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159B1 -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159B1
KR101826159B1 KR1020160109278A KR20160109278A KR101826159B1 KR 101826159 B1 KR101826159 B1 KR 101826159B1 KR 1020160109278 A KR1020160109278 A KR 1020160109278A KR 20160109278 A KR20160109278 A KR 20160109278A KR 101826159 B1 KR101826159 B1 KR 10182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all
suppor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기
Original Assignee
이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기 filed Critical 이형기
Priority to KR102016010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 부분과 마감재가 거치되는 부분을 분리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효율성을 향상시켜 브래킷의 경량화 및 처짐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 외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 외주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1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제1지지부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에 일면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동브래킷;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타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마감재가 결합되는 거치바; 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제1지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1지지부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벽체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는 제1지지부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는 벽체에 고정되는 보조고정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Bracket for exterior insulation wall}
본 발명은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 부분과 마감재가 거치되는 부분을 분리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효율성을 향상시켜 브래킷의 경량화 및 처짐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에 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의 단열이 결여된 부분에서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여 일어나는 결로 문제로 인한 민원 발생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결로 현상이나 열교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단열 방식 중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 외부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외단열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 외단열 방식에서는 벽체 외부에 단열재가 부착되고 단열재 외부에 조적이나 석재 등의 마감재가 부착되므로, 마감재 부착을 위해 벽체에 별도의 브래킷을 설치하여야 한다.
종래 브래킷은 마감재를 거치하기 위해 내민 부분이 수평을 이루는 L자 앵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앵글의 내민 부분이 마감재 거치와 함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단열 성능에 대한 규정이 강화되면서 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브래킷의 내민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하중 부담이 커지므로, 브래킷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별도의 보강재로 브래킷을 지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단열재는 구조물의 설치 지역이나 용도 등에 따라 두께가 다르게 규정된다. 그러나 기존 브래킷은 일정한 길이로 생산되므로, 단열재의 두께 변화에 따라 브래킷을 일일이 제작하여만 하여 번거로웠다.
뿐만 아니라 종래 브래킷은 L자 앵글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벽체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수가 브래킷의 수평으로 배치되는 레그 부분을 타고 마감재 측으로 흘러나와 줄눈에 백화 현상을 일으킬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브래킷 상부에 별도로 방수지를 덮는 등 방수 처리를 하여야 하였다.
KR 10-2016-0050276 A
본 발명은 브래킷의 하중 부담을 경감하면서 브래킷의 경량화 및 처짐 최소화가 가능한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의 두께 변화에 따라 브래킷을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벽체의 시공 오차 흡수가 용이한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결로수가 브래킷을 타고 마감재 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벽체 외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벽체 외주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1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제1지지부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에 일면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동브래킷;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타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마감재가 결합되는 거치바; 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제1지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1지지부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벽체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는 제1지지부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는 벽체에 고정되는 보조고정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부는 벽체 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2지지부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2지지부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지지부의 마감재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가 제2지지부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에는 거치바가 결합되는 보조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장공이 상하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수평 장공은 수평 방향으로 2열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치바의 일측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벽체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 부착을 위해 브래킷 이용시,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 부분인 고정브래킷 및 가동브래킷과 마감재가 거치되는 거치바를 분리하여 브래킷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브래킷이 충분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 효율 향상에 따른 브래킷의 경량화 및 처짐 최소화가 가능하다.
둘째, 고정브래킷의 제1지지부와 가동브래킷의 제2지지부를 상호 슬라이딩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의 두께 변화에 따라 브래킷을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벽체의 시공 오차 흡수가 가능하다.
셋째, 고정브래킷 및 가동브래킷이 수직 부재로 구성되므로, 평면상 평면이 존재하지 않아 결로수가 브래킷을 타고 마감재 측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구조물의 내구성 및 미관 향상이 가능하다.
넷째, 고정브래킷의 제1지지부와 가동브래킷의 제2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므로, 조적 마감의 경우에도 견고하게 마감재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벽체에 설치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지지부에 확폭부가 형성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5는 보조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7은 보조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길이 조절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와이어에 의하여 벽체에 고정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10은 와이어고정부가 구비된 거치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코너 벽체에 설치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평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벽체에 설치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체(1) 외부에 단열재(2)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3)를 고정하기 위한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에 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은 벽체(1) 외주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1)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51)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1지지부(52)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5); 상기 제1지지부(52)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2지지부(62) 및 상기 제2지지부(62)의 타측에 일면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1)로 구성되는 가동브래킷(6);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61)의 타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마감재(3)가 결합되는 거치바(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벽체(1)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5)과 마감재(3)를 거치하는 거치바(7) 및 고정브래킷(5)과 거치바(7) 사이의 가동브래킷(6)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5)은 고정플레이트(51)와 제1지지부(52)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 구성은 상호 직교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1)는 벽체(1)에 결합되도록 수직 방향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52)는 고정플레이트(51)의 타면에 결합되는 수직 방향 플레이트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1)는 벽체(1)에 앵커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동브래킷(6)은 지지플레이트(61)와 제2지지부(62)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 구성은 상호 직교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2지지부(62)는 제1지지부(5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지지부(52)와 제2지지부(62)를 상호 슬라이딩시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단열재(2)의 두께 변화에 따라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벽체 시공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지지부(52)와 제2지지부(62)에는 상호 대응되는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긴 수평 장공(521, 621)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지지부(52)와 제2지지부(62)의 수평 장공(521, 621)에 볼트(B)를 체결하여 이들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62)와 지지플레이트(61) 또한 수직 방향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바(7)는 지지플레이트(61)의 타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마감재(3)가 거치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기존 브래킷과 달리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을 구성하는 제1지지부(52) 및 제2지지부(62)가 모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마감재(3) 거치를 위해서는 수평 방향의 거치바(7)가 필요하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61) 외측에 수평 플레이트 형상의 거치바(7)를 결합하여 거치바(7) 상부에 마감재(3)가 거치되도록 하였다.
상기 거치바(7)는 가동브래킷(6)의 지지플레이트(61)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 가능하다.
상기 거치바(7)는 마감재(3)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단열재(2)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거치바(7)에는 복수의 마감재(3)가 거치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구성된다.
상기 거치바(7)는 앵글, 플랫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 부분인 고정브래킷(5) 및 가동브래킷(6)과 마감재(3)가 거치되는 부분인 거치바(7)가 분리 구성된다. 따라서 구조적 효율성을 향상시켜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브래킷(5)과 가동브래킷(6)이 모두 수직 부재이므로 평면상 평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로수가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을 타고 마감재(3) 측으로 흘러갈 염려가 없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52) 및 제2지지부(62)는 각각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종래 인방 상부나 수평 방향 신축줄눈(Expansion Joint) 상부 등에는 마감재(3)에 하부 지지구조가 없어 브래킷이 상부 하중을 지지해야 한다.
그러나 조적 마감은 브래킷이 1000㎏ 이상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등 하중 부담이 상당하므로, 기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브래킷으로는 마감재(3)의 하중을 지지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마감재(3)를 별도로 달아매는 형식으로 벽체(1)에 고정하여야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고정브래킷(5)과 가동브래킷(6)의 제1지지부(52) 및 제2지지부(62)를 지면과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세워 구성함으로써, 조적 마감의 경우에도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이 마감재(3)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정브래킷(5) 및 가동브래킷(6)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면서도 마감재(3)는 거치바(7)에 거치할 수 있도록 분리 구성하였다. 따라서 구조 효율을 높임으로써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1)는 제1지지부(5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1지지부(52)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61)는 제2지지부(62)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2지지부(62)의 일측으로 절곡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정플레이트(51) 및 지지플레이트(61)를 제1지지부(52) 및 제2지지부(62)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도록 절곡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브래킷(5) 및 가동브래킷(6)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제1지지부에 확폭부가 형성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52)는 벽체(1) 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지지부(52)의 하부에 확폭부(522)를 형성하여 제1지지부(52)의 상하 폭이 커지도록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은 캔틸레버 구조를 이루므로, 지지점, 즉 벽체(1) 측으로 갈수록 모멘트가 증가한다.
따라서 벽체(1) 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52)를 벽체(1) 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하면, 단면 효율 극대화로 하중의 효과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도 5는 보조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52)의 벽체(1)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는 제1지지부(52)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는 벽체(1)에 고정되는 보조고정플레이트(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5)의 고정플레이트(51)는 제1지지부(52)의 일측에 편측 결합되므로, 마감재(3)의 하중이 큰 경우 편심에 의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51) 반대 측에 보조고정플레이트(53)를 결합하여 제1지지부(52)의 양측에 고정플레이트(51)와 보조고정플레이트(53)를 균형 있게 배치함으로써,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에 발생하는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플레이트(53)는 제1지지부(52)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51)와 보조고정플레이트(53)에는 벽체 앵커(11)의 고정을 위한 앵커공(511, 5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52)의 위치를 기준으로 고정플레이트(51)의 앵커공(511)과 보조고정플레이트(53)의 앵커공(531)을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하면,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을 2개소만 앵커링하여 벽체(1)에 고정하여도 상하 및 좌우로 고른 지지가 가능하다.
이 경우 앵커링 위치의 시공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앵커공(511, 531)은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좌우 시공 오차를 모두 흡수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51)의 앵커공(511)과 보조고정플레이트(53)의 앵커공(531)은 서로 직교하도록 엇갈리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보조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62)의 마감재(3)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가 제2지지부(62)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에는 거치바(7)가 결합되는 보조지지플레이트(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브래킷(6)의 지지플레이트(61)에 거치바(7)의 중앙부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61)만으로도 거치바(7)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호 이웃하는 거치바(7)의 조인트 부분에서는 지지플레이트(61)에 양측의 거치바(7)를 모두 결합해야 하므로, 지지플레이트(61) 반대 측으로 보조지지플레이트(63)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플레이트(63)의 일측 다리부는 제2지지부(62)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가능하다.
상기 보조지지플레이트(63)의 타측 다리부와 거치바(7')도 볼트 또는 용접 결합 가능하며, 볼트 결합시에는 보조지지플레이트(63)의 타측 다리부에 미리 볼트 결합공을 관통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길이 조절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52) 및 제2지지부(6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장공(521, 621)이 상하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볼트(B) 및 너트(N)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평 장공(521, 621)의 길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제1지지부(52)와 제2지지부(62)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브래킷(5)과 가동브래킷(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평 장공(521, 6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트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장공(521, 621)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볼트(B) 및 너트(N)를 결합하여 제2지지부(62)가 회전하지 않고 제1지지부(5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부(62)를 벽체(1)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하는 경우, 제2지지부(62)의 단부와 보조고정플레이트(53)의 일측 다리부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전술한 보조고정플레이트(53)는 제1지지부(52)의 확폭부(522)에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52) 또는 제2지지부(62) 중 어느 하나의 수평 장공(521, 621)은 수평 방향으로 2열 이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부(52) 또는 제2지지부(62) 중 1열인 측의 수평 장공을 수평 장공이 2열로 배열된 측의 제1열이나 제2열의 수평 장공과 일치하도록 하여 볼트(B) 및 너트(N)로 결합함으로써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지지부(52)의 수평 장공(521)이 2열로 배열되고 제2지지부(62)의 수평 장공(621)이 1열로 배열된 경우, 도 8의 (a)와 같이 제1지지부(52)의 2열 측 수평 장공(521)과 제2지지부(62)의 수평 장공(621)을 일치시키면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의 길이가 길어진다(도 8의 (a)).
반대로 제1지지부(52)의 1열 측 수평 장공(521)과 제2지지부(62)의 수평 장공(621)을 일치시키면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의 길이가 짧아진다(도 8의 (b)).
도 9는 와이어에 의하여 벽체에 고정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바(7)의 일측에는 와이어(9)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9)의 타단은 벽체(1) 상부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웃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 사이에 위치되는 거치바(7) 부분에는 길이에 따라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바(7)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9)를 이용하여 거치바(7)를 벽체(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9)의 중간에는 턴버클 등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와이어(9)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10은 와이어고정부가 구비된 거치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바(7)는 일측 다리부가 지지플레이트(61)에 고정되고, 타측 다리부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L자 형의 앵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재(3)는 거치바(7)의 타측 다리부 상부에 거치한다.
상기 거치바(7)의 타측 다리부 일측에는 와이어고정부(8)를 결합하고 와이어(9)를 와이어고정부(8)에 결합하여 거치바(7)를 벽체(1)에 고정할 수 있다.
조적 마감의 경우, 상기 와이어고정부(8)가 마감재(3)에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와이어고정부(8)는 이웃하는 벽돌 사이의 줄눈부에 구비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고정부(8)의 하부 내측에는 거치바(7)의 타측 다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고정부(81)를 절개 형성하여, 와이어고정부(8)를 거치바(7)에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1은 코너 벽체에 설치된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의 평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은 고정브래킷(5), 가동브래킷(6), 보조고정플레이트(53) 및 보조지지플레이트(63)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여 코너 벽체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11의 (a)와 같이 고정플레이트(51)와 제1지지부(52)의 결합 각도를 둔각으로 구성하고, 지지플레이트(61)와 제2지지부(62)의 결합 각도를 예각으로 조절하여 아웃 코너(out corner)에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고정플레이트(53)와 보조지지플레이트(63)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의 절곡 각도 또한 각각 둔각과 예각이 되도록 구성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모서리에서 직교하는 거치바(7, 7')는 단부를 45° 각도로 절단하여 상호 맞닿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와 같이, 고정플레이트(51)와 제1지지부(52)의 결합 각도를 예각으로 구성하고, 지지플레이트(61)와 제2지지부(62)의 결합 각도를 둔각으로 조절하여 인 코너(in corner)에도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고정플레이트(53)와 보조지지플레이트(63)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의 절곡 각도 또한 각각 예각과 둔각이 되도록 구성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모서리에서 직교하는 거치바(7, 7')는 단부를 45° 각도로 절단하여 상호 맞닿도록 결합할 수 있다.
1: 벽체 11: 벽체 앵커
2: 단열재 3: 마감재
4: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5: 고정브래킷
51: 고정플레이트 511: 앵커공
52: 제1지지부 521: 수평 장공
522: 확폭부 53: 보조고정플레이트
531: 앵커공 6: 가동브래킷
61: 지지플레이트 62: 제2지지부
621: 수평 장공 63: 보조지지플레이트
7: 거치바 8: 와이어고정부
81: 삽입고정부 9: 와이어
B: 볼트 N: 너트

Claims (9)

  1. 벽체(1) 외부에 단열재(2)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에 마감재(3)를 고정하기 위한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4)에 관한 것으로,
    벽체(1) 외주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1)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51)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1지지부(52)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5);
    상기 제1지지부(52)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의 제2지지부(62) 및 상기 제2지지부(62)의 타측에 일면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1)로 구성되는 가동브래킷(6);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61)의 타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마감재(3)가 결합되는 거치바(7); 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51)는 제1지지부(5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1지지부(52)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52)의 벽체(1)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는 제1지지부(52)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는 벽체(1)에 고정되는 보조고정플레이트(5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지지부(52)는 벽체(1) 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1)는 제2지지부(62)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2지지부(62)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제2지지부(62)의 마감재(3) 측 단부에는 평면상 V자로 절곡되어 일측 다리부가 제2지지부(62)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에는 거치바(7)가 결합되는 보조지지플레이트(6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7. 제1항에서,
    상기 제1지지부(52) 및 제2지지부(6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장공(521, 621)이 상하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볼트(B) 및 너트(N)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8. 제7항에서,
    상기 제1지지부(52) 또는 제2지지부(62) 중 어느 하나의 수평 장공(521, 621)은 수평 방향으로 2열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9. 제4항에서,
    상기 거치바(7)의 일측에는 와이어(9)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9)의 타단은 벽체(1)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KR1020160109278A 2016-08-26 2016-08-26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KR10182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78A KR101826159B1 (ko) 2016-08-26 2016-08-26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78A KR101826159B1 (ko) 2016-08-26 2016-08-26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59B1 true KR101826159B1 (ko) 2018-02-06

Family

ID=6122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278A KR101826159B1 (ko) 2016-08-26 2016-08-26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13B2 (ja) * 1998-12-28 2001-06-2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KR101129697B1 (ko) * 2011-03-18 2012-04-27 김종성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38691B1 (ko) * 2012-06-19 2013-1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마감재 설치구조
KR101552766B1 (ko) * 2013-05-22 2015-09-11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13B2 (ja) * 1998-12-28 2001-06-2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KR101129697B1 (ko) * 2011-03-18 2012-04-27 김종성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38691B1 (ko) * 2012-06-19 2013-1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마감재 설치구조
KR101552766B1 (ko) * 2013-05-22 2015-09-11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610B2 (en) Wall base structure for light buildings
US7444789B1 (en) Insulated concrete form holder
US20140237934A1 (en) Laser Configured Hook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854772B1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1448097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KR20100078070A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WO2017178971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basement formwork
CN110409811A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KR1014632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 구조체
KR102142230B1 (ko)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KR200442924Y1 (ko) 케이블 받침대의 각도 조절구조
KR101826159B1 (ko)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KR101063846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EP3272959A1 (en) Building wall
KR20170022733A (ko) 구조체 연결유닛
KR102104428B1 (ko)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50121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판넬의 시공구조
KR102026976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KR102400023B1 (ko)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벽체 스터드 구조
KR100983930B1 (ko) 티형 pc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FI107960B (fi) Tukilaite uunia varten
KR102069445B1 (ko)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