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245A -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245A
KR20130134245A KR1020120057633A KR20120057633A KR20130134245A KR 20130134245 A KR20130134245 A KR 20130134245A KR 1020120057633 A KR1020120057633 A KR 1020120057633A KR 20120057633 A KR20120057633 A KR 20120057633A KR 20130134245 A KR20130134245 A KR 2013013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rior
exterior material
bracket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서윤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최서윤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서윤, 김도윤 filed Critical 최서윤
Priority to KR102012005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245A/ko
Publication of KR2013013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상하 및 좌우의 격자 상으로 고정설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 조절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적 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도록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지지공이 관통형성되는 상부 연결브래킷;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고정공이 관통형성되는 하부 연결브래킷; 및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는 한편,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고 다시 전방 측으로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프레임 하면에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는 지지핀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상하 및 좌우의 격자 상으로 고정설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 조절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적 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은 일정 형태 및 크기로 제작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의 도구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한쪽은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물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 등을 통해서 건축외장재에 설치되는 형태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20)과,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외장재(3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절 브래킷(30)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의 형태가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0)의 수직부(22)는 앵커 볼트(40)를 매개로 벽체(2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 상측에는 조절 브래킷(30)의 일정 부분이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와 조절 브래킷(3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위치 조절공(24a,30a)을 통해 위치조절 볼트(50)와 위치조절 너트(52)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20)에 대한 조절 브래킷(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절 브래킷(30)의 바깥쪽 끝단 부분에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하단을 받쳐주는 한편 상단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핀(60)이 꽂히는 핀 공(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60)의 상단 및 하단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는 핀 설치홈(302)이 미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핀 설치홈(302)은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핀 설치홈(302)의 형성 작업은 시공현장에서 작업한 후,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설치 고정작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200) 외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 및 앵커 볼트(40) 등을 매개로 하여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어 건축물의 미관이 더욱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이 보호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건축외장재(300)는 근래에 들어서면서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면 모서리 부분 4곳에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되어 별도의 고정구를 통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상면 및 하면에 핀 설치홈이 형성된 건축외장재에만 국한되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근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후면에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되는 건축외장재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고정핀과 건축외장재의 핀 설치홈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외장재을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즉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외장재의 간격(g)이 연결플레이트의 두께와 대응되는 단일의 간격(g)으로만 정형화되어 고정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건축외장재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외장재의 간격이 정형화되어 건축외장재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건축물의 외관에 대한 미려함을 돋보이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시공현장에서 건축외장재의 상면 및 하면에 핀 설치홈을 형성하는 작업을 한 후,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하측에 배치된 건축외장재의 상면에 형성된 핀 설치홈과 조절브래킷의 핀공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핀의 상부 돌출부분에 상측에 배치될 건축외장재의 하면 핀 설치홈을 일치시키는 등의 설치과정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플레이트 전방부분 하측에 연장프레임을 일체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고정설치시 상하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 조절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적 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상부 연결브래킷 및 하부 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핀 및 지지핀이 형성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도록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지지공이 관통형성되는 상부 연결브래킷;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고정공이 관통형성되는 하부 연결브래킷; 및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는 한편,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고 다시 전방 측으로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프레임 하면에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는 지지핀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고정되는 건축외장재 간의 간격을 일정거리 떨어트려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수직 하향 연장되는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 하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전방부분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수평연장부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기 수평연장부 상측의 전방부분 두께에 대하여 1배의 두께 ~ 10배의 두께 범위로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조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의 하면이 미끄러짐 없이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핀 하단 둘레 일정면적에 대하여 널링가공되어 널링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플레이트 전방부분 하측에 연장프레임을 일체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고정설치시 상하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 조절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적 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다.
둘째, 벽체고정브래킷, 연결플레이트, 상부 연결브래킷 및 하부 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핀 및 지지핀이 형성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로 고정되는 후면 모서리부에 앵커볼트가 구비된 건축외장재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로 고정되는 후면 모서리부에 앵커볼트가 구비된 건축외장재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로 설치고정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는 후면 모서리 부분 4곳에 수직수평방향으로 동일거리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앵커볼트(310, 310', 310", 330, 330', 330")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310, 310', 310", 330, 330', 330") 중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후면 상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 310', 310")는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외곽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앵커볼트(310, 310', 310", 330, 330', 330") 중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후면 하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30, 330', 330")는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외곽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d1, d2)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후면 상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 310', 310")는 "상부앵커볼트(310, 310', 310")로 명명하기로 하며,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의 후면 하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 330', 330")는 "하부앵커볼트(330, 330', 330")"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벽체고정브래킷(110), 연결플레이트(130), 상부 연결브래킷(150) 및 하부 연결브래킷(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170)에 수직부(111)의 장공(113)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벽체앵커너트(171)를 체결하여 상기 벽체(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111)의 하단에서 수평부(115)가 직각방향으로 굴절되어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5) 상에는 조절장공(117)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격자타입으로 복수 개가 상호 연결되도록 고정 장착되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앵커볼트(310)로써 고정장착되는 제1수직부(151)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15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부(153) 상에는 지지공(155)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은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고정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앵커볼트(330')로써 고정장착되는 제2수직부(161)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16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평부(163) 상에는 고정공(165)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이 고정장착된 상기 상부에 배치된 건축외장재(300')는 하부에 배치된 건축외장재(300)에 고정장착된 상부 연결브래킷(150)의 지지공(155)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지지핀(135)에 삽입되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후방 일부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후방 측에 형성된 전후조절장공(133)이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의 조절장공(117)과 연통되어,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에 대한 전후방향을 조절하여 위치조절볼트(120), 와셔(121) 및 위치조절너트(122)를 통하여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전체적으로 보면 장방형의 판 상 플레이트의 전방 부분 하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된 후 절곡되어 다시 전방 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하부 연결브래킷(16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117)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133)이 후방 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 측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131)이 형성되며,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어 다시 전방 측으로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되는 연장프레임(1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장프레임(135)은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고정되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 간의 간격을 일정거리 떨어트려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수직 하향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35a)와, 상기 수직연장부(135a) 하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 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3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연장프레임(135) 중 상기 수평연장부(135b)의 하면에 상기 고정핀(131)과 대향되는 지지핀(137)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하부 연결브래킷(160)을 상호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고정핀(131)이 상향 돌출되는 상측 전방부분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수평연장부(135b)의 상면과의 간격(G)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상측 전방부분 두께(t)에 대하여 1배의 두께 ~ 10배의 두께 범위로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다양한 간격(G)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부분 상측 두께(t)는 상기 연장프레임(135)의 상기 수평연장부(135b) 두께와 동일하게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상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에 대한 상하방향 이웃하는 상기 간격(G)을 조절하여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건축외장재를 비교적 간격(g)이 좁은 정형화된 스타일로 고정설치하던 것과 달리, 비교적 넓은 다양한 간격(G)으로 적용하여 건축외장재의 고정설치 후 외관상 미려함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하면이 미끄러짐 없이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핀(131) 하단 둘레 일정면적에 대하여 널링가공되어 널링면(139)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널링면(139)을 통하여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하면에 대한 미끄러짐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플레이트(130)의 상기 고정핀(131)은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제2수평부(163)에 형성된 고정공(165)이 삽입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상기 지지핀(137)은 하부에 기 설치고정된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의 제1수평부(153)에 형성된 지지공(155)이 삽입되어 지지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를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과 연결한 후,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부분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핀(131) 및 지지핀(137)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건축외장재(300')에 대한 설치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벽체고정브래킷(110), 연결플레이트(130), 상부 연결브래킷(150) 및 하부 연결브래킷(160)으로 구성되는 한편,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 측에 상,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131) 및 지지핀(137)이 형성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연결플레이트(130) 전방부분 하측에 연장프레임(135)을 일체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고정설치시 상하방향 간격(G)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건축외장재를 상호 이웃하는 수직 상하방향에 대한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함에 따라 건축물의 외적 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건축외장재의 상하방향 간격(G)에 대하여서는 실링부재(미부호)를 통하여 실링처리될 수 있고, 이때 실링부재(미부호)의 색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실링부재(미부호)는 시공시 생략하여 상기 간격(G)에 대한 공간을 그대로 비워둘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10: 벽체고정브래킷 111: 수직부
113: 장공 115: 수평부
117: 조절장공 120: 위치조절볼트
121: 와셔 122: 위치조절너트
130: 연결플레이트 131: 고정핀
133: 전후조절장공 135: 연장프레임
135a: 수직연장부 135b: 수평연장부
137: 지지핀
150: 상부 연결브래킷 151: 제1수직부
152: 제1고정공 153: 제1수평부
155: 지지공
160: 하부 연결브래킷 161: 제2수직부
162: 제2고정공 163: 제2수평부
165: 고정공
170: 벽체앵커볼트 171: 벽체앵커너트
200: 벽체
300, 300', 300": 건축외장재
310, 310', 310": 상부앵커볼트
311, 311', 311": 상부앵커너트
330, 330', 330": 하부앵커볼트
331, 331', 331": 하부앵커너트
G: 간격
t: 두께

Claims (4)

  1. 후방으로 앵커볼트(310, 310', 310", 330, 330', 330")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를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도록 건물의 벽체(20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 있어서,
    상기 벽체(200)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170)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111)의 하단에서 수평부(115)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5) 상에는 조절장공(117)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110);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310)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151)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15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153) 상에는 지지공(155)이 관통형성되는 상부 연결브래킷(150);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330')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161)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163)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163) 상에는 고정공(165)이 관통형성되는 하부 연결브래킷(160); 및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하부 연결브래킷(16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117)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133)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131)이 형성되는 한편,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고 다시 전방 측으로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되는 연장프레임(135)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프레임(135) 하면에 상기 고정핀(131)과 대향되는 지지핀(137)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하부 연결브래킷(16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135)은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고정되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 간의 간격을 일정거리 떨어트려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수직 하향 연장되는 수직연장부(135a)와, 상기 수직연장부(135a) 하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 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3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측 전방부분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수평연장부(135b)의 상면과의 간격(G)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상기 수평연장부(135b) 상측의 전방부분 두께(t)에 대하여 1배의 두께 ~ 10배의 두께 범위로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하면이 미끄러짐 없이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핀(131) 하단 둘레 일정면적에 대하여 널링가공되어 널링면(13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0120057633A 2012-05-30 2012-05-3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30134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33A KR20130134245A (ko) 2012-05-30 2012-05-3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33A KR20130134245A (ko) 2012-05-30 2012-05-3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45A true KR20130134245A (ko) 2013-12-10

Family

ID=4998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33A KR20130134245A (ko) 2012-05-30 2012-05-3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8268A (zh) * 2022-04-14 2022-07-08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蜂窝铝复合材料安装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8268A (zh) * 2022-04-14 2022-07-08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蜂窝铝复合材料安装系统
CN114718268B (zh) * 2022-04-14 2023-10-2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蜂窝铝复合材料安装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CN205557972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1129697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A2909961C (en) Auxiliary securing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150144561A (ko)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KR20140022946A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CN204898991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US10928031B2 (en) Indirect light cove
CN105064588A (zh) 一种全新复式吊顶及其安装方法
KR20130134245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104975673A (zh) 应用于拆装式的转角吊顶的夹持器
JP7228453B2 (ja) 廻り縁部材、天井構造、及び天井施工方法
KR2011012698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211341503U (zh) 阴角固定件
CN207974325U (zh) 扣板边龙骨组件
KR200423527Y1 (ko) 천정 마감패널 고정구
JP6239883B2 (ja) 外壁構造
CN204804136U (zh) 斜面扣板及复式吊顶中倾斜面的安装结构
KR2013012872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JP2002004374A (ja) 防水床パンの設置構造
JP5639614B2 (ja) パネル固定具
CN211341545U (zh) 一种墙板卡扣组件
KR100308930B1 (ko) 커튼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