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019A -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019A
KR20110063019A KR1020090119938A KR20090119938A KR20110063019A KR 20110063019 A KR20110063019 A KR 20110063019A KR 1020090119938 A KR1020090119938 A KR 1020090119938A KR 20090119938 A KR20090119938 A KR 20090119938A KR 20110063019 A KR20110063019 A KR 20110063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uilding
exterior material
side bracke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삼지석재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지석재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지석재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019A/ko
Publication of KR2011006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에 각각 매설된 앵커 볼트를 통해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벽체에 앵커 볼트를 통해서 고정 장착이 되되 일정 면적을 갖는 벽체측 수직부의 하단에는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되어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하부 암 조립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는 한편 벽체측 수직부의 상단에는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된 상부 수 조립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된 벽체측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앵커 볼트를 통해서 고정 장착이 되되 일정 면적을 갖는 외장재측 수직부의 하단에는 하부 암 조립부에 끼워지기 위한 하부 수 조립부가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굴절 형성된 구조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는 한편 외장재측 수직부의 상단에는 상부 수 조립부가 수용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직각으로 두 차례 굴절이 되어 하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상부 암 조립부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며 상부 수 조립부 상에는 볼트체결구멍이 관통 형성이 된 외장재측 브래킷; 및 볼트체결구멍에 체결되되 체결 정도에 따라서 벽체측 브래킷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벽체측 브래킷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의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건축외장재, 벽체, 고정구, 브래킷, 앵커 볼트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벽체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되어 건축외장재가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건축외장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은 일정 형태 및 크기로 제작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의 도구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한쪽은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물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을 통해서 건축외장재에 설치되는 형태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20)과,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외장재(3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절 브래킷(30)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의 형태가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0)의 수직부(22)는 앵커 볼트(40)를 매개로 벽체(2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 상측에는 조절 브래킷(30)의 일정 부분이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와 조절 브래킷(3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위치 조절공(24a,30a)을 통해 위치조절 볼트(50)와 위치조절 너트(52)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20)에 대한 조절 브래킷(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 브래킷(30)의 바깥쪽 끝단 부분에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하단을 받쳐주는 한편 상단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핀(60)이 꽂히는 핀 공(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60)의 상단 및 하단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는 핀 설치홈(310)이 미리 형성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200) 외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 및 앵커 볼트(40) 등을 매개로 하여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어 건축물의 미관이 더욱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이 보호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고정 브래킷 및 조절 브래킷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강성이 약해 견고하지 못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 조절이 불가능할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건축외장재의 설치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벽체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되어 건축외장재가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에 대하여 건축외장재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고정된 벽체에 대한 상하방향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에 각각 매설된 앵커 볼트를 통해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벽체에 앵커 볼트를 통해서 고정 장착이 되되 일정 면적을 갖는 벽체측 수직부의 하단에는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되어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하부 암 조립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는 한편 벽체측 수직부의 상단 에는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된 상부 수 조립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된 벽체측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앵커 볼트를 통해서 고정 장착이 되되 일정 면적을 갖는 외장재측 수직부의 하단에는 하부 암 조립부에 끼워지기 위한 하부 수 조립부가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굴절 형성된 구조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는 한편 외장재측 수직부의 상단에는 상부 수 조립부가 수용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직각으로 두 차례 굴절이 되어 하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상부 암 조립부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며 상부 수 조립부 상에는 볼트체결구멍이 관통 형성이 된 외장재측 브래킷; 및 볼트체결구멍에 체결되되 체결 정도에 따라서 벽체측 브래킷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벽체측 브래킷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의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벽체와 벽체측 수직부 사이에는 두께의 조절이 가능한 심 패드(shim pad)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벽체에 매립 설치된 앵커 볼트에 대하여 벽체측 브래킷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벽체측 수직부 상에는 상하로 긴 장방형의 앵커 볼트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상부 암 조립부의 전단은 건축외장재의 후면에 닿도록 외장재측 수직부의 전면에 대응하는 선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벽체측 브래킷의 상부 수 조립부의 후방에는 상부 암 조립부의 후방 끝단이 안치되게 하기 위한 안치공간이 더 형성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외장재측 브래킷의 폭은 벽체측 브래킷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의하면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벽체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되어 건축외장재가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의하면 벽체에 건축외장재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고정된 벽체에 대한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구성 및 사용 상태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 평면 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지시하는 것이며,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건물의 벽체(200)와 건축외장재(300) 사이에 설치되어 건물의 벽체(200)에 대해서 건축외장재(300)가 안정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매개체로 사용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측 브래킷(110), 외장재측 브래킷(130) 및 체결볼트(15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벽체측 브래킷(110)은 벽체(200)에 대해서 앵커 볼트(210)로써 고정 장착이 된다. 벽체측 브래킷(110)은 일정 면적을 갖는 벽체측 수직부(112)를 기준으로 벽체측 수직부(112)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하부 암 조립부(114)와 상부 수 조립부(116)가 일체로 형성이 된다.
전술한 하부 암 조립부(114) 및 상부 수 조립부(116)는 벽체측 수직부(112)와 일체로 성형이 되어 벽체측 브래킷(110)을 이루게 된다. 벽체측 브래킷(110)은 인발 성형 공정을 통해서 길이가 길게 제작된 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방식을 통해서 제작이 될 수 있다. 물론, 벽체측 브래킷(110)은 특정의 금형을 통해서 낱개씩으로도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벽체측 브래킷(110)의 하부 암 조립부(114)는 벽체측 수직부(112)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된 구조로 형성이 되되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로 전방을 향해서 돌출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부 수 조립부(116)는 벽체측 수직부(112)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 형성이 된 구조로 전방을 향해서 돌출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측 브래킷(110)의 벽체측 수직부(112) 상에는 벽체(200)에 매립 설치된 앵커 볼트(210)와의 관계에서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하방향 위치가 쉽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앵커 볼트 체결구멍(120)이 장방형의 형태로 관통 형성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부 수 조립부(116) 후방에는 후설이 될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상부 암 조립부(136)의 후방 끝단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치공간(118)이 형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외장재측 브래킷(130)은 건축외장재(300)에 대해서 앵커 볼트(310)로써 고정 장착이 된다. 외장재측 브래킷(130)은 일정 면적을 갖는 외장재측 수직부(132)를 기준으로 외장재측 수직부(132)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하부 수 조립부(134) 및 상부 암 조립부(136)가 일체로 형성이 된다.
전술한 하부 수 조립부(134) 및 상부 암 조립부(136)는 외장재측 수직부(132)와 일체로 성형이 되어 외장재측 브래킷(130)을 이루게 된다. 외장재측 브래킷(130)은 인발 성형 공정을 통해서 길이가 길게 제작된 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 단하는 방식을 통해서 제작이 될 수 있다. 물론, 외장재측 브래킷(130)은 벽체측 브래킷(110)과 마찬가지로 특정의 금형을 통해서 낱개씩으로도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하부 수 조립부(134)는 외장재측 수직부(132)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 형성된 구조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된다. 이때, 외장재측 브래킷(130)에 형성된 하부 수 조립부(134)의 폭은 벽체측 브래킷(110)에 형성된 하부 암 조립부(11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 암 조립부(114)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이 된다.
또한,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상부 암 조립부(136)는 외장재측 수직부(132)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되어 후방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형성이 된다. 이때,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상부 암 조립부(136)의 폭은 벽체측 브래킷(110)에 형성된 상부 수 조립부(116)가 수용이 될 수 있도록 상부 수 조립부(116)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외장재측 수직부(132) 상에는 건축외장재(300)에 매립 설치된 앵커 볼트(310)와의 체결을 위한 앵커 볼트 체결구멍(140)이 관통 형성이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상부 수 조립부(136) 상에는 볼트체결구멍(142)이 관통 형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외장재측 브 래킷(130)의 상부 암 조립부(136)에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전단(138)은 건축외장재(300)의 후면에 닿도록 외장재측 수직부(132)의 전면에 대응하는 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즉, 건축외장재(300)에 대해서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외장재측 수직부(132)와 상부 암 조립부(136)의 전단(138)이 닿게 됨으로써 더욱 안정된 상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전술한 벽체측 브래킷(110)과 외장재측 브래킷(130)이 상호 조립이 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체결볼트(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측 브래킷(130)에 형성된 볼트체결구멍(142)을 통해 조립되되 그 하단이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부 수 조립부(116) 상면에 힘이 가해지도록 조립이 된다.
한편, 전술한 체결볼트(150)의 조립 정도에 따라서 벽체측 브래킷(110)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볼트체결구멍(142)에 체결볼트(150)가 체결되는 정도가 크면 벽체측 브래킷(110)에 대하여 외장재측 브래킷(130)이 상향이동하게 되고, 볼트체결구멍(142)에 체결볼트(150)가 체결되는 정도가 작으면 벽체측 브래킷(110)에 대하여 외장재측 브래킷(130)이 하향이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체결볼트(150)의 하단을 통해서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부 수 조립부(116)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벽체측 브래킷(110)에 대하여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좌우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벽체(200)에 건축외장재(3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적정 위치에 건축외장재(3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폭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측 브래킷(110)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벽체(200)와 벽체측 수직부(112) 사이에는 두께의 조절이 가능한 심 패드(shim pad, 160)가 설치된다. 전술한 심 패드(160)의 두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사용되는 상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측 브래킷(110)은 앵커 볼트(210)를 통해 벽체(200)에 고정 장착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앵커 볼트 체결구멍(120)을 통해서 벽체(200)에 대한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벽체(200)와 벽체측 브래킷(110) 사이에 개재되는 심 패드(160)의 두께 조절을 통해서 벽체(200)에 대한 벽체측 브래킷(110)의 전후방향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측 브래킷(130)은 또 다른 앵커 볼트(310)를 통해서 외장재(300)의 배면에 고정 장착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재측 브래킷(130)이 고정 장착된 상태의 외장재(300) 는 약간 기울어진 채로 벽체(200)에 근접이 된 상태에서 벽체측 브래킷(110)의 하부 암 조립부(114)에는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하부 수 조립부(134)가 끼워지는 한편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상부 암 조립부(136) 내부에는 벽체측 브래킷(110)의 상부 수 조립부(116)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벽체측 브래킷(110)과 외장재측 브래킷(130)이 상호 조립이 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볼트(150)가 외장재측 브래킷(130)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구멍(142)을 통해서 나사 체결이 된다.
전술한 체결볼트(150)가 완전히 체결되기 이전에 외장재(300)의 좌우방향 위치 및 상하방향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150)의 체결이 이루어지면, 외장재(300)의 하중이 외장재측 브래킷(130)을 통해서 벽체측 브래킷(110)에 전달됨으로써 체결볼트(150)의 체결 상태는 견고히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 의하면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외장재(300)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벽체(200)에 대한 건축외장재(3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의 벽체측 브래킷(110) 및 외장재측 브래킷(130)의 각 조립부는 여러 차례 굴절이 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강성이 보강되어 벽체(200)에 대한 건축외장재(300)의 견고한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이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10. 벽체측 브래킷
112. 벽체측 수직부 114. 하부 암 조립부
116. 상부 수 조립부 118. 안치공간
120. 앵커 볼트 체결구멍 130. 외장재측 브래킷
132. 외장재측 수직부 134. 하부 수 조립부
136. 상부 암 조립부 138. 전단
140. 앵커 볼트 체결구멍 142. 볼트체결구멍
150. 체결볼트 160. 심 패드
200. 벽체 210. 앵커 볼트
300. 건축외장재 310. 앵커 볼트

Claims (6)

  1. 건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에 각각 매설된 앵커 볼트를 통해 상기 건축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앵커 볼트를 통해서 고정 장착이 되되 일정 면적을 갖는 벽체측 수직부의 하단에는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된 구조로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하부 암 조립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는 한편 상기 벽체측 수직부의 상단에는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된 구조로 상부 수 조립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된 벽체측 브래킷;
    상기 건축외장재에 앵커 볼트를 통해서 고정 장착이 되되 일정 면적을 갖는 외장재측 수직부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암 조립부에 끼워지기 위한 하부 수 조립부가 직각으로 적어도 두 차례 이상 굴절된 구조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는 한편 상기 외장재측 수직부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수 조립부가 수용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직각으로 두 차례 이상 굴절이 되어 하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상부 암 조립부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이 되며 상기 상부 수 조립부 상에는 볼트체결구멍이 관통 형성이 된 외장재측 브래킷; 및
    상기 볼트체결구멍에 체결되되 체결 정도에 따라서 상기 벽체측 브래킷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벽체측 브래킷에 대한 외장재측 브래킷의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체결볼트; 를 포 함하여 구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벽체측 수직부 사이에는 두께의 조절이 가능한 심 패드(shim pa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매립 설치된 앵커 볼트에 대하여 상기 벽체측 브래킷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벽체측 수직부 상에는 상하로 긴 장방형의 앵커 볼트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암 조립부의 전단은 상기 건축외장재의 후면에 닿도록 외장재측 수직부의 전면에 대응하는 선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브래킷의 상부 수 조립부의 후방에는 상기 상부 암 조립부의 후방 끝단이 안치되게 하기 위한 안치공간이 더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측 브래킷의 폭은 벽체측 브래킷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0090119938A 2009-12-04 2009-12-04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10063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38A KR20110063019A (ko) 2009-12-04 2009-12-04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38A KR20110063019A (ko) 2009-12-04 2009-12-04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019A true KR20110063019A (ko) 2011-06-10

Family

ID=4439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938A KR20110063019A (ko) 2009-12-04 2009-12-04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01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72Y1 (ko) * 2011-06-30 2013-09-11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EP2642036A1 (de) * 2012-03-22 2013-09-25 Bayer MaterialScience AG Verwendung von faserverstärktem Polyurethan zur Bildung einer Schiene für eine Montageanordnung
KR200480877Y1 (ko) * 2016-02-25 2016-07-15 왕소연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200482121Y1 (ko) * 2016-08-11 2016-12-16 주식회사 운형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 브라켓
CN107419872A (zh) * 2017-06-27 2017-12-01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榫接墙板快装件及安装方法
KR20180000560U (ko) * 2016-08-17 2018-02-27 이나연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 장치
CN110952747A (zh) * 2018-09-27 2020-04-03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调节式装饰板干挂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72Y1 (ko) * 2011-06-30 2013-09-11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EP2642036A1 (de) * 2012-03-22 2013-09-25 Bayer MaterialScience AG Verwendung von faserverstärktem Polyurethan zur Bildung einer Schiene für eine Montageanordnung
EP2642037A1 (de) * 2012-03-22 2013-09-25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Verwendung von faserverstärktem Polyurethan zur Bildung einer Schiene für eine Montageanordnung
KR200480877Y1 (ko) * 2016-02-25 2016-07-15 왕소연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200482121Y1 (ko) * 2016-08-11 2016-12-16 주식회사 운형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 브라켓
KR20180000560U (ko) * 2016-08-17 2018-02-27 이나연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 장치
CN107419872A (zh) * 2017-06-27 2017-12-01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榫接墙板快装件及安装方法
CN107419872B (zh) * 2017-06-27 2019-09-13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榫接墙板快装件及安装方法
CN110952747A (zh) * 2018-09-27 2020-04-03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调节式装饰板干挂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952747B (zh) * 2018-09-27 2021-02-19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调节式装饰板干挂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019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U2018238972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140050895A (ko) 건축외장용 벽체 지지 및 고정장치
KR20100086726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50120203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제작방법 및 그 제품
KR101208104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60529Y1 (ko) 벽타일용 고정조절 장치
KR20090013136U (ko) 스파이더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리 고정구
KR20220037071A (ko) 가압 고정식 벽면고정장치
KR20160009453A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CN217500931U (zh) 用于踢脚线的调平组件、装配式墙体、装配式结构体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US11336220B2 (en)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solar panel
JP2014152478A (ja) 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構造
JP4646817B2 (ja)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KR2013012872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JP5322586B2 (ja) パイプ製組立棚の耐震装置
JP4774384B2 (ja) パイプ取付構造
EP2263294A2 (en)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electrical floor boxes
KR101548101B1 (ko) 창호의 설치작업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JPH069210Y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