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301A -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301A
KR20090129301A KR1020080103655A KR20080103655A KR20090129301A KR 20090129301 A KR20090129301 A KR 20090129301A KR 1020080103655 A KR1020080103655 A KR 1020080103655A KR 20080103655 A KR20080103655 A KR 20080103655A KR 20090129301 A KR20090129301 A KR 2009012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rame
decorative material
back fram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매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매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매크로
Publication of KR2009012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물 외벽에 장식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높은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는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클립 앵글이 체결되는 바디 및 헤드를 갖는 볼트와, 볼트의 바디가 나사 결합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으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앵글고정구;와, 앵글고정구가 삽입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가 지지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 백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식재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장식재 시공방법은 이러한 장식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수평 백프레임 없이 수직 백프레임만으로 장식재를 시공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며, 앵글고정구를 이용하여 장식재의 설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효율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앵글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들의 시공 능력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시공 오차를 최소화하면서도 공사기일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ngle fixing device for building external walldecoration mo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석재나 합성수지재 등의 외부 장식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축이나 리모델링 공사 시 건물 외벽에 석재판, 동상 몰딩 등과 같은 외부 장식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건물 외벽에 백프레임과, 백프레임에 장식재를 고정하기위한 클립 앵글을 포함하는 하지철물을 설치해야 한다.
골조를 형성하는 백프레임은 통상 복수의 수직재와 수평재를 조합하여 설치하며, 클립 앵글은 수평재에 설치된다. 클립 앵글은 'ㄱ'자 형상의 브라켓으로 수평재에 걸어 고정되며, 이 클립 앵글에 플레이트 형상의 장식재 거치용 패스너를 체결하여 장식재를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의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은, 예를 들어 1000×600mm 석재 판을 시공할 경우, 수직 및 수평 백프레임을 장식재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배치하였다. 즉, 한 장의 석재판 기준으로 석재판과 동일한 폭으로 수직 백프레임 두 개, 동일 높이로 수평 백프레임 두 개를 설치해서 석재판을 구조적으로 지지했기 때문에, 골조 백프레임을 작업하는 데에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치수 관계도 상당히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수평 백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클립 앵글은 수평 백프레임의 가로위치가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좁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 현장에서 보면 클립 앵글의 상하 높이 조정은 ±7m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벽에 장식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높은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를 시공하기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는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클립 앵글이 체결되는 바디를 갖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바디가 나사 결합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에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앵글고정구와, 앵글고정구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앵글고정구의 위치가 지지되는 백프레임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를 시공하기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의 백프레임은 지지프레임과, 개구부가 마련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를 시공하기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의 지지너트는 장방형을 가지며, 대향하는 대각선 모서리 두 쌍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를 시공하기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의 상기 지지너트는 적어도 한 쌍의 요철홈이 마련되고, 상기 백프레임의 개구부에는 상기 요철홈과 치합하는 요철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 백프레임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단계와, 수직 백프레임에 장식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앵글고정구를 조립하는 단계와, 앵글고정구에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클립 앵글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식재는 판재 형상을 가지며, 수직 백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가 외부 장식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백프레임은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앵글고정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 백프레임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백프레임은 지지프레임과, 개구부가 마련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앵글고정구는 클립 앵글이 체결되는 볼트와, 볼트가 수직 백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너트와, 지지너트를 개구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수평 백프레임 없이 수직 백프레임만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며, 앵글고정구를 이용하여 장식재의 설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 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효율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앵글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들의 시공 능력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시공 오차를 최소화하면서도 공사기일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 장식재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외부 장식재로 석재판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은 건물 외벽(1)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백프레임(10)과, 석재판(4)을 시공하기 위해 각 수직 백프레임(10)에 조립되는 앵글고정구(20)를 포함하는 장식재 고정장치를 이용한다.
수직 백프레임(10)은 석재판(4) 한 장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석재판 내측으로 설치된다. 종래에는 수평 백프레임에 클립 앵글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수직 백프레임의 위치는 수평 백프레임의 클립 앵글 설치를 제한하지 않는 석재판의 외측 테두리일 수 밖에 없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백프레임을 시공하지 않으므로 수직 백프레임(10)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수직 백프레임(10)은 석재판(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석재판 전체를 등분하는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건물 외부 장식재는 석재, 알루미늄, 합성수지 패넬 등 그 소재 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중량도 가지각색이므로, 장식재의 중량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백프레임(10)은 충분히 설치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재판(4) 한 장에 두 개의 수직 백프레임(10)을 석재판 내측에 설치하였다.
수직 백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2)과 앵글고정구(20)가 조립되는 고정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12)은 종래의 수직 백프레임으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앵커볼트(미도시)와 브라켓을 통해 체결 고정된다.
고정프레임(14)은 앵글고정구(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강판재를 C자형태로 가공하여 개구부(16)를 마련한 것이다. 고정프레임(14)의 내측으로는 절곡되는 양측 단부에는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요철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앵글고정구(20)는 고정프레임(14)의 개구부(16)에 조립되어 클립 앵글(2)을 체결하기 위한 일종의 앵커볼트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앵글고정구(20)는 바디(22)와 헤드(24)를 구비하는 볼트(21)와, 중공(27)을 구비하는 지지너트(26)와, 탄성부재(29)를 포함한다.
볼트(21)의 바디(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24)는 단턱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마련된다. 하단 헤드(25)는 상단보다 직경이 넓으며, 상단 헤드(24)에는 드라이브 등의 공구를 통해 볼트(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십자, 일자 형태의 홈이 파여 있다.
지지너트(26)는 장방형을 가지며, 중심측에 중공(27)을 구비한다. 중공(27) 은 볼트(21)의 바디(22)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벽에 나사산을 구비한다. 지지너트(26)의 일측 중공(27)에는 볼트(21)의 하단 헤드(25)와 면접촉하도록 단턱홈(27a)이 마련된다. 단턱홈(27a)의 직경은 볼트 헤드(2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장방형의 지지너트(26)는 대향하는 대각선 모서리 두 쌍 중 적어도 어느 한 쌍(26a,26b)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지지너트(26)의 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요철홈(28)이 중공(27)을 사이에 두고 마련된다. 한 쌍의 모서리(26a,26b)는 앵글고정구(20)를 고정프레임(14)의 개구부(16)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며, 요철홈(28)은 수직 백프레임(10)의 고정프레임(14)에 마련되는 요철부(18)와 치합하면서 지지너트(26)의 위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부재(29)는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인발형 스프링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도 가능하다. 코일스프링(29)은 단부가 지지너트(26)의 단턱홈(27a)에 삽입된 후, 볼트 헤드(25)와 단턱홈(27a)의 외곽에 마련되는 코킹돌기(27b)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지지너트(26)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앵글고정구(20)는 코일스프링(29)을 볼트 바디(22)에 끼운 후 지지너트(26)에 볼트(21)를 나사 결합하여 조립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볼트 바디(22)와 지지너트(26)의 중공(27)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물질을 코팅하면 나선결합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글고 정구(20)는 프레스로 성형 가공할 수도 있다. 프레스 성형은 볼트(21)와 지지너트(26)를 일체로 가공하며, 코일스프링(29)은 지지너트(26)에 소정의 홈을 판 후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강제 압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식은 앵글고정구의 강성과 내충격성 등은 조립 방식과 동일하면서도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백프레임(10)과 앵글고정구(20)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 장식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 외벽(1)에 골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 백프레임(10)을 설치한다. 수직 백프레임(10)은 고층 건물의 경우 앵커 브라켓(미도시)을 이용하면 연속적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다. 각 수직 백프레임(10)의 개구부에는 복수의 앵글고정구(20)이 조립된다.
앵글고정구(20)를 수직 백프레임(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프레임(14)의 개구부(16)의 폭에 들어갈 수 있도록 앵글고정구(20)를 먼저 어느 일방향(단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9)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지지너트(26)를 누르면서 개구부(16) 안으로 밀어 넣는다.
지지너트(26)가 개구부(16) 안으로 들어가면, 라운딩 처리된 모서리(26a,26b)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앵글고정구(20)를 회전시켜서 지지프레임(14)의 요철부(18)와 앵글고정구(20)의 요철홈(28)이 치합하도록 한다. 치합 상태의 앵글고정구(20)는 코일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가 유지된다.
위치가 고정된 앵글고정구(20)의 볼트 바디(21)에는 'ㄱ'자 형상의 클립 앵글(2) 일단이 나사 결합되고, 타단에는 패스너(3)가 나사 결합된다. 석재판(4)은 패스너(3)에 의해 최종적으로 수직 백프레임(10)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백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수직 백프레임(10')은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지지프레임(12)과 고정프레임(14)이 일체로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수직 백프레임(10')은 금속판재를 절곡하거나 압출, 인발 등의 소성 가공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수직 백프레임(10')에 사용되는 앵글고정구(20)는 백프레임의 달라진 깊이 만큼 앵글고정구(20)의 지지너트 및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부 장식재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백프레임과 앵글고정구를 포함하는 장식재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고정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백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외벽 2..클립 앵글
3..패스너 4..석재판
10,10'..수직 프레임 12..지지프레임
14..고정프레임 16..개구부
18..요철부 20..앵글고정구
21..볼트 26..지지너트
28..요철홈 29..탄성부재(스프링)

Claims (10)

  1.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 백프레임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 백프레임에 장식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앵글고정구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앵글고정구에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클립 앵글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식재는 판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직 백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가 외부 장식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백프레임은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앵글고정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 백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백프레임은 지지프레임과, 개구부가 마련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고정구는 클립 앵글이 체결되는 볼트와, 볼트가 수직 백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너트와, 지지너트를 개구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고정구는 수직 백프레임에 일방향으로 삽입된 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방법.
  7.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클립 앵글이 체결되는 바디를 갖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바디가 나사 결합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지지너트와, 볼트 바디의 반대측에서 지지너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앵글고정구와,
    상기 앵글고정구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앵글고정구의 위치가 지지되는 백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백프레임은 지지프레임과, 개구부가 마련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는 장방형을 가지며, 대향하는 대각선 모서리 두 쌍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는 적어도 한 쌍의 요철홈이 마련되고,
    상기 백프레임의 개구부에는 상기 요철홈과 치합하는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KR1020080103655A 2008-06-12 2008-10-22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129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88 2008-06-12
KR20080055388 2008-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01A true KR20090129301A (ko) 2009-12-16

Family

ID=4168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655A KR20090129301A (ko) 2008-06-12 2008-10-22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3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247B1 (ko) * 2011-05-02 2013-02-22 (주)수암이엔씨 찬넬 스프링 락 너트
CN109667411A (zh) * 2019-01-30 2019-04-23 杨洋 一种构造装饰柱的施工方法
KR102345017B1 (ko) * 2020-09-18 2021-12-29 건승 주식회사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247B1 (ko) * 2011-05-02 2013-02-22 (주)수암이엔씨 찬넬 스프링 락 너트
CN109667411A (zh) * 2019-01-30 2019-04-23 杨洋 一种构造装饰柱的施工方法
KR102345017B1 (ko) * 2020-09-18 2021-12-29 건승 주식회사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0841565B1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20090129301A (ko)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37960B1 (ko) 트러스 조립체
US10208484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panel to a facade
JP4119856B2 (ja) 屋外の床形成用デッキ
JP5500560B2 (ja) 転倒防止治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WO2008116741A1 (en) Complex of modular elements for forming dividing walls
JP2014139378A (ja) 後付け断熱天井板の取付工法、及び天井構造
KR102113530B1 (ko) 목재판 벽면 시공용 고정클립
JP6503899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端部処理装置
JP4182482B2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
KR200432715Y1 (ko) 조립식 패널
KR20080006020U (ko) 강화유리패널 칸막이 체결브라켓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102620785B1 (ko) 건축물 외장용 무코킹 알루미늄 복합판넬 결합장치
CN212176408U (zh) 一种墙面板材结构
JP5822588B2 (ja) 建築用パネル取付補助具及び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JP5427059B2 (ja) コーナ用壁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JP2008045388A (ja) デッキ材の取り付け構造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0452456Y1 (ko) 바닥재 고정장치
JP3090165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