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721A -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721A
KR20130128721A KR1020120052653A KR20120052653A KR20130128721A KR 20130128721 A KR20130128721 A KR 20130128721A KR 1020120052653 A KR1020120052653 A KR 1020120052653A KR 20120052653 A KR20120052653 A KR 20120052653A KR 20130128721 A KR20130128721 A KR 2013012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rior
exterior material
building
fix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서윤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최서윤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서윤, 김도윤 filed Critical 최서윤
Priority to KR102012005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8721A/ko
Publication of KR2013012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설치되는 건축외장재에 대하여 후면을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함과 동시에, 하면을 받침플레이트를 통하여 지지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건축외장재의 설치고정 후 주변도로, 주변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외부 진동에 의한 건축외장재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상부 연결브래킷;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받침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연결브래킷; 및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설치되는 건축외장재에 대하여 후면을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함과 동시에, 하면을 받침플레이트를 통하여 지지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건축외장재의 설치고정 후 주변도로, 주변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외부 진동에 의한 건축외장재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은 일정 형태 및 크기로 제작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의 도구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한쪽은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물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 등을 통해서 건축외장재에 설치되는 형태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20)과,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외장재(3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절 브래킷(30)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의 형태가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0)의 수직부(22)는 앵커 볼트(40)를 매개로 벽체(2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 상측에는 조절 브래킷(30)의 일정 부분이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와 조절 브래킷(3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위치 조절공(24a,30a)을 통해 위치조절 볼트(50)와 위치조절 너트(52)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20)에 대한 조절 브래킷(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 브래킷(30)의 바깥쪽 끝단 부분에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하단을 받쳐주는 한편 상단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핀(60)이 꽂히는 핀 공(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60)의 상단 및 하단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는 핀 설치홈(302)이 미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핀 설치홈(302)은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핀 설치홈(302)의 형성 작업은 시공현장에서 작업한 후,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설치 고정작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200) 외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 및 앵커 볼트(40) 등을 매개로 하여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어 건축물의 미관이 더욱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이 보호된다.
한편, 상기 건축외장재(300)는 근래에 들어서면서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면 모서리 부분 4곳에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되어 별도의 고정구를 통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상면 및 하면에 핀 설치홈이 형성된 건축외장재에만 국한되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근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후면에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되는 건축외장재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시공현장에서 건축외장재의 상면 및 하면에 핀 설치홈을 형성하는 작업을 한 후,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하측에 배치된 건축외장재의 상면에 형성된 핀 설치홈과 조절브래킷의 핀공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핀의 상부 돌출부분에 상측에 배치될 건축외장재의 하면 핀 설치홈을 일치시키는 등의 설치과정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건축물의 벽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가 격자 상으로 설치된 건축외장재 중, 어느 하나의 건축외장재가 파손될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외장재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구조로 인하여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의 시공작업 후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단순히 고정핀만으로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건축외장재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핀 설치홈을 통하여 건축외장재가 고정설치되므로, 주변도로 및 주변공사 등으로 인한 외부 진동의 발생시 고정설치된 건축외장재의 쉽게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연결브래킷의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반구형 또는 만곡 라운드형 받침플레이트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하면 받침홈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받침플레이트를 통하여 건축외장재의 하면 받침홈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설치고정 후 주변도로, 주변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외부 진동에 의한 건축외장재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받침플레이트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 없이 건축외장재의 하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가 전방 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상부 연결브래킷;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받침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연결브래킷; 및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의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건축외장재의 저면에 상향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상 또는 만곡된 라운드 형상의 받침홈과 대응되어 반구 형상 또는 만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상기 건축외장재의 받침홈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홈 내측 상면에 미끄러짐 없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이 형성됨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핀과 전후조절장공 사이에 보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은 상기 좌우조절지지장공 후방 측에 제1보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브래킷은 상기 좌우조절고정장공 후방 측에 상기 제1보조장공과 대응되는 제2보조장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에는 교체용 건축외장재를 교체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 배치되는 상기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을 따라 교체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부 연결브래킷의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반구형 또는 만곡 라운드형 받침플레이트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하면 받침홈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받침플레이트를 통하여 건축외장재의 하면 받침홈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건축외장재의 설치고정 후 주변도로, 주변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외부 진동에 의한 건축외장재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받침플레이트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 없이 건축외장재의 하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가 전방 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로 고정되는 후면 모서리부에 앵커볼트가 구비된 건축외장재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고정 설치된 사용상태 중에서 건축외장재의 파손 전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고정 설치된 사용상태 중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용 건축외장재로 교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로 고정되는 후면 모서리부에 앵커볼트가 구비된 건축외장재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고정 설치된 사용상태 중에서 건축외장재의 파손 전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고정 설치된 사용상태 중에서 파손된 건축외장재를 교체용 건축외장재로 교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2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후방으로 앵커볼트(310, 310', 310", 330, 330', 330")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를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가 건물의 벽체(20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고정구이다.
이러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에서 어느 하나의 건축외장재(300)를 기준으로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구조를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축외장재(300)는 후면 모서리 부분 4곳에 수직수평방향으로 동일거리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앵커볼트(310, 330)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310, 330) 중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상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외곽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310, 330) 중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하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30)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외곽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d1, d2)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상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는 "상부앵커볼트(310)"로 명명하기로 하며,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 하부 모서리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앵커볼트(310)는 "하부앵커볼트(330)"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건축외장재(300)는 상기 하부앵커볼트(330)의 각 하측에 하면으로부터 상향 함몰되어 받침홈(350)이 반구 형상 또는 만곡된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홈(350)은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가공시 연삭휠(미도시)을 통하여 기 가공되며, 즉 연삭휠(미도시)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 반구 형상으로 상기 받침홈(350)이 형성되며, 상기 연삭휠(미도시)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상기 받침홈(350)이 만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도 2를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건축외장재(3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건축외장재(30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체(200)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전술한 건축외장재(300) 및 이에 대하여 상측으로 연이어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가 배치되어 상기 벽체(200)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고정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크게 벽체고정브래킷(110), 연결플레이트(130), 상부 연결브래킷(150) 그리고 하부 연결브래킷(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170)에 수직부(111)의 장공(113)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벽체앵커너트(171)를 체결하여 상기 벽체(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111)의 하단에서 수평부(115)가 직각방향으로 굴절되어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5) 상에는 조절장공(117)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격자타입으로 복수 개가 상호 연결되도록 고정 장착되는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앵커볼트(310)로써 고정장착되는 제1수직부(151)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153)가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부(153)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155)이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수직으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은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고정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앵커볼트(330')로써 고정장착되는 제2수직부(161)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163)가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제2수평부(163)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165)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하부 연결브래킷(160)은 상기 제2수직부(161)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받침플레이트(169)가 더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플레이트(169)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제2수직부(161)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저면에 상향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받침홈(350')과 대응되어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받침플레이트(169)는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받침홈(350')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홈(350') 내측 상면에 미끄러짐 없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169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받침홈(350')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홈(350')이 삽입되어 밀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받침홈(350')은 만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받침플레이트(169)도 상기 받침홈(350')과 대응되어 만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축외장재(300')의 받침홈(350')은 기 가공시 연삭휠(미도시)을 통하여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깊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고정설치 후에도 전면에서 상기 받침홈(350')은 보이지 않게 되어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설치 후 미려함을 돋보이게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제2수직부(161)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반구형 또는 만곡 라운드형의 상기 받침플레이트(169)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300')의 하면 받침홈(350')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받침플레이트(169)를 통하여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에 상향 함몰 형성된 받침홈(350')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건축외장재(300')의 설치고정 후 주변도로, 주변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외부 진동에 의한 건축외장재(30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플레이트(169)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169a)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 없이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300')가 전방 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하부 연결브래킷(160)이 고정장착된 상기 상부에 배치된 건축외장재(300')는 하부에 배치된 건축외장재(300)에 고정장착된 상부 연결브래킷(150)의 좌우조절지지공(155)에 지지핀(135)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연결플레이트(130)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후방 측에 형성된 전후조절장공(133)이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의 조절장공(117)과 연통되어,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조절한 후에 위치조절볼트(120), 와셔(121) 및 위치조절너트(122)를 통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연결플레이트(130)는 전방 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1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31)이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제2수평부(163)에 형성된 좌우조절고정장공(165)에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를 상기 좌우조절고정장공(165) 및 좌우조절지지공(155)을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를 상기 벽체고정브래킷(110)과 연결한 후,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과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사이에 배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300')에 대하여 용이하게 좌우조절 및 전후조절을 하여 하측에 이웃하는 건축외장재(300)와 전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정렬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상기 고정핀(131)과 전후조절장공(133) 사이에 보조공(137)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은 상기 보조공(137)과 대응되어 상기 좌우조절지지장공(155) 후방 측에 제1보조장공(15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공(137) 및 제1보조장공(157)과 대응되어,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좌우조절고정장공(165) 후방 측에 제2보조장공(16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보조공(137)과,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150)의 제1보조장공(157) 및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제2보조장공(167)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 배치된다.
상술한 상기 보조공(137), 제1보조장공(157) 및 제2보조장공(167)은 설치시 상호 수직으로 연통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어느 하나의 건축외장재(300')가 파손된 경우에 교체용 건축외장재(300a')를 교체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 고정설치된 상기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건축외장재(300')가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건축외장재(300')를 새로운 교체용 건축외장재(300a')로 교체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은 교체고정핀(500)을 통하여 기 고정설치된 건축외장재(300, 300', 300") 중 어느 하나의 의 건축외장재(300')가 파손될 경우, 교체용 건축외장재(300a')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파손된 건축외장재(300')를 교체용 건축외장재(300a')로 교체할 때에는 상기 보조공(137), 제1보조장공(157) 및 제2보조장공(167)을 따라 교체고정핀(500)이 삽입고정되어, 파손된 건축외장재(300')의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시공된 건축외장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교체용 건축외장재(300a')를 이용한 교체 설치고정시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전방 측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기 고정핀(131) 또는 지지핀(135)이 선택적으로 절단 제거된 후, 상기 교체고정핀(500)을 통하여 상기 교체용 건축외장재(300a')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160)의 제2수직부(163)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반구형의 상기 받침플레이트(169)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건축외장재(300')의 하면 받침홈(350')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받침플레이트(169)를 통하여 건축외장재(300')의 하면 받침홈(350')에 삽입 안착시켜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건축외장재(300')의 설치고정 후 주변도로, 주변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외부 진동에 의한 건축외장재(30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플레이트(169)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169a)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 없이 건축외장재(300')의 하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외장재(300')가 전방 측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10: 벽체고정브래킷 111: 수직부
113: 장공 115: 수평부
117: 조절장공 120: 위치조절볼트
121: 와셔 122: 위치조절너트
130: 연결플레이트 131: 고정핀
133: 전후조절장공 135: 지지핀
137: 보조공 150: 상부 연결브래킷
151: 제1수직부 152: 제1고정공
153: 제1수평부 155: 좌우조절지지장공
157: 제1보조장공 160: 하부 연결브래킷
161: 제2수직부 162: 제2고정공
163: 제2수평부 165: 좌우조절고정장공
167: 제2보조장공 169: 받침플레이트
169a: 널링면 170: 벽체앵커볼트
171: 벽체앵커너트
200: 벽체
300, 300', 300", 300a': 건축외장재
310, 310', 310", 310a': 상부앵커볼트
311, 311', 311", 311a': 상부앵커너트
330, 330', 330", 330a': 하부앵커볼트
331, 331', 331", 331a': 하부앵커너트
350, 350', 350", 350a': 받침홈
500: 교체고정핀

Claims (5)

  1. 후방으로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여 상기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돌출형성된 벽체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상에는 조절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고정브래킷;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기 설치된 하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상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제1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지지장공이 관통형성되는 상부 연결브래킷;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수직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설치될 상부에 배치되는 건축외장재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로써 고정 장착되는 제2수직부의 하단에서 제2수평부가 직각방향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부 상에는 좌우조절고정장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받침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연결브래킷; 및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벽체고정브래킷의 수평부에 형성된 상기 조절장공과 대응되는 전후조절장공이 후방 측에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대향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브래킷과 하부 연결브래킷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의 제2수직부 전면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건축외장재의 저면에 상향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상 또는 만곡된 라운드 형상의 받침홈과 대응되어 반구 형상 또는 만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상기 건축외장재의 받침홈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홈 내측 상면에 미끄러짐 없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에 널링 가공을 통하여 널링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핀과 전후조절장공 사이에 보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은 상기 좌우조절지지장공 후방 측에 제1보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브래킷은 상기 좌우조절고정장공 후방 측에 상기 제1보조장공과 대응되는 제2보조장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건축외장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에는 교체용 건축외장재를 교체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통 배치되는 상기 보조공, 제1보조장공 및 제2보조장공을 따라 교체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0120052653A 2012-05-17 2012-05-17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30128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53A KR20130128721A (ko) 2012-05-17 2012-05-17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53A KR20130128721A (ko) 2012-05-17 2012-05-17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21A true KR20130128721A (ko) 2013-11-27

Family

ID=4985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53A KR20130128721A (ko) 2012-05-17 2012-05-17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87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584B2 (en) 2013-12-19 2018-06-26 Qtran, Inc. Adjustable retaining bracket
CN115075506A (zh) * 2022-07-21 2022-09-20 广州欧派集成家居有限公司 连接机构及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584B2 (en) 2013-12-19 2018-06-26 Qtran, Inc. Adjustable retaining bracket
CN115075506A (zh) * 2022-07-21 2022-09-20 广州欧派集成家居有限公司 连接机构及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697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US8468765B1 (en) Panel fixing devic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1437429B1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2013012872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10063019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30034669A (ko)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KR20150019937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JP5648928B2 (ja) 建築外装材取付用固定具
KR20150120203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제작방법 및 그 제품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08104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JP6553889B2 (ja) 板材の取付構造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JP6063621B2 (ja) 制振間仕切パネル装置
JP4989149B2 (ja) 床支持体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KR100777620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CN103470593A (zh) 一种螺栓组合安装装置及应用方法
JP6023473B2 (ja) 機能部材の屋根面設置構造
JP5965690B2 (ja) 支柱立設具
EP1424457A2 (en) Support device to anchor enhancing panels on walls, and relative method of assembly
KR102474849B1 (ko) 개별 외장 패널 탈부착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