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861U -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861U
KR20090012861U KR2020080007861U KR20080007861U KR20090012861U KR 20090012861 U KR20090012861 U KR 20090012861U KR 2020080007861 U KR2020080007861 U KR 2020080007861U KR 20080007861 U KR20080007861 U KR 20080007861U KR 20090012861 U KR20090012861 U KR 200900128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pring
integrated
support nut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양
Original Assignee
서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양 filed Critical 서대양
Priority to KR2020080007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861U/ko
Publication of KR20090012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물의 외부 몰딩 장식물 등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높은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는 바디와 헤드를 갖는 볼트와, 중공을 구비하며 볼트 바디에 중공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으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외부 장식 몰딩을 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건물의 백프레임 개구부에 앵커 볼트를 대체하여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Bolt attached spring and clip angle supporting device including it}
본 고안은 스프링 일체형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시공되는 백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볼트 및 이를 이용한 클립 앵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모델링 공사와 같이 건물 외벽에 석재판 등의 장식 몰딩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건물 외벽에 백프레임과 클립 앵글을 포함하는 하지철물을 설치한 후 석재판을 설치해야 한다. 클립 앵글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석재 거치용 패스너가 연결되고, 패스너에는 석재판이 올려진다. 클립 앵글은 'ㄱ'자 형상의 브라켓으로 앵커 볼트를 백프레임에 고정 설치하여 양자를 체결한다.
종래에 백프레임에 앵커 볼트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백프레임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볼트를 외벽측으로부터 관통공을 통과시킨 후 반대측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수평 백프레임에 클립 앵글을 걸어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자의 경우 작업 시 앵커 볼트의 위치가 틀리게 되면 이를 교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사 결합된 볼트와 너트가 풀리게 되면 재체결이 용이하지 않는 등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평 백프레임의 설치 위치는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 위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클립 앵글의 교정 범위도 매우 좁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외부 몰딩 장식물 등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높은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는 바디와 헤드를 갖는 볼트와, 중공을 구비하며 볼트 바디에 중공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으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의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며, 코일스프링의 단부는 볼트 헤드와 지지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의 상기 지지너트의 중공은 단턱을 구비하고, 단턱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볼트 헤드가 면접촉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의 상기 지지너트는 장방형을 가지며, 대향하는 대각선 모서리 두 쌍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의 상기 지지너트에는 적어도 한 쌍의 요철홈이 중공을 사이에 두고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의 상기 볼트와 지지너트는 프레스 성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와, 이 볼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백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는 바디와 헤드를 갖는 볼트와, 중공을 구비하며 볼트 바디에 중공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으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외부 장식 몰딩을 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건물의 백프레임 개구부에 앵커 볼트를 대체하여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일체형 볼트는 바디(12)와 헤드(14)를 구비하는 볼트(10)와, 중공(22)을 구비하는 지지너트(20)와,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볼트(10)의 바디(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14)는 단턱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마련된다. 하단 헤드(16)는 상단보다 직경이 넓으며, 상단 헤드(14)에는 드라이브 등의 공구를 통해 볼트(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십자, 일자 형태의 홈이 파여 있다.
지지너트(20)는 장방형을 가지며, 중심측에 중공(22)을 구비한다. 중공(22) 은 볼트(10)의 바디(12)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벽에 나사산을 구비한다. 지지너트(20)의 일측 중공(22)에는 볼트(10)의 하단 헤드(16)와 면접촉하도록 단턱홈(24)이 마련된다. 단턱홈(24)의 직경은 볼트 헤드(1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장방형의 지지너트(20)는 대향하는 대각선 모서리 두 쌍 중 적어도 어느 한 쌍(20a,20b)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지지너트(20)의 일면(2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요철홈(26)이 중공(22)을 사이에 두고 마련된다. 한 쌍의 모서리(20a,20b)와 요철홈(26)은 후술할 백프레임에 지지너트(2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탄성부재(30)는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인발형 스프링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을 예시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도 가능하다.
코일스프링(30)은 단부가 지지너트(20)의 단턱홈(24)에 삽입된 후, 볼트 헤드(16)와 단턱홈(24)의 외곽에 마련되는 밴딩돌기(28)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지지너트(20)에 고정된다. 밴딩돌기(28)는 지지너트(20)의 단턱홈(24)에 근접한 부위를 코킹하는 등의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 일체형 볼트는 코일스프링(30)을 볼트 바디(12)에 끼운 후 지지너트(20)에 나사 결합하여 조립한다. 코일스프링(30)의 단부는 볼트 헤드(16)와 지지너트(20)의 사이에서 견고히 결합된다. 코일스프링(30)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볼트 바디(12)와 지지너트(20)의 중공(22)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볼트(10)와 지지너트(20)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하여 나선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일체형 볼트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금속재료를 프레스로 성형한 것으로서, 볼트(10)와 지지너트(20)는 일체로 가공되며, 지지너트에 소정의 홈(29)을 파고, 홈(29)에 코일스프링(30)을 강제 압입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방식은 볼트의 강성, 내충격성 등은 일 실시예의 볼트와 동일하면서도 제조 단가를 크게 낮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코일스프링(30)은 지지너트(20)의 홈에 강제 압입된 것으로 예시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땜, 코킹 등의 방식도 채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일체형 볼트(1)는 개구부(42)를 갖는 백프레임(40)에 코일스프링(30)이 대향하도록 하면서 세로 방향(단방향)으로 밀어 넣은 후 가로방향(장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일체형 볼트(1)는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회전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다.
백프레임(40)에 삽입된 스프링 일체형 볼트(1)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지지너트(20) 배면이 탄성 지지되어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한편, 전면이 백프 레임(40)의 개구부 단부(44)에 마련되는 요철가이드(미도시)에 스프링 일체형 볼트(1)의 요철홈(26)이 선택적으로 치합하면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된다.
이러한 스프링 일체형 볼트(1)는 클립 앵글(2)의 일단부 슬릿(3)을 관통시킨 후 너트와 와셔(미도시)로 고정시키고, 타단부 슬릿(4)에 패스너(미도시)를 설치하게 되면 석재판과 같은 건물외관 장식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일체형 볼트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스프링 일체형 볼트 2..클립 앵글
10..볼트 12..바디
14..헤드 20..지지너트
22..중공 26..요철홈
30..탄성부재(코일스프링)

Claims (7)

  1. 바디와 헤드를 갖는 볼트와, 중공을 구비하며 볼트 바디에 상기 중공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으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며, 코일스프링의 단부는 볼트 헤드와 지지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의 중공은 단턱을 구비하고, 단턱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볼트 헤드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는 장방형을 가지며, 대향하는 대각선 모서리 두 쌍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에는 적어도 한 쌍의 요철홈이 중공을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지지너트는 프레스 성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으로 마련되는 스프링 일체형 볼트와,
    상기 볼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백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KR2020080007861U 2008-06-12 2008-06-12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KR200900128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61U KR20090012861U (ko) 2008-06-12 2008-06-12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61U KR20090012861U (ko) 2008-06-12 2008-06-12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61U true KR20090012861U (ko) 2009-12-16

Family

ID=4929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861U KR20090012861U (ko) 2008-06-12 2008-06-12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86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70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천장 및 벽면 마감장치
KR101688913B1 (ko) * 2016-07-01 2016-12-22 주식회사 성산알앤씨 트러스
KR102290011B1 (ko) * 2020-12-10 2021-08-13 이운선 트러스용 연결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70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천장 및 벽면 마감장치
KR101688913B1 (ko) * 2016-07-01 2016-12-22 주식회사 성산알앤씨 트러스
KR102290011B1 (ko) * 2020-12-10 2021-08-13 이운선 트러스용 연결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JP6816050B2 (ja) 電子機器固定用ブラケット及び電子機器固定構造
RU2002124440A (ru) 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стене, имеющей слой изоляции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US7959126B2 (en) Moldboard positioning assembly and use thereof
KR100562998B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TW201303177A (zh) 螺絲結構
JP7002324B2 (ja) 部材取付用治具
KR100858636B1 (ko)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JP2006200155A (ja) 壁裏補強板
KR20090129301A (ko)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101208104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70084651A (ko)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JP2008045388A (ja) デッキ材の取り付け構造
JP2002294975A (ja) パネル取付構造
KR200432715Y1 (ko) 조립식 패널
KR101743207B1 (ko) 건축외장재 설치 기구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JP2006152611A (ja) コンクリート天端表示具
KR101535965B1 (ko) 비정형 외장패널 고정 브라켓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JP5714643B2 (ja) タイル状部材の固定レール
JP4774384B2 (ja) パイプ取付構造
JP4686695B2 (ja) スリット導水溝を有する水路に取付けるグレーチングを支承する受枠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