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726A -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726A
KR20100086726A KR1020090006107A KR20090006107A KR20100086726A KR 20100086726 A KR20100086726 A KR 20100086726A KR 1020090006107 A KR1020090006107 A KR 1020090006107A KR 20090006107 A KR20090006107 A KR 20090006107A KR 20100086726 A KR20100086726 A KR 2010008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xture
plate
exterior material
building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9000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726A/ko
Publication of KR2010008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장식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벽에 대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된 채 견고하고 안정되게 건축외장재가 설치되게 하기 위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건축물 벽체에 건축외장재가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쪽은 앵커 볼트로써 건축물 벽체에 고정장착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을 통해 건축외장재에 마련된 설치홈에 걸리게 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건축물 벽체에 한쪽 면이 접하는 한편 앵커 볼트의 바깥쪽 끝단이 통과되게 앵커 조립공이 중간에 관통된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과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의 건축물 벽체에 한쪽 면이 접하게 판 형태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고정판과 받침판이 상호 대응하는 측의 끝단으로부터 건축외장재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 일정 폭 연장되어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판이 형성되며, 지지판의 바깥쪽 끝단끼리가 연결되는 판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중간 부분에 볼트 조립공이 관통된 조립판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 및 고정구 본체의 조립판에 형성된 볼트 조립공에 일단이 나사체결되는 한편 다른 일단에는 고정핀이 꽂히는 핀 공이 관통 형성된 조절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건축물, 외장재, 대리석, 앵커 볼트, 고정구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장식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벽에 대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된 채 견고하고 안정되게 건축외장재가 설치되게 하기 위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은 일정 형태 및 크기로 제작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의 도구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한쪽은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물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을 통해서 건축외장재에 설치되는 형태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외장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20)과,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외장 재(3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절 브래킷(30)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의 형태가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0)의 수직부(22)는 앵커 볼트(40)를 매개로 벽체(2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 상측에는 조절 브래킷(30)의 일정 부분이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20)의 수평부(24)와 조절 브래킷(3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위치 조절공(24a,30a)을 통해 위치조절 볼트(50)와 위치조절 너트(52)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20)에 대한 조절 브래킷(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 브래킷(30)의 바깥쪽 끝단 부분에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하단을 받쳐주는 한편 상단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핀(50)이 꽂히는 핀 공(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50)의 상단 및 하단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상에는 핀 설치홈(310)이 미리 형성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200) 외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 및 앵커 볼트(40) 등을 매개로 하여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어 건축물의 미관이 더욱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이 보호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고정 브래킷과 조절 브래킷으로 분리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제작 및 설치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벽체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장식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벽체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간격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벽체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설치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할 수 있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발 공정을 통해서 길게 성형이 된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컷팅(cutting) 공정, 보링(boring) 공정 및 탭핑(tapping) 공정을 통해서 일정 형태로 제작이 됨에 따라서 그 제작 및 시공에 따른 공정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건축물 벽체에 건축외장재가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쪽은 앵커 볼트로써 건축물 벽체에 고정장착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을 통해 건축외장재에 마련된 설치홈에 걸리게 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건축물 벽체에 한쪽 면이 접하는 한편 앵커 볼트의 바깥쪽 끝단이 통과되게 앵커 조립공이 중간에 관통된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과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의 건축물 벽체에 한쪽 면이 접하게 판 형태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고정판 과 받침판이 상호 대응하는 측의 끝단으로부터 건축외장재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 일정 폭 연장되어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판이 형성되며, 지지판의 바깥쪽 끝단끼리가 연결되는 판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중간 부분에 볼트 조립공이 관통된 조립판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 및 고정구 본체의 조립판에 형성된 볼트 조립공에 일단이 나사체결되는 한편 다른 일단에는 고정핀이 꽂히는 핀 공이 관통 형성된 조절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고정구 본체는 알루미늄 소재를 인발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서 고정판, 받침판, 지지판 및 조립판이 일체로 길게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절단이 되는 절단공정과 앵커 조립공 및 볼트 조립공의 형성을 위한 보링 공정 및 탭핑 공정을 통해서 제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고정구 본체의 고정판 표면은 앵커 볼트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고정구 본체의 받침판 중간 부분에 보조 앵커 조립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장식하기 위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의 설치 상태가 더욱 견고하고 안정될 수 있게 되어 건축외장재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고정구 본체는 인발 공정을 통해서 길이가 긴 알루미늄 소재가 성형이 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소재가 일정 길이로 절단이 되게 하는 컷팅 공정과, 필요한 부분에 앵커 조립공과 볼트 조립공의 형성을 위한 보링 공정 및 탭핑 공정을 통해서 제작이 완성됨에 따라서 주물 성형을 통해서 제작된 제품들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작이 되는 한편 미관이 우수하게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액세서리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다른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액세서리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시도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 및 300 은 각각 건축물의 벽체 및 건축외장재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 을 장식하기 위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0)가 건축물의 벽체(200)에 안정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쓰인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건축물의 벽체(200)에 앵커 볼트(130)를 통해서 고정설치되는 부분인 고정구 본체(110)와, 고정핀(140)을 통해서 건축외장재(300)에 설치되는 조절 볼트(1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 본체(110)는 인발 성형을 통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 알루미늄 소재가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되게 하는 절단(cutting) 공정 및 필요한 위치에 구멍을 뚫고 나사가 형성되게 하는 보링(boring) 공정 및 탭핑(tapping) 공정을 통해서 제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 본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200)에 한쪽 면이 접하는 한편 앵커 볼트(130)의 바깥쪽 끝단이 통과되게 앵커 조립공(112)이 중간에 관통된 고정판(110A), 고정판(110A)과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의 건축물의 벽체(200)에 한쪽 면이 접하는 판 형태의 받침판(110B), 고정판(110A)과 받침판(110B)이 상호 대응되는 측의 끝단으로부터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서 일정 폭 연장되어 상호 마주하게 되는 한 쌍의 판 형태의 지지판(110C,110D) 및 상호 마주하는 지지판(110C,110D)의 바깥쪽 끝단끼리가 연결되는 판 형태의 조립판(110E)이 일체로 인발 성형이 된 알루미늄 소재가 이용된다. 따라서, 고정구 본체(110)의 조립판(110E)을 기준으로 조립판(110E) 양쪽에 위치되는 지지판(110C,110D), 지지판(110C,110D)의 끝단에 위치되는 고정판(110A) 및 받침판(110B)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벤딩(bending) 공정이 실 시될 필요가 없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110)를 이루면서 상호 이웃하는 각각의 판들끼리가 대략 직각 관계가 되게 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벤딩 공정은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고정구 본체(110)가 건축물 벽체(200)에 고정되게 하는 앵커 볼트(130)의 바깥쪽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앵커 조립공(112)의 형성을 위한 보링 공정, 고정구 본체(110)의 한쪽에 건축외장재(300)가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 볼트(120)의 한쪽 단이 나사 체결되는 볼트 조립공(116)의 형성을 위한 탭핑 공정이 실시된다. 특히, 전술한 볼트 조립공(116)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110)의 조립판(110E) 중간 부분에는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보강부(114)가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고정구 본체(110)의 볼트 조립공(116)에 대하여 나사체결되는 조절 볼트(120)의 한쪽 일정 구간에는 전술한 볼트 조립공(116)에 나사조립되기 위한 나사부(122)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에는 건축외장재(300)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핀(140)이 꽂히게 되는 핀 공(124)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 본체(110)의 고정판(110A) 한쪽 측면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11A)의 한쪽 측면이 요철면으로 형성되게 하는 공정은 고정구 본체(110)의 제작을 위한 알루미늄 소재의 인발 성형시 이루어진다. 고정구 본체(110)의 받침판(110B) 한쪽 측면도 전술한 고정판(110A)과 마찬가지로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 본체(110)의 고정판(11A)과 받침판(110B)의 한쪽 면이 요철면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앵커 볼트(130)의 체결시 더욱 강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 본체(110)는 하나의 앵커 볼트(130)로써 고정판(110A)이 건축물 벽체(2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고정구 본체(110)의 고정판(110A) 만이 앵커 볼트(130) 및 앵커 너트(132)로써 고정 설치된다. 이때, 받침판(110B)은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하여 면 접촉이 되어 더욱 밀착되게 됨에 따라서 고정구 본체(110)는 더욱 안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 본체(11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200) 및 건축외장재(300)가 설치되는 주변 조건에 따라서 고정판(110A)과 받침판(110B)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받침판(110B)이 고정판(110A)의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받침판(110B)이 고정판(110B)의 측면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 본체(110)의 받침판(110B)에도 고정판(110A)에 관통 형성된 것과 같은 형태의 보조 앵커 조립공(11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0A) 뿐만 아니라 받침판(110B)도 앵커 볼트(130)를 통해서 건축물 벽체(20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 벽체(200)에 대하여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 위치되는 조립판(110E)의 볼트 조립공(116)에 조절 볼트(120)의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 건축물의 벽체(200)의 설치 조건 및 건축외장재(300)의 설치 조건 등에 맞춰서 건축물의 벽체(200)에 대한 건축외장재(300)의 위치 조절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조절 볼트(120) 상에는 볼트 조립공(116)에 나사 조립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게 하기 위한 너트(126) 및 와셔 등이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의 고정구 본체(110)는 길이가 길게 인발 성형이 된 알루미늄 소재로써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종래의 그것들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주철 재질로써 제작이 되었던 종래의 그것에 비교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함에 따라서 건축물 및 건축외장재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간격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벽체 및 건축외장재의 설치 조건에 맞춰서 고정구 본체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서 건축외장재의 설치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액세서리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다른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액세서리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10. 고정구 본체
110A. 고정판 110B. 받침판
110C,110D. 지지판 110E. 조립판
112. 앵커 조립공 114. 보강부
116. 볼트 조립공 118. 보조 앵커 조립공
120. 조절 볼트 122. 나사부
124. 핀 공 130. 앵커 볼트
140. 고정핀 200. 건축물의 벽체
300. 건축외장재

Claims (4)

  1. 건축물 벽체에 건축외장재가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쪽은 앵커 볼트로써 건축물 벽체에 고정장착되는 한편 다른 한쪽은 고정핀을 통해 건축외장재에 마련된 설치홈에 걸리게 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벽체에 한쪽 면이 접하는 한편 앵커 볼트의 바깥쪽 끝단이 통과되게 앵커 조립공이 중간에 관통된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의 건축물 벽체에 한쪽 면이 접하게 판 형태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받침판이 상호 대응하는 측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건축외장재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 일정 폭 연장되어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바깥쪽 끝단끼리가 연결되는 판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중간 부분에 볼트 조립공이 관통된 조립판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 및
    상기 고정구 본체의 조립판에 형성된 볼트 조립공에 일단이 나사체결되는 한편 다른 일단에는 상기 고정핀이 꽂히는 핀 공이 관통 형성된 조절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는 알루미늄 소재를 인발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서 상기 고정판, 받침판, 지지판 및 조립판이 일체로 길게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절단이 되는 절단공정과 상기 앵커 조립공 및 볼트 조립공의 형성을 위한 보링 공정 및 탭핑 공정을 통해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의 고정판 표면은 앵커 볼트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요철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의 받침판 중간 부분에 보조 앵커 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0090006107A 2009-01-23 2009-01-23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00086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07A KR20100086726A (ko) 2009-01-23 2009-01-23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07A KR20100086726A (ko) 2009-01-23 2009-01-23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26A true KR20100086726A (ko) 2010-08-02

Family

ID=4275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107A KR20100086726A (ko) 2009-01-23 2009-01-23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72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5089A (zh) * 2013-12-09 2014-03-05 刘志刚 一种易于调节的轻质装饰板干挂用龙骨
CN104060796A (zh) * 2014-07-11 2014-09-24 中幕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石材加固锚固栓
KR101532703B1 (ko) * 2015-03-12 2015-07-01 유성용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KR20160018177A (ko) * 2014-08-08 2016-02-17 명문석재주식회사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WO2017014465A1 (ko) * 2015-07-21 2017-01-26 김종우 건축물 외장용 석재 고정장치
CN115075501A (zh) * 2022-06-10 2022-09-20 长江师范学院 墙体保温装置及墙体保温装饰一体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5089A (zh) * 2013-12-09 2014-03-05 刘志刚 一种易于调节的轻质装饰板干挂用龙骨
CN103615089B (zh) * 2013-12-09 2016-01-20 刘志刚 一种易于调节的轻质装饰板干挂用龙骨
CN104060796A (zh) * 2014-07-11 2014-09-24 中幕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石材加固锚固栓
KR20160018177A (ko) * 2014-08-08 2016-02-17 명문석재주식회사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101532703B1 (ko) * 2015-03-12 2015-07-01 유성용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WO2016144132A1 (ko) * 2015-03-12 2016-09-15 유성용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WO2017014465A1 (ko) * 2015-07-21 2017-01-26 김종우 건축물 외장용 석재 고정장치
CN115075501A (zh) * 2022-06-10 2022-09-20 长江师范学院 墙体保温装置及墙体保温装饰一体装置
CN115075501B (zh) * 2022-06-10 2023-12-22 长江师范学院 墙体保温装置及墙体保温装饰一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726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US10890316B2 (en) Lighting fixture with high structural integrity
KR10098801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20110063019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KR100862071B1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70072357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50120203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제작방법 및 그 제품
KR200251100Y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KR20080084459A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KR20100128579A (ko) 건축마감재 설치용 고정장치
KR200311786Y1 (ko) 건축물외장재고정장치용스톱와셔
KR100996345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50033137A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어셈블리
JP4522112B2 (ja) 建物用庇
KR200226420Y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CN213205353U (zh) 电梯门套装配构造
KR200460529Y1 (ko) 벽타일용 고정조절 장치
KR20120099309A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0467097B1 (ko) 건축용 폭조절용 거푸집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20100059518A (ko) 커튼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