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931B1 -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931B1
KR101367931B1 KR1020120093135A KR20120093135A KR101367931B1 KR 101367931 B1 KR101367931 B1 KR 101367931B1 KR 1020120093135 A KR1020120093135 A KR 1020120093135A KR 20120093135 A KR20120093135 A KR 20120093135A KR 101367931 B1 KR101367931 B1 KR 10136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fixing bracket
fixing
building
horizon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최서윤
Original Assignee
최서윤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서윤, 김도윤 filed Critical 최서윤
Priority to KR1020120093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하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돌기를 통해 하부 고정브래킷이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조정되어 건축 내외장재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를 적용하여 종래의 조절브래킷이 없는 고정구의 구성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 설치에 대한 시공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면 모서리부분에 각각 내외장재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 내외장재를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에 격자 상으로 배열 고정하여 상기 건축 내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고정브래킷, 조절원판, 고정핀, 하부 고정브래킷 및 상부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하면에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Device for fixing internal and external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하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돌기를 통해 하부 고정브래킷이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조정되어 건축 내외장재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를 적용하여 종래의 조절브래킷이 없는 고정구의 구성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 설치에 대한 시공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내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은 일정 형태 및 크기로 제작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및 앵커 볼트 등의 도구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의 건축 내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한쪽은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다른 한쪽도 마찬가지로 앵커 볼트를 통해서 건축 내외장재에 고정설치되되, 건축물의 벽체와 일정거리를 가지도록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 내외장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형태의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가 건축물의 벽체와 건축 내외장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200)에 벽체 앵커볼트(210) 및 벽체 앵커너트(220)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20)과, 상기 벽체(200)에 대하여 건축 내외장재(3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절브래킷(40)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조절브래킷(40)을 통하여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를 상기 벽체(200)와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연결 고정하는 하부 고정브래킷(50) 및 상부 고정브래킷(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은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형태에서 수직부(21) 상에 장공(22)이 관통 형성되어 벽체 앵커볼트(210) 및 벽체 앵커너트(220)를 매개로 벽체(200)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래킷(20)의 수평부(23) 상측에는 상기 조절브래킷(40)의 후방 측 일정부분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의 수평부(23)와 조절브래킷(4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위치조절공(24, 44)을 통해 위치조절볼트(30)와 위치조절너트(31)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20)에 대한 조절브래킷(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50)은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모서리부 중, 하측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대략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수직부(51) 상에 제1 고정공(52)이 형성되어 내외장재 앵커볼트(310) 및 내외장재 앵커너트(320)를 통하여 상기 제1 수직부(51)가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하측 모서리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50)의 제1 수평부(53)는 중앙부에 제1 고정홀(54)이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제1 고정홀(54)은 상기 조절브래킷(40)의 전방 측에 관통형성된 결합홀(45)에 중앙의 결합부(71)가 결합 고정된 고정핀(70)의 상부 고정핀(72)에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50)은 상기 제1 수직부(51)가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하측 모서리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부(53)가 하면이 상기 조절브래킷(40)의 전방 측 상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60)은 전술한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50)과 수직 상하방향으로 대향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50)과 대응되어 도면부호를 가지는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일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60)은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하측에 인접 설치되는 다른 하나의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상측 모서리부에 중앙에 제2 고정공(62)이 관통 형성된 제2 수직부(61)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60)의 제2 수평부(63)는 상면이 상기 조절브래킷(40)의 전방 측 하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세히 상기 조절브래킷(40)의 전방에 결합된 상기 고정핀(70)의 하부 고정핀(73)에 상기 제2 수평부(63)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2 고정홀(64)이 삽입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상기 벽체(200)와 건축 내외장재들(300, 300')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브래킷(20)과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50) 및 상부 고정브래킷(60) 간에 상기 조절브래킷(40)이 개재되어 상호 상기 위치조절볼트(30), 위치조절너트(31), 고정핀(70)을 통하여 설치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건축물의 상기 벽체(200)에 대하여 상기 조절브래킷(40)을 매개로 상기 건축 내외장재들(300, 300')이 상기 벽체(200)와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고정브래킷(20), 하부 고정브래킷(50), 상부 고정브래킷(60)과 함께 조절브래킷(40)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건축 내외장재 설치 시공이 복잡하여 번거로움과 동시에, 시공에 대한 원가가 부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는 조절브래킷(40)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건축물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200)와 건축 내외장재(300, 300')와의 간격이 넓게 시공되는 문제가 있다.
즉,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벽체(200)에 설치할 경우 건축물 내부의 벽체(200)와 건축 내외장재(300, 300')와의 간격이 넓으므로 인하여, 실내공간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건축물의 외부에 대한 벽체(200)에 설치할 경우에는 건축물 외부의 벽체(200)와 건축 내외장재(300, 300')와의 간격이 넓으므로 인하여, 건축물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확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건축물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대한 필수 구성을 축소하여 설치가 간편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시키는 한편, 건축물 내외장재의 설치시 건축물 내외장재와 건축물 외부의 벽체 또는 내부의 벽체와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하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돌기를 통해 하부 고정브래킷이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조정되어 건축 내외장재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돌기를 적용하여 종래의 조절브래킷이 없는 고정구의 구성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 설치에 대한 시공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의 수평부상에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정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돌기가 하부 고정브래킷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전후조절을 위한 중간부재인 조절브래킷이 없이 구성됨에 따라 건축물 내외장재의 설치시 건축물 내외장재와 건축물 외부 또는 내부의 벽체와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는 후면 모서리부분에 각각 내외장재 앵커볼트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 내외장재를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에 격자 상으로 배열 고정하여 상기 건축 내외장재가 건물의 벽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으로 수직부와 직교하는 수평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조절공이 형성되어 벽체 앵커볼트와 벽체 앵커너트를 통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벽체 앵커볼트와 벽체 앵커너트를 매개로 조립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을 상기 벽체에 고정설치하는 조절원판; 어느 하나의 상기 건축 내외장재의 후면 하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와 내외장재 앵커너트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 수직부와 직교하는 제1 수평부 하면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 밀착 설치되는 하부 고정브래킷;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과 상하방향으로 대향되되 다른 상기 건축 내외장재의 후면 상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와 내외장재 앵커너트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수직부와 직교하는 제2 수평부 상면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상부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1 수평부의 하면에 가이드 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수평부의 위치조절공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조정되어 선택적으로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 수평부의 전방 측에 핀 고정홀이 관통형성되고 후방 측에는 나사고정공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나사고정공에 고정편과 고정볼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수평부 하면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2 수평부가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수평부 후방 측에 상기 제1 수평부의 핀 고정홀과 대응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핀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고정핀이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수평부의 상면 및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하면에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어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의 제2 수평부 상면에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어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요철부와 대응되어 제3 요철부가 형성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상부에 상기 제1 수평부의 핀 고정홀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단으로 상기 핀 고정홀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고 하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몸체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의 상기 제1 수평부 하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 형성되며,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수평부의 상기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된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부 고정브래킷의 제1 수평부 하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돌기를 통해 하부 고정브래킷이 고정브래킷의 수평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조정되어 건축 내외장재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가이드 돌기를 적용하여 종래의 조절브래킷이 없는 고정구의 구성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 설치에 대한 시공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셋째,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의 수평부상에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정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돌기가 하부 고정브래킷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전후조절을 위한 중간부재인 조절브래킷이 없이 구성됨에 따라 건축물 내외장재의 설치시 건축물 내외장재와 건축물 외부 또는 내부의 벽체와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요부인 하부 고정브래킷을 나타낸 요부 저면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에서 요부인 하부 고정브래킷을 나타낸 요부 저면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후면 모서리부분에 각각 내외장재 앵커볼트(310, 310')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 내외장재(300, 300')를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200)에 격자 상으로 배열 고정하여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 300')가 건물의 벽체(200)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고정구이다.
이러한 상기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고정브래킷(110), 조절원판(120), 하부 고정브래킷(150) 및 상부 고정브래킷(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으로 수직부(111)와 직교하는 수평부(115)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조절공(116)이 형성되어 벽체 앵커볼트(210)와 벽체 앵커너트(220)를 통하여 상기 벽체(200)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공(116)은 상기 수평부(115) 길이방향 양단이 평면에서 봤을 때, 반원 형상으로 상기 수평부(115) 상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브래킷(110)은 상기 수직부(111) 상에 상기 벽체(200)에 돌출 설치되는 벽체 앵커볼트(210)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립구멍(112)이 관통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상기 조절원판(120)을 사용하여 상기 벽체 앵커볼트(210)와 벽체 앵커너트(220)를 매개로 조립되어 상기 벽체(200)에 고정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절원판(120)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벽체 앵커볼트(210)와 벽체 앵커너트(220)를 매개로 조립되어 상기 고정브래킷(110)을 상기 벽체(200)에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원판(120)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벽체 앵커볼트(210)가 지나는 장방형의 조절구멍(125)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조절원판(120)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조립구멍(112)에 끼워지는 조립부(121)의 앞쪽으로 상기 조립구멍(125)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절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조립구멍(112) 상에 상기 벽체 앵커볼트(210)와 벽체 앵커너트(220)를 매개로 조립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조절원판(120)은 상기 조절부(123)의 측면에 널링면(127)이 형성되어 상기 널링면(127)에 의해 상기 조절부(123)을 회전시킬 때 미끄럼이 방지되어 용이하게 상기 조절부(123)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어느 하나의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하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310)와 내외장재 앵커너트(320)를 매개로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 수직부(151)와 직교하는 제1 수평부(155) 하면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상기 제1 수평부(155)의 하면에 가이드 돌기(155a)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55a)가 상기 수평부(115)의 위치조절공(11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조정되어 선택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상기 제1 수평부(155)의 전방 측에 핀 고정홀(156)이 관통형성되고 후방 측에는 나사고정공(157)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나사고정공(157)에 고정편(103)과 고정볼트(10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수평부(155) 하면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103)은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을 상기 위치조절공(116)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위치조절공(116) 상에 상기 가이드 돌기(155a)를 통하여 조립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나사고정공(157)과 대응되는 통공(104)을 가지며 그 폭이 상기 위치조절공(116)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정편(103)의 폭은 상기 위치조절공(116)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되, 폭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편(103)의 폭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폭보다 좁고 상기 위치조절공(116)의 폭 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은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과 상하방향으로 대향되되 다른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상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310')와 내외장재 앵커너트(320')를 매개로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수직부(161)와 직교하는 제2 수평부(165) 상면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고정브래킷(160)은 상기 제2 수평부(165)가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제1 수평부(155)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2 수평부(165) 후방 측에 상기 제1 수평부(155)의 핀 고정홀(156)과 대응되는 고정홀(166)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핀 고정홀(156)과 상기 고정홀(166)이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과 상부 고정브래킷(1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일치된 상기 핀 고정홀(156)과 상기 고정홀(166)을 통하여 고정핀(140)이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40)은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상부에 상기 제1 수평부(155)의 핀 고정홀(156)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머리부(141)와, 상기 머리부(141) 하단으로 상기 핀 고정홀(156)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고 하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몸체부(14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하부 고정브래킷(150)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55a)는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상기 제1 수평부(155) 하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가이드 돌기(155a)는 하향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고정브래킷(110)에서 상기 수평부(115)의 상기 위치조절공(116)이 관통 형성된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상기 가이드 돌기(155a)의 하면에 대하여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의 제2 수평부(165) 상면과 간섭이 없이 설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가이드 돌기(155a)는 후단 부분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위치조절공(116)의 후단 부분과 대응되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155a)의 후단 부분이 상기 위치조절공(116)의 후단부분과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이 상기 가이드 돌기(155a)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공(116)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인 조정이 되어 일정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상호 밀착되는 각 구성에 대한 밀착 부분이 상호 미끄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각각 요철부(118), 제1 요철부(158), 제2 요철부(168) 및 제3 요철부(103a)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상기 수평부(115)의 상면 및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제1 수평부(155) 하면에 상기 요철부(118)와 대응되어 제1 요철부(15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의 제2 수평부(165) 상면에 상기 요철부(118)와 대응되어 제2 요철부(168)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편(103)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요철부(118)와 대응되어 제3 요철부(10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요철부(118), 제1 요철부(158), 제2 요철부(168) 및 제3 요철부(103a)를 통하여 상기 고정브래킷(110), 하부 고정브래킷(150), 상부 고정브래킷(160) 및 고정편(103)의 각 구성 간의 밀착이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편(103)은 상면에 상기 제3 요철부(103a)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3 요철부(103a)와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118)가 상호 치합되어 상기 고정볼트(101)를 통한 상기 고정편(103)의 고정시 상기 고정편(103)이 틀어지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는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제1 수평부(155) 하면에 가이드 돌기(155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돌기(155a)를 통해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에 전후방향으로 조정되어 건축 내외장재(300, 300')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55a)를 적용하여 종래의 조절브래킷이 없는 고정구의 구성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 설치에 대한 시공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벽체(200)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에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정되어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155a)가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전후조절을 위한 중간부재인 조절브래킷이 없이 구성됨에 따라 건축물 내외장재의 설치시 건축물 내외장재와 건축물 외부 또는 내부의 벽체와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서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상기 제1 수직부(151) 상에 형성된 제1 고정공(152)이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310)와 대응되는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고정공(15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수직부(161)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고정공(162)도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고정공(16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상기 제1 수직부(151)와 제1 수평부(155)가 직교하는 부분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제1 보강리브(159)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은 상기 제2 수직부(161)와 제2 수평부(165)가 직교하는 부분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제2 보강리브(169)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래킷(110)도 상기 수직부(111)와 수평부(115)가 직교하는 부분에 보강리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101: 고정볼트 103: 고정편
103a: 제3 요철부 104: 통공
110: 고정브래킷 111: 수직부
112: 조립구멍 115: 수평부
116: 위치조절공 118: 요철부
120: 조절원판 121: 조립부
123: 조절부 125: 조절구멍
127: 널링면 140: 고정핀
141: 머리부 142: 몸체부
150: 하부 고정브래킷 151: 제1 수직부
152: 제1 고정공 155: 제1 수평부
155a: 가이드 돌기 156: 핀 고정홀
157: 나사고정공 158: 제1 요철부
159: 제1 보강리브 160: 상부 고정브래킷
161: 제2 수직부 162: 제2 고정공
165: 제2 수평부 166: 고정홀
168: 제2 요철부 169: 제2 보강리브
200: 벽체
210: 벽체 앵커볼트
220: 벽체 앵커너트
300, 300': 건축 내외장재
310, 310': 내외장재 앵커볼트
320, 320': 내외장재 앵커너트

Claims (5)

  1. 후면 모서리부분에 각각 내외장재 앵커볼트(310, 310')가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건축 내외장재(300, 300')를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200)에 격자 상으로 배열 고정하여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 300')가 건물의 벽체(200)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으로 수직부(111)와 직교하는 수평부(115)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조절공(116)이 형성되어 벽체 앵커볼트(210)와 벽체 앵커너트(220)를 통하여 상기 벽체(2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110);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벽체 앵커볼트(210)와 벽체 앵커너트(220)를 매개로 조립되어 상기 고정브래킷(110)을 상기 벽체(200)에 고정설치하는 조절원판(120); 어느 하나의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하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310)와 내외장재 앵커너트(320)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 수직부(151)와 직교하는 제1 수평부(155) 하면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밀착 설치되는 하부 고정브래킷(150);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과 상하방향으로 대향되되 다른 상기 건축 내외장재(300')의 후면 상측 모서리부분에 상기 내외장재 앵커볼트(310')와 내외장재 앵커너트(320')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수직부(161)와 직교하는 제2 수평부(165) 상면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상부 고정브래킷(160)을 포함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은 상기 제1 수평부(155)의 하면에 가이드 돌기(155a)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55a)가 상기 수평부(115)의 위치조절공(116)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조정되어 선택적으로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 수평부(155)의 전방 측에 핀 고정홀(156)이 관통형성되고 후방 측에는 나사고정공(157)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나사고정공(157)에 고정편(103)과 고정볼트(10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수평부(155) 하면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수평부(115)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은 상기 제2 수평부(165)가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제1 수평부(155)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수평부(165) 후방 측에 상기 제1 수평부(155)의 핀 고정홀(156)과 대응되는 고정홀(166)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핀 고정홀(156)과 상기 고정홀(166)에 고정핀이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상기 수평부(115)의 상면 및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18)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제1 수평부(155) 하면에 상기 요철부(118)와 대응되어 제1 요철부(15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160)의 제2 수평부(165) 상면에 상기 요철부(118)와 대응되어 제2 요철부(168)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03)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요철부(118)와 대응되어 제3 요철부(103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40)은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상부에 상기 제1 수평부(155)의 핀 고정홀(156)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머리부(141)와, 상기 머리부(141) 하단으로 상기 핀 고정홀(156)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고 하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몸체부(1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155a)는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150)의 상기 제1 수평부(155) 하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 형성되며,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수평부(115)의 상기 위치조절공(116)이 관통 형성된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0120093135A 2012-08-24 2012-08-24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35A KR101367931B1 (ko) 2012-08-24 2012-08-24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35A KR101367931B1 (ko) 2012-08-24 2012-08-24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931B1 true KR101367931B1 (ko) 2014-02-27

Family

ID=5027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135A KR101367931B1 (ko) 2012-08-24 2012-08-24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7251A (zh) * 2014-04-14 2014-08-0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方管万向安装装置
KR101730394B1 (ko) 2016-05-02 2017-04-26 감상백 시프트 요크의 가공조절 클램프
KR20190007231A (ko) * 2017-07-12 2019-01-22 정기찬 방수턱 거푸집
KR20200093169A (ko) 2019-01-28 2020-08-05 한덕환 건축물의 외장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87B1 (ko) 2006-05-04 2007-08-23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110084697A (ko) * 2010-01-18 2011-07-26 도준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110110627A (ko) * 2010-04-01 2011-10-07 김종성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1129697B1 (ko) 2011-03-18 2012-04-27 김종성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87B1 (ko) 2006-05-04 2007-08-23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110084697A (ko) * 2010-01-18 2011-07-26 도준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110110627A (ko) * 2010-04-01 2011-10-07 김종성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1129697B1 (ko) 2011-03-18 2012-04-27 김종성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7251A (zh) * 2014-04-14 2014-08-0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方管万向安装装置
CN103967251B (zh) * 2014-04-14 2016-08-2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方管万向安装装置
KR101730394B1 (ko) 2016-05-02 2017-04-26 감상백 시프트 요크의 가공조절 클램프
KR20190007231A (ko) * 2017-07-12 2019-01-22 정기찬 방수턱 거푸집
KR102000784B1 (ko) * 2017-07-12 2019-07-16 정기찬 방수턱 거푸집
KR20200093169A (ko) 2019-01-28 2020-08-05 한덕환 건축물의 외장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930B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24726B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1B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TW201708674A (zh) 可調整式籬笆
KR101324727B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060106B1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JP5048418B2 (ja) ボックス配設装置
JP6692606B2 (ja) 二重床の支持構造
KR101166849B1 (ko) 바닥재용 고정구
KR101208104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TW201352124A (zh) 風扇固定裝置
KR102285536B1 (ko) 시스템 선반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TWI384153B (zh) 可調式固定裝置
JPH029040Y2 (ko)
JP5826312B2 (ja) 筐体取付け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取付け具
JP2012255332A (ja)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2455512B1 (ko) 시스템 벽선반
JP6882887B2 (ja) 板材の取付構造及び板材の取付方法
KR101179928B1 (ko) 벽체 배수판 본체 간격조절 마감재
JP4793743B1 (ja) ブラケット一体型手摺
KR0129512Y1 (ko) Pvc반자틀 조립장치
JP4908108B2 (ja) コーナー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