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627A -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627A
KR20110110627A KR1020100030058A KR20100030058A KR20110110627A KR 20110110627 A KR20110110627 A KR 20110110627A KR 1020100030058 A KR1020100030058 A KR 1020100030058A KR 20100030058 A KR20100030058 A KR 20100030058A KR 20110110627 A KR20110110627 A KR 20110110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uilding
building exterior
exterior mater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103B1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10003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10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 등에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붙이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에 대한 대리석의 전후방향 위치조절뿐만 아니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면과 전면이 양쪽의 측면으로 연결되며 전면에 비해 높게 형성된 배면이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앵커 볼트로써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 앵커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 및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 브래킷 안쪽에서 고정 볼트에 체결되는 전후방향 조절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 브래킷의 배면 상에는 앵커 볼트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이 되고, 조립구멍 상에는 앵커 볼트가 지나는 장방형의 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된 조절원판이 조립되되 조절원판은 조립구멍에 끼워지는 조립부의 앞쪽으로 조립구멍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절부가 형성되어 벽 또는 트러스에 설치된 앵커 볼트에 대한 고정 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 등에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붙이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에 대한 대리석의 전후방향 위치조절뿐만 아니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외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 등 석재는 일정 형태와 크기로 가공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등으로써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당한 무게를 가지며 판 형태로 제작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를 통해서 건물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는 벽(20) 또는 트러스 등에 앵커 볼트(22)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2), 건축외장재(30)에 고정 설치된 앵커(32)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14), 앵커(32)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14)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14)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16) 및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이 전후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전후방향 조절 너트(18)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고정 브래킷(12)의 전면 상에는 상부가 개방이 된 형태의 조절 너트 설치홈(12a)이 형성이 되어 있음에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 너트 설치홈(12a)에 위치된 전후방향 조절 너트(18)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브래킷(12)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전후방향 간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12)이 우선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앵커 볼트(22)로써 고정 설치가 된 상태에서 전후방향 조절 너트(18)가 조절 너트 설치홈(12a) 상에 위치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전후방향 조절 너트(18)를 회전 동작시키게 되면 건축외장재(30)에 매립된 앵커(32)에 나사 체결된 고정 볼트(14)가 동작이 되면서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는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은 가능하였으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위치조절이 불가능하여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애로사항이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건물의 벽 등에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붙이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에 대한 대리석의 전후방향 위치조절뿐만 아니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배면과 전면이 양쪽의 측면으로 연결되며 전면에 비해 높게 형성된 배면이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앵커 볼트로써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 앵커에 나사 결합이 된 고정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 볼트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 및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 브래킷 안쪽에서 고정 볼트에 체결되는 전후방향 조절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 브래킷의 배면 상에는 앵커 볼트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이 되고, 조립구멍 상에는 앵커 볼트가 지나는 장방형의 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된 조절원판이 조립되되 조절원판은 조립구멍에 끼워지는 조립부의 앞쪽으로 조립구멍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절부가 형성되어 벽 또는 트러스에 설치된 앵커 볼트에 대한 고정 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서 조절원판의 조절부 외주 상에는 조절시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서 고정 브래킷의 전면과 배면 사이를 잇는 양쪽의 측면 내측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벽에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대한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위치조절뿐만이 아니라 좌우방향 위치조절 및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종래의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를 이용해 건축외장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를 통해 건축외장재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의 고정 브래킷이 벽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의 고정 브래킷이 벽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22)를 매개로 건물의 벽(20)과 건축외장재(30)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10), 고정 브래킷(110) 상에 건축외장재(30)가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고정 볼트(130), 고정 볼트(130)의 한쪽 끝이 고정 브래킷(110)에 조립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한편 고정 브래킷(11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형성된 전후방향 조절 너트(140) 및 건물의 벽에 대한 고정 브래킷(11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결국은 건물의 벽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형성된 조절원판(12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에서 고정 브래킷(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112)과 전면(114)이 양쪽의 측면(116)으로 연결되되 배면(112)은 전면(114)에 비해 높게 형성이 된다. 한편, 고정 브래킷(110)의 배면(112) 상에는 고정 브래킷(110)이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앵커 볼트(22)의 지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 조립구멍(118)이 관통 형성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 형성이 된 고정 브래킷(110)의 조립구멍(118)에는 조절원판(120)이 조립 설치되는데, 조절원판(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구멍(118)에 끼워져 작업자가 회전시킬 수 있게 끼워지는 조립부(122)의 앞쪽으로 조립구멍(118)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절부(124)가 형성이 된다. 즉, 조절원판(120)의 조립부(122)가 고정 브래킷(110)의 조립구멍(118)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립부(124)의 외주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이 된다.
특히, 전술한 조절원판(120) 상에는 고정 브래킷(110)이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 상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앵커 볼트(22)가 통과하는 장방형의 조절구멍(126)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형성이 된다. 고정 브래킷(110)의 조립구멍(118) 내에서 회전 동작이 가능한 조절원판(120)에 조절구멍(126)이 장방형의 형태로 관통 형성이 됨에 따라서 벽(20)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22)를 기준으로 고정 브래킷(110)은 일정 반경의 범위 내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대한 고정 브래킷(11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 및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은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 및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건물의 벽(20)에 박힌 앵커(24)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22) 바깥쪽 끝단 상에는 전술한 조절원판(120)이 고정 브래킷(110) 상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와셔(28)를 매개로 너트(26)가 체결된다. 이때, 앵커 볼트(22)에 체결되는 너트(26)의 체결력이 조절원판(120)을 통해서 고정 브래킷(110)에 전달이 됨에 따라서 고정 브래킷(110)은 벽(20)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에서 조절원판(120)의 외주 상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위치조절을 위해 회전 동작을 시킬 때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면(128)이 형성이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대해서 고정 브래킷(110)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130)와 전후방향 조절 너트(140)를 매개로 고정 브래킷(110)에 건축외장재(30)가 부착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브래킷(110)의 전면(114)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114a)이 형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의 전후방향 조절 너트(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중간 구간에 고정 브래킷(110)에 형성된 조절 너트 설치홈(114a)이 안정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상의 걸림홈(142)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에서 전술한 고정 브래킷(110)의 전면(114)과 배면(112) 사이를 잇는 양쪽의 측면(116) 내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돌기(116a)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를 통해서 건물의 벽(20)에 건축외장재(30)가 부착 설치되는 상태 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100)의 고정 브래킷(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 상에 앵커 볼트(22)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 브래킷(110)의 배면 상에 형성된 조립구멍(118) 상에는 조절원판(120)의 조립부(122)가 끼워지게 되며, 작업자는 앵커 볼트(22) 상에 너트(26)가 완전히 조여지기 전의 상태에서 조절부(124)를 잡고 조절원판(120)을 회전시켜 건물의 벽(20)에 대한 고정 브래킷(110)의 위치를 잡게 된다.
이때, 고정 브래킷(110)은 건물의 벽(20)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22)에 대해서 조절원판(120)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조절구멍(126)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 위치조절, 좌우방향 위치조절 및 대각선방향 위치조절이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건물의 벽(20) 또는 트러스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래킷(110)의 전면(114)에 형성된 조절 너트 설치홈(114a) 상에는 전후방향 조절너트(140)가 위치되고, 이 전후방향 조절너트(140)에는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에 앵커(32)를 매개로 체결된 고정 볼트(130)가 체결이 된다. 이때,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에 박힌 앵커(32)에 체결된 고정 볼트(130)가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정 볼트(130) 상에는 고정 너트(132)가 나사 체결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공구 등을 이용해 전후방향 조절너트(140)를 조이거나 풀어 건물의 벽(20)에 대한 대리석 등 건축외장재(30)의 전후방향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건물의 벽(20)이나 트러스에 건축외장재(30)를 부착 설치하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20)에 대한 건축외장재(30)의 전후방향 위치조절뿐 아니라 좌우방향 위치조절과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서 건축외장재(30)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건축외장재의 정렬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건물의 외관이 더욱 수려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가 있다.
20. 벽 22. 앵커 볼트
24. 앵커 26. 너트
30. 건축외장재 32. 앵커
100.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110. 고정 브래킷
112. 배면 114. 전면
114a. 조절 너트 설치홈 118. 조립구멍
120. 조절 원판 122. 조립부
124. 조절부 126. 조립구멍
128. 널링면 130. 고정 볼트
140. 전후방향 조절 너트 142. 걸림홈

Claims (3)

  1. 배면과 전면이 양쪽의 측면으로 연결되며 전면에 비해 높게 형성된 배면이 건물의 벽 또는 트러스에 앵커 볼트로써 고정 설치되는 한편 전면 상에는 조절 너트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 건축외장재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 되는 고정 볼트, 상기 앵커에 나사 결합이 된 상기 고정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 볼트 상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건축외장재의 전후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 안쪽에서 고정 볼트에 체결되는 전후방향 조절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의 배면 상에는 상기 앵커 볼트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이 되고, 상기 조립구멍 상에는 상기 앵커 볼트가 지나는 장방형의 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된 조절원판이 조립되되 상기 조절원판은 상기 조립구멍에 끼워지는 조립부의 앞쪽으로 상기 조립구멍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조절부가 형성되어 상기 벽 또는 트러스에 설치된 앵커 볼트에 대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하방향 위치조절과 좌우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원판의 조절부 외주 상에는 조절시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전면과 배면 사이를 잇는 양쪽의 측면 내측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20100030058A 2010-04-01 2010-04-01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120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58A KR101208103B1 (ko) 2010-04-01 2010-04-01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58A KR101208103B1 (ko) 2010-04-01 2010-04-01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627A true KR20110110627A (ko) 2011-10-07
KR101208103B1 KR101208103B1 (ko) 2012-12-04

Family

ID=4502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058A KR101208103B1 (ko) 2010-04-01 2010-04-01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1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31B1 (ko) * 2012-08-24 2014-02-27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4030795A1 (ko) * 2012-08-24 2014-02-27 Kim Do-Yun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108149881A (zh) * 2017-12-28 2018-06-12 成都富思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薄抹灰保温装饰板的背面锚固粘结系统及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07Y1 (ko) 2005-01-21 2005-04-14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00163Y1 (ko) 2005-08-17 2005-11-02 전동운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88948B1 (ko) 2007-01-29 2007-12-27 김종성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KR100950565B1 (ko) 2009-05-15 2010-04-01 김종성 건축 마감재 설치용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31B1 (ko) * 2012-08-24 2014-02-27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4030795A1 (ko) * 2012-08-24 2014-02-27 Kim Do-Yun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367930B1 (ko) *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108149881A (zh) * 2017-12-28 2018-06-12 成都富思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薄抹灰保温装饰板的背面锚固粘结系统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103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565B1 (ko) 건축 마감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08103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JP5756366B2 (ja) 胴縁留め付け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施工方法
KR20110126982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JP3194864U (ja) 高さ調整式杭
KR1007719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00010115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041078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EP1471206B1 (en) Fastening means, and method for making a casing using such a fastening means.
KR200443410Y1 (ko) 인공암벽용 홀드 풀림방지 체결시스템
KR100705640B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38892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28425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090070563A (ko)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JP2007270532A (ja) 外壁外装部材の取付構造
JP2010090702A (ja) 建築用ファスナー
US11008751B2 (en) System for fastening attachments to a substrate with an insulation layer
KR101152930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위치설정장치
JP5239957B2 (ja) 外壁パネル取付構造
KR20090013135U (ko) 스파이더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리패널 고정구
KR10066105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42208B1 (ko) 건축용 타일 조립 유닛 및 이를 갖는 건축용 벽 구조물
JP2011132777A (ja) 胴縁固定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51725A (ko) 건축외장재 설치 기구
US20130320162A1 (en)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