 형성된 결합홈(2)에 체결되며, 하부 브라켓(200)의 슬라이드 레일(230)이 상부 브라켓(100)의 슬라이드 프레임(120)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공기순환장치(1)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된다.
공기순환장치(1)의 설치는 상부 브라켓(100)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기순환장치(1)에 장착된 하부 브라켓(200)을 연결하면서 진행되는데, 상부 브라켓(100)의 양 끝단 중 어느 일측의 슬라이드 프레임(120) 개방부로 슬라이드 레일(230)의 일측 끝단을 삽입한 후, 슬라이드 프레임(120) 외측면에 형성된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어넣으면 슬라이드 프레임(120)과 슬라이드 레일(230)간 슬라이드가 발생하게 된다.
슬라이드 레일(230)의 중앙부가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중앙부에 위치하면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을 결합하는 과정을 완료하게 되는데, 공기순환장치(1)를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간 분리에 따른 낙하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프레임(120)과 슬라이드 레일(230)의 슬라이드 발생 방향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부 브라켓(100)을 벽면에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외측면 표면에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121)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레일(230)의 외측면 표면에는 제1 고정부(12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간 결합시 슬라이드 레일(230)의 중앙부가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중앙부에 위치할 때,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231)의 요철간 걸림이 발생하게 되고, 요철간 걸림 발생에 의해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의 고정이 이루어져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간 분리에 따른 낙하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공기순환장치(1)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공기순환장치(1)의 무게 중심점이 상부 브라켓(100) 및 하부 브라켓(200)의 중심부에 위치하였을 때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231)의 요철간 걸림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슬라이드 프레임(120) 또는 슬라이드 레일(230) 중 어느 한쪽으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10) 및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양 끝단 슬라이드 레일(230) 삽입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테이퍼(taper)가 형성된 삽입부를 통해 슬라이드 레일(230)을 연결함으로써, 공기순환장치(1)를 천정 또는 벽면에 장착시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간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기순환장치
2: 결합홈
10: 브라켓
100: 상부 브라켓
110: 지지플레이트
111: 체결구
120: 슬라이드 프레임
121: 제1 고정부
200: 하부 브라켓
210: 결합플레이트
211: 결합구
220: 측면플레이트
230: 슬라이드 레일
231: 제2 고정부

Claims (3)

  1. 공기순환장치(1)를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브라켓(10)에 있어서,
    브라켓(10)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100)과, 공기순환장치(1)에 장착되고, 상부 브라켓(100)과 연결되는 하부브라켓(200)의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부 브라켓(100)은 지지플레이트(110), 지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체결구(111), 체결구(11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지지플레이트(110)의 하부면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며 L자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슬라이드 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하부 브라켓(200)은 결합플레이트(210), 결합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결합구(211), 결합구(21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결합플레이트(210)의 상부면 양측 끝단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220), 각각의 측면플레이트(220) 상부 끝단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며 상부 브라켓(100)의 슬라이드 프레임(120)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레일(230)으로 구성되며,
    상부 브라켓(100)은 체결구(111)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하부 브라켓(200)은 결합구(211)를 관통하여 공기순환장치(1)에 형성된 결합홈(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공기순환장치(1)에 장착되어, 공기순환장치(1)를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외측면 표면에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121)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레일(230)의 외측면 표면에는 제1 고정부(12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231)가 형성되어,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간 결합시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231)의 요철간 걸림이 발생하면서 상부 브라켓(100)과 하부 브라켓(200)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10) 및 슬라이드 프레임(120) 양 끝단의 슬라이드 레일(230) 삽입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KR2020200001474U 2020-04-29 2020-04-29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KR200495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74U KR200495126Y1 (ko) 2020-04-29 2020-04-29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74U KR200495126Y1 (ko) 2020-04-29 2020-04-29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68U true KR20210002468U (ko) 2021-11-08
KR200495126Y1 KR200495126Y1 (ko) 2022-03-11

Family

ID=7852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74U KR200495126Y1 (ko) 2020-04-29 2020-04-29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2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18Y1 (ko) * 1993-05-21 1996-10-21 김도범 천정판 부착장치
KR19990011543A (ko) 1997-07-24 1999-02-18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KR200170251Y1 (ko) * 1999-08-31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이동식 천정형 에어컨
KR20010002257U (ko) 1998-12-07 2001-10-23 구자홍 공기조화기 설치구조
CN108931005A (zh) * 2018-06-13 2018-12-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18Y1 (ko) * 1993-05-21 1996-10-21 김도범 천정판 부착장치
KR19990011543A (ko) 1997-07-24 1999-02-18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KR20010002257U (ko) 1998-12-07 2001-10-23 구자홍 공기조화기 설치구조
KR200170251Y1 (ko) * 1999-08-31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이동식 천정형 에어컨
CN108931005A (zh) * 2018-06-13 2018-12-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26Y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40B1 (ko) 범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200495126Y1 (ko) 공기순환장치용 브라켓
KR102253733B1 (ko) 내진 성능이 우수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패널 결합구조체
KR101010046B1 (ko) 지붕패널 고정프레임
KR102031421B1 (ko) 프로파일유닛 및 프로파일 구조체
JP5663109B1 (ja) 安全帯取付具および屋根構造
KR101530961B1 (ko) 건축용 벽체패널 조립체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1787617B1 (ko)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
KR100792770B1 (ko) 욕실용 천정패널의 조립구조
KR102352054B1 (ko) 카세트 타입 태양광 모듈 거치 구조물
KR102255117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10170206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구조체
JP5176207B2 (ja) ガラスパネルにおけるガラスの取付け構造
KR101783798B1 (ko) 건축물 천장판넬 설치부재
CN112437586B (zh) 一种机柜空调、机柜及安装方法
JP2006200164A (ja) 軽金属製手摺
KR100528157B1 (ko) 건물의 천정판 지지구조
KR102366965B1 (ko) 터널 방음벽의 천장판 시공방법
CN218149235U (zh) 一种具有辅助拼装结构的聚氨酯保温板
KR101702064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03147957A (ja) 作業用足場
KR20080000871U (ko) 자동차의 윈도우글래스 고정클립
KR102330816B1 (ko) 호차를 구비한 창짝프레임 결합용 코너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