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309A -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309A
KR20120099309A KR1020110005122A KR20110005122A KR20120099309A KR 20120099309 A KR20120099309 A KR 20120099309A KR 1020110005122 A KR1020110005122 A KR 1020110005122A KR 20110005122 A KR20110005122 A KR 20110005122A KR 20120099309 A KR20120099309 A KR 20120099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double bottom
bottom plate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159B1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호산업
Priority to KR102011000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1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Abstract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이중바닥판들을 받쳐주기 위한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세워진 상태로 실내바닥면에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양쪽 단부에 평면의 연결면이 각각 형성된 연결바들과, 상기 연결바들의 연결면과 대응하는 체결편을 구비하고 이 체결편이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외부면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세워져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측방체결부 그리고, 상기 측방체결부의 체결편과, 상기 연결바의 연결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바의 단부를 상기 지주의 외부면 상에 나사 결합력으로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upholder assembley for access floor}
본 발명은 이중바닥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한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산장비나, 통신장비들은 대부분 실내바닥면에서 일정 간격을 띄우고 설치된 "이중바닥판체(access floor)"라고 불리우는 조립식 바닥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이중바닥판체는 실내바닥면 위로 통로가 확보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각종 케이블류의 배선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여러 가닥의 케이블류들이 외부에 가려진 상태로 배선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복잡하게 배선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실내 미관을 저하시키거나 통행에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이중바닥판체는,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들이 실내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대들 측에 얹혀져서 실내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띄우고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들은, 바닥판들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실내바닥면에서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내바닥면에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배치되고, 이격 배치된 지지대들은 연결바들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한 연결바들은, 실내바닥면에서 상기 지지대들 간격을 유지하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바들의 연결 작업은, 대부분 지지대의 지주(조절샤프트) 측에 별도의 어댑터를 설치하고, 이 어뎁터 측에 연결바의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사로 조여져서 연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상기한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연결바의 체결 구조가 복잡하고, 체결 작업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연결바들의 일단을 어뎁터 일측과 맞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사를 조여서 체결할 때 연결지점의 위쪽은 대부분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나, 이 지지플레이트 측에 놓여진 이중바닥판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예: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를 체결할 때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불안정한 자세를 유발하여 체결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별도의 어뎁터를 지주의 조절샤프트 측에 설치하면, 이 조절샤프트의 나사부를 따라 돌려서 높낮이를 셋팅할 때 함께 움직이므로 어뎁터들의 높낮이 편차가 ??게 발생할 수 있고, 매번 편차를 보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별도로 어뎁터를 제작하여 지주의 조절샤프트 측에 설치하면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지대들 사이를 연결바로 연결할 때 나사 체결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바가 연결 고정되기 위한 어뎁터가 지지대와 비(非) 일체형의 구조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바닥판들을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중바닥판들을 받쳐주기 위한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세워진 상태로 실내바닥면에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양쪽 단부에 평면의 연결면이 각각 형성된 연결바들;
상기 연결바들의 연결면과 대응하는 체결편을 구비하고 이 체결편이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외부면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세워져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측방체결부;
상기 측방체결부의 체결편과, 상기 연결바의 연결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바의 단부를 상기 지주의 외부면 상에 나사 결합력으로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바닥면에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지지대들로 이중바닥판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평면을 이루도록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내바닥면에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들 사이를 연결바로 연결 고정할 때 측방향(側方向)에서 체결부재(나사)를 조여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상에 일체로 형성된 측방체결부(체결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종래의 지지대들과 같이 지주에 설치된 조절용 샤프트 측에 비(非) 일체형의 어뎁터를 나사 결합 상태로 끼우고 이 어뎁터 측에 연결용 바의 단부를 나사로 조여서 고정하는 체결 구조와 비교할 때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상태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방체결부의 구조에 의하면, 체결부재를 수평방향을 따라 조여서 체결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지지대들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나사를 조여서 체결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지지대 위에 이중바닥판들이 얹혀진 상태에서도 연결바들의 체결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전체 및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전체 및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지지대를 지칭한다.
상기 지지대(2)는 실내바닥면(W) 상에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배치되어 이중바닥판(F)들을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2)는, 실내바닥면(W)에 놓여지는 베이스플레이트(S1)와, 이 베이스플레이트(S1) 상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지주(S2)와, 이 지주(S2) 측에서 정,역 회전시 나사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절샤프트(S3) 그리고, 이 조절샤프트(S3) 상부에 설치되어 이중바닥판(F)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S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들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S1)는 이중바닥판(F)들을 실내바닥면(W) 상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접지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주(S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S1) 측에 세워진 상태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나사부를 갖는 조절샤프트(S3)가 나사 결합으로 끼워진다. 그러면, 상기 조절샤프트(S3)는 정,역 회전시 나사부에 의해 상기 지주(S2) 위쪽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S4)는, 상기 조절샤프트(S3)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 조절샤프트(S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2)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상기 지지대(2)는, 실내바닥면(W) 상에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지주(S2)를 구비한 여러 가지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실내바닥면(W)에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지지대(2)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바(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바(4)는, 실내바닥면(W)에 놓여진 지지대(2)들의 간격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바(4)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한 지점에 위치된 지지대(2)들 사이에서 일단은 일측 지지대(2)와 대응하고, 타단은 타측 지지대(2)와 대응하도록 연장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바(4)의 단부는 도 2에서와 같이 평면의 연결면(A)을 갖도록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후술하는 측방체결부(6) 측에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될 때 서로 면(面) 접촉 상태로 맞대어져서 체결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연결바(4)들은, 후술하는 측방체결부(6) 측에 단부가 각각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2)들의 간격을 유지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4)의 단부에 제공되는 연결면(A)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결홀(A1)을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후술하는 체결부재(8)가 상기 연결바(4)의 단부 측에 원활하게 나사 결합으로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바(4)를 상기 지지대(2) 측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측방체결부(6)와, 체결부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측방체결부(6)는, 실내바닥면(W)에 지지대(2)들이 놓여진 상태에서 이 지지대(2)들 사이에 연결바(4)를 연결할 때 측방향(좌,우방향)에서 체결(조임)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바(4)의 단부들을 상기 지지대(2) 측에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측방체결부(6)는, 상기 지지대(2)의 지주(S2)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편(B)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편(B)은, 상기 연결바(4) 단부의 연결면(A)과 면(面) 접촉 상태로 맞대어질 수 있도록 평면의 체결면(B1)을 가지며,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주(S2)의 외부면에서 상기 체결면(B1)이 외측을 향하여 세워져서 돌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체결편(B)들은 상기 지주(S2)의 외부면 상에서 둘레를 따라 네 군데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B)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지주(S2)를 만들 때 통상의 프레스 방식으로 상기 지주(S2) 외부면을 눌러서 일체로 형성하거나, 이외에도 용접과 같은 접합 방법으로 접합하여 상기 지주(S2)의 외부면 상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편(B)들을 상기 지주(S2)의 외부면 상에 일체로 형성하면, 상기 체결편(B)들이 일종의 보강 리브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각종 외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주(S2)의 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편(B)들이 지주(S2) 측에 일체로 제공되는 구조는, 예를 들어, 종래의 지지대들과 같이 연결용 어뎁터를 조절용 샤프트 측에 설치하는 비(非) 일체형 구조와 비교할 때,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절용 샤프트의 높낮이 조절시 어뎁터 위치가 쉽게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조립 및 설치 상의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측방체결부(6)와, 상기 연결바(4)는, 체결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측방체결부(6)의 체결편(B) 측에 끼움홀(C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4)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홀(C1)과 대응하는 끼움돌기(C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체결편(B) 측에 상기 연결바(4)의 단부를 맞댄 상태로 체결할 때 상기 끼움홀(C1)과, 끼움돌기(C2)들이 서로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되면서 더욱 안정적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B)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의 지주(S2) 높이와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하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8)와 대응하는 복수 개의 체결홀(B2)들을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연결바(4)들을 체결할 때 설치 환경과 부합하는 높이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상기 연결바(4)들을 상기 지지대(2) 사이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는 상기 체결편(B) 측에 상기 연결바(4)의 단부를 나사 결합으로 체결 고정하거나, 체결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8)는, 나사(screw)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나사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한 측방체결부(6)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체결부재(8)를 측방향에서 체결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대(2)의 지주(S2)에 상기 연결바(4)의 단부를 간편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내바닥면(W)에 지지대(2)들이 간격을 띄우고 놓여진 상태에서 지주(S2)의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편(B)의 체결면(B1) 측에 연결바(4)의 연결면(A)을 면 접촉으로 맞댄 상태에서 체결홀(B2)과, 연결홀(A1)을 관통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8)를 측방향에서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대(2)들 사이에 상기 연결바(4)들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방 체결방식은,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2) 위쪽에 이중바닥판(F)들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체결부재(8)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체결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호환성 및 체결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대(2)들로 이중바닥판(F)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실내바닥면(W) 상에서 상기 이중바닥판(F)들이 평면을 이루도록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2)들의 간격을 유지하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바(4)들을 상기 지지대(2)들 사이에 연결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지지대(2)의 지주(S2)를 향하여 측방향에서 체결부재(8)를 체결하는 이른바, 측방 체결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종래의 지지대들과 같이 나사를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체결 작업을 진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2: 지지대 4: 연결바 6: 측방체결부
8: 체결부재 F: 이중바닥판 W: 실내바닥면

Claims (6)

  1. 이중바닥판들을 받쳐주기 위한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세워진 상태로 실내바닥면에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양쪽 단부에 평면의 연결면이 각각 형성된 연결바들;
    상기 연결바들의 연결면과 대응하는 체결편을 구비하고 이 체결편이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외부면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세워져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측방체결부;
    상기 측방체결부의 체결편과, 상기 연결바의 연결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바의 단부를 상기 지주의 외부면 상에 나사 결합력으로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 중에서 하측 단부는 실내바닥면과 대응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측 단부는 이중바닥판과 대응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방체결부는,
    상기 체결편이 평면의 체결면을 구비하고, 이 체결면이 상기 지주의 외부면 상에서 외측을 향하여 세워져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지주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방체결부는,
    상기 체결편이 상기 지주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끼움돌기와, 끼움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홀은,
    상기 측방체결부의 체결편 측에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끼움 결합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체결편과, 상기 연결바 측에 관통 또는 돌출 형성되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측방체결부의 체결편 측에 상기 연결바의 연결면을 맞댄 상태에서 이들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끼워져서 체결되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20110005122A 2011-01-18 2011-01-18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128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22A KR101281159B1 (ko) 2011-01-18 2011-01-18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22A KR101281159B1 (ko) 2011-01-18 2011-01-18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309A true KR20120099309A (ko) 2012-09-10
KR101281159B1 KR101281159B1 (ko) 2013-07-02

Family

ID=4710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22A KR101281159B1 (ko) 2011-01-18 2011-01-18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35B1 (ko) * 2014-03-27 2015-02-04 주식회사 마루다움 금속제 장선을 이용한 마루틀
RU205273U1 (ru) * 2020-10-28 2021-07-06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фимов Опора фальшпола со свободной посадкой оголовк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67A (ko) 2020-01-14 2021-07-22 윤석희 내진형 이중 바닥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55Y1 (ko) * 1998-04-03 2000-10-02 최윤용 금속마루판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0778524B1 (ko) * 2006-05-24 2007-11-23 황기태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및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KR101111699B1 (ko) * 2009-07-10 2012-02-14 황기태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35B1 (ko) * 2014-03-27 2015-02-04 주식회사 마루다움 금속제 장선을 이용한 마루틀
RU205273U1 (ru) * 2020-10-28 2021-07-06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фимов Опора фальшпола со свободной посадкой оголов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159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RU2710047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крепежная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US9328504B2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JP4884928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KR20100007586U (ko) 커튼레일 고정구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JP2008164212A (ja) エアコン置台
JP4214511B2 (ja) フレーム
JPH0427928Y2 (ko)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JP5969894B2 (ja) パネル取付構造
JP5486158B2 (ja) 二重床用支持脚および二重床構造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200476065Y1 (ko) 케이블 트레이용 트레이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1404384B1 (ko) 욕실용 천정패널
JP6239883B2 (ja) 外壁構造
JP4456447B2 (ja) 壁部支持構造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JP3512011B2 (ja) 持出しを備えたユニットルーム
KR102126921B1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JP2007113190A (ja) 二重床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床パネル
KR200476764Y1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20200010555A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