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697B1 -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697B1
KR101129697B1 KR1020110024112A KR20110024112A KR101129697B1 KR 101129697 B1 KR101129697 B1 KR 101129697B1 KR 1020110024112 A KR1020110024112 A KR 1020110024112A KR 20110024112 A KR20110024112 A KR 20110024112A KR 101129697 B1 KR101129697 B1 KR 10112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rior
exterior material
hole
bracke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11002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inserted into grooves i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 및 지지핀이 형성되며,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에 상호 연통되는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이 구비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건축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하여 건축외장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브래킷;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제2연결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제2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제2연결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 및 지지핀이 형성되며,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에 상호 연통되는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이 구비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건축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하여 건축외장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은 일정 형태 및 크기로 제작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의 도구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한쪽은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물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 등을 통해서 건축외장재에 설치되는 형태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20)과,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외장재(3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절 브래킷(30)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의 형태가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0)의 수직부(22)는 앵커 볼트(40)를 매개로 벽체(2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 상측에는 조절 브래킷(30)의 일정 부분이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와 조절 브래킷(3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위치 조절공(24a,30a)을 통해 위치조절 볼트(50)와 위치조절 너트(52)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20)에 대한 조절 브래킷(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 브래킷(30)의 바깥쪽 끝단 부분에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하단을 받쳐주는 한편 상단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핀(60)이 꽂히는 핀 공(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60)의 상단 및 하단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는 핀 설치홈(302)이 미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핀 설치홈(302)은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핀 설치홈(302)의 형성 작업은 시공현장에서 작업한 후,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설치 고정작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200) 외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 및 앵커 볼트(40) 등을 매개로 하여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어 건축물의 미관이 더욱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이 보호된다.
한편, 상기 건축외장재(300)는 근래에 들어서면서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면 모서리 부분 4곳에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되어 별도의 고정구를 통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상면 및 하면에 핀 설치홈이 형성된 건축외장재에만 국한되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근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후면에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되는 건축외장재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시공현장에서 건축외장재의 상면 및 하면에 핀 설치홈을 형성하는 작업을 한 후,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하측에 배치된 건축외장재의 상면에 형성된 핀 설치홈과 조절브래킷의 핀공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핀의 상부 돌출부분에 상측에 배치될 건축외장재의 하면 핀 설치홈을 일치시키는 등의 설치과정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건축물의 벽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가 격자 상으로 설치된 건축외장재 중, 어느 하나의 건축외장재가 파손될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외장재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구조로 인하여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의 시공작업 후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 및 지지핀이 형성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에 상호 연통되는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이 구비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부분적인 파손시에 건축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브래킷;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제2연결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제2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제2연결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핀과 전후조절장공 사이에 보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은 상기 좌우조절지지장공 후방 측에 제1보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브래킷은 상기 좌우조절고정장공 후방 측에 상기 제1보조장공과 대응되는 제2보조장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외장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에는 교체용 건축물외장재를 교체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을 따라 교체고정핀이 삽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 및 지지핀이 형성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간편하여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 제1연결브래킷 및 제2연결브래킷에 상호 연통되는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이 구비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부분적인 파손시에 건축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로 고정되는 후면 모서리부에 앵커볼트가 구비된 건축외장재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용상태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는 제1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용상태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는 제2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용상태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는 제3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로 고정되는 후면 모서리부에 앵커볼트가 구비된 건축외장재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용상태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는 제1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용상태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는 제2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용상태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는 제3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축외장재(30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건축외장재(300)는 후면 모서리 부분 4곳에 수직수평방향으로 동일거리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앵커볼트(310, 330)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310, 330) 중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상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외곽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앵커볼트(310, 330) 중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하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30)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외곽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d1, d2)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상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는 "상부앵커볼트(310)"로 명명하기로 하며,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하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는 "하부앵커볼트(330)"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벽체고정브래킷(110), 연결플레이트(130), 제1연결브래킷(150) 그리고 제2연결브래킷(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170)에 수직부(111)의 장공(113)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벽체앵커너트(171)를 체결하여 상기 벽체(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111)의 하단에서 수평부(115)가 직각방향으로 굴절되어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5) 상에는 조절장공(117)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격자타입으로 복수 개가 상호 연결되도록 고정 장착되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앵커볼트(310)로써 고정장착되는 제1수직부(151)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15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부(153)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155)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은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고정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앵커볼트(330')로써 고정장착되는 제2수직부(161)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16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평부(163)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165)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이 고정장착된 상기 상부에 배치된 건축외장재(300')는 하부에 배치된 건축외장재(300)에 고정장착된 제1연결브래킷(150)의 좌우조절지지공(155)에 지지핀(135)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연결플레이트(130)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후방 측에 형성된 전후조절장공(133)이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의 조절장공(117)과 연통되어,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를 전후방향을 조절하여 위치조절볼트(120), 와셔(121) 및 위치조절너트(122)를 통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전방 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1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31)이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수평부(163)에 형성된 좌우조절고정장공(165)에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를 상기 좌우조절고정장공(165) 및 좌우조절지지공(155)을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를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과 연결한 후,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과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의 사이에 배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에 대하여 용이하게 좌우조절 및 전후조절을 하여 이웃하는 건축외장재(300)와 전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정렬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고정핀(131)과 전후조절장공(133) 사이에 보조공(137)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공(137)과 대응되어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은 상기 좌우조절지지장공(155) 후방 측에 제1보조장공(15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공(137) 및 제1보조장공(157)과 대응되어,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의 좌우조절고정장공(165) 후방 측에 제2보조장공(16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보조공(137)과,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의 제1보조장공(157) 및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 배치된다.
상술한 상기 보조공(137), 제1보조장공(157) 및 제2보조장공(167)이 수직 연통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건축물외장재(300, 300', 300") 중, 어느 하나의 건축물외장재(300')가 파손된 경우에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를 교체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를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로 교체할 때에는 상기 보조공(137), 제1보조장공(157) 및 제2보조장공(167)을 따라 교체고정핀(500)이 삽입고정되어,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의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시공된 건축물외장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를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로 교체하는 상태를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라인더 등의 작업도구로 상호 이웃하는 복수 개의 건축물외장재(300, 300', 300")의 이음 부분을 통하여 고정핀(131) 및 지지핀(135)을 절단하여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를 제거한다.
상세히, 상기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의 상부 이음부 측을 통하여서는 지지핀(135)을 절단하며, 하부 이음부 측을 통하여서는 고정핀(131)을 절단하여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가 제거된다.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가 제거된 후에는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물외장재(300")의 하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과 고정된 연결플레이트(130)의 보조공(137)을 임시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하면에 테이프(400)를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테이프(400)는 상부에 배치된 건축물외장재(300")의 전면보다 전방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접착된다.
이후, 교체고정핀(500)이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물외장재(300")의 하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과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보조공(137)을 통하여 상기 테이프(400)의 접착면에 하면이 밀착되도록 삽입고정된다.
이후에는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하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을 임시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의 하면에 테이프(400)를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테이프(400)는 하부에 배치된 건축물외장재(300)의 전면보다 전방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접착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400)의 접착 후에는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전면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건축물외장재(300, 300")의 전면과 일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상부 및 하부에 전방 측으로 돌출된 테이프(400)를 잡아당겨 제거한다.
이때,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돌출된 테이프(400)를 잡아당겨 제거하게 되면,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물외장재(300")의 하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과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보조공(137)을 통하여 삽입고정된 교체고정핀(50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교체고정핀(50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상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에 상기 교체고정핀(500)이 삽입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부에 배치된 건축물외장재(300")와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가 각각의 전면이 일치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하부에 전방 측으로 돌출된 테이프(400)를 잡아당겨 제거하게 되면,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물외장재(300)의 상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을 통하여 삽입고정된 교체고정핀(50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교체고정핀(50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의 하부에 배치된 건축물외장재(300)의 상부에 고정장착된 제2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 및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의 상면에 밀착된 연결플레이트(130)의 보조공(137)에 상기 교체고정핀(500)이 삽입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와 하부에 배치된 건축물외장재(300)가 각각의 전면이 일치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간편한 교체작업을 통하여 파손된 건축물외장재(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외장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벽체고정브래킷(110), 연결플레이트(130), 제1연결브래킷(150) 및 제2연결브래킷(160)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131) 및 지지핀(135)이 형성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10: 벽체고정브래킷
120: 위치조절볼트 130: 연결플레이트
131: 고정핀 133: 전후조절장공
135: 지지핀 137: 보조공
150: 제1연결브래킷 155: 좌우조절지지장공
157: 제1보조장공 160: 제2연결브래킷
165: 좌우조절고정장공 167: 제2보조장공
170: 벽체앵커볼트 200: 벽체
300, 300', 300", 300a': 건축외장재 310, 310', 310a': 상부앵커볼트
311, 311', 311a': 상부앵커너트 330, 330', 330a': 하부앵커볼트
331, 331', 331a': 하부앵커너트 400: 테이프
500: 교체고정핀

Claims (4)

  1. 후방으로 앵커볼트(310, 330, 310', 330')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를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 있어서, 상기 벽체(200)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170)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111)의 하단에서 수평부(115)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5) 상에는 조절장공(117)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110);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310)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151)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15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153)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155)이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브래킷(150);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330')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161)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16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163)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165)이 관통형성되는 제2연결브래킷(160); 그리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과 제2연결브래킷(16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117)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133)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1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31)과 대향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135)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과 제2연결브래킷(16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고정핀(131)과 전후조절장공(133) 사이에 보조공(1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150)은 상기 좌우조절지지장공(155) 후방 측에 제1보조장공(157)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브래킷(160)은 상기 좌우조절고정장공(165) 후방 측에 상기 제1보조장공(157)과 대응되는 제2보조장공(16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137), 제1보조장공(157) 및 제2보조장공(167)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외장재(300, 300', 30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에는 교체용 건축물외장재(300a')를 교체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공(137), 제1보조장공(157) 및 제2보조장공(167)을 따라 교체고정핀(500)이 삽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0110024112A 2011-03-18 2011-03-18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12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112A KR101129697B1 (ko) 2011-03-18 2011-03-18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112A KR101129697B1 (ko) 2011-03-18 2011-03-18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697B1 true KR101129697B1 (ko) 2012-04-27

Family

ID=4614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112A KR101129697B1 (ko) 2011-03-18 2011-03-18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69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27B1 (ko) 2012-07-30 2013-11-05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24726B1 (ko) * 2012-07-30 2013-11-05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1B1 (ko) 2012-08-24 2014-02-27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0B1 (ko)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681930B1 (ko) 2016-02-18 2016-12-02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CN107620442A (zh) * 2017-08-21 2018-01-23 广州市名晋机电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单元式外墙板干挂系统
KR101826159B1 (ko) * 2016-08-26 2018-02-06 이형기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KR102175172B1 (ko) 2020-03-09 2020-11-06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EP3760811A1 (fr) * 2019-07-03 2021-01-06 Fixinox Mecanisme pour coupler mecaniquement des panneaux de facade
KR20220003373A (ko) 2020-07-01 2022-01-10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838A (ja) * 1994-06-10 1995-12-19 Inax Corp 板状建材の固定構造及び板状建材用固定具
JP2004176280A (ja) 2002-11-25 2004-06-24 Tostem Corp 壁面パネル取付構造体
KR200358594Y1 (ko) * 2004-05-20 2004-08-09 강희창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판넬 고정장치
KR100987700B1 (ko) 2010-03-17 2010-10-13 광스틸 주식회사 건물의 외장재와 외단열재 동시 시공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838A (ja) * 1994-06-10 1995-12-19 Inax Corp 板状建材の固定構造及び板状建材用固定具
JP2004176280A (ja) 2002-11-25 2004-06-24 Tostem Corp 壁面パネル取付構造体
KR200358594Y1 (ko) * 2004-05-20 2004-08-09 강희창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판넬 고정장치
KR100987700B1 (ko) 2010-03-17 2010-10-13 광스틸 주식회사 건물의 외장재와 외단열재 동시 시공용 브라켓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27B1 (ko) 2012-07-30 2013-11-05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24726B1 (ko) * 2012-07-30 2013-11-05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4021498A1 (ko) * 2012-07-30 2014-02-06 Kim Do-Yun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1B1 (ko) 2012-08-24 2014-02-27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0B1 (ko)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681930B1 (ko) 2016-02-18 2016-12-02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KR101826159B1 (ko) * 2016-08-26 2018-02-06 이형기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CN107620442A (zh) * 2017-08-21 2018-01-23 广州市名晋机电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单元式外墙板干挂系统
EP3760811A1 (fr) * 2019-07-03 2021-01-06 Fixinox Mecanisme pour coupler mecaniquement des panneaux de facade
BE1027398B1 (fr) * 2019-07-03 2021-02-01 Fixinox Mécanisme pour coupler mécaniquement des panneaux de façade
KR102175172B1 (ko) 2020-03-09 2020-11-06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220003373A (ko) 2020-07-01 2022-01-10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697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US8468765B1 (en) Panel fixing devic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1437429B1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101864841B1 (ko)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30034669A (ko)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KR2013012872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40123307A (ko) 벽체외장패널 조립체
CN112144807A (zh) 一种墙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1208104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485426Y1 (ko) 건축 내외장용 자착식 판넬
JP6239883B2 (ja) 外壁構造
CN205637443U (zh) 活动式装饰板的安装装置
KR20130134245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211396413U (zh) 面板支撑装置及面板安装总成
CN212715578U (zh) 一种幕墙铺设结构
CN211341552U (zh) 调平支撑组件及面板安装总成
CN212176408U (zh) 一种墙面板材结构
JP7202849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架台取付構造
CN211899403U (zh) 安装角码和面板安装总成
JP7193290B2 (ja) 壁つなぎ用治具及び外壁パネル部材
CN109930945B (zh) 隐藏副套的安装方法
JP2020105771A (ja) パネル引き寄せ治具及び建築用パネル取付工法
JP4005975B2 (ja) 外断熱工法を用いた建物の外壁パネル材取付金物
JP6858512B2 (ja) デッ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