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017B1 -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 Google Patents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017B1
KR102345017B1 KR1020200120849A KR20200120849A KR102345017B1 KR 102345017 B1 KR102345017 B1 KR 102345017B1 KR 1020200120849 A KR1020200120849 A KR 1020200120849A KR 20200120849 A KR20200120849 A KR 20200120849A KR 102345017 B1 KR102345017 B1 KR 10234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bolt
bolt head
brack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진
이수호
Original Assignee
건승 주식회사
(주)쏠라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승 주식회사, (주)쏠라에스티 filed Critical 건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 내부에서 볼트의 회전이 구조적으로 방지되고, 프로파일에서 체결위치로 볼트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프로파일 내부에 별도의 요철구조와 같은 제작하기 곤란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없이도 볼트와 프로파일의 결합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이 달성되는 내진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구조는, 부재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를 통해 프로파일에 장착하는 내진형 구조에 있어서, 볼트 헤드와, 상기 볼트 헤드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헤드가 너트와의 사이에 게재되는 프로파일을 가압하면서 미끄럼 방지되는 미끄럼방지부가 상기 볼트 헤드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가압볼트; 및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가이드홈에 상기 볼트 헤드가 통과될 수 있는 헤드통공과, 상기 가이드홈에 연통되되 상기 볼트 헤드가 이동가능한 공간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의 내부를 구획하는 슬라이드채널이 형성되는 프로파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Non-welding Bracket Mounting Structure Using Profile And Pressure Bolt}
본 발명은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로파일 내부에서 볼트의 회전이 구조적으로 방지되고, 프로파일에서 체결위치로 볼트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프로파일 내부에 별도의 요철구조와 같은 제작하기 곤란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없이도 볼트와 프로파일의 결합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이 달성되는 내진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패널 등 건축물 내/외장재, 비구조물, 태양광 발전 구조물 및 기타구조물 등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이나 슬라브에 특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을 조립하는데, 이와 같은 프로파일에는 T형 볼트 등을 이용하여 패널 고정용 브라켓 등을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T형 볼트는 프로파일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기는 하지만, 위치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T형 볼트가 추락하거나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T형 볼트가 헛도는 등의 문제로 너트를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21006호(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구성되는 스틸 각관과 이를 이용하여 용접없이 브라켓, 볼트의 조립만으로 트러스형 구조물을 건물 벽체에 설치하여 내/외장재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T형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종래기술의 명세서는, 사각 단면을 갖되 대향하는 2면에 대칭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볼트 머리 삽입홈과, 볼트 머리 삽입홈의 내측의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볼트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볼트 머리 삽입홈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볼트 회전방지 돌기가 외부에서 쉽게 볼 수가 없어 볼트 머리가 상기 볼트 회전방지 돌기에 안정적으로 걸리게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볼트 머리를 볼트 머리 삽입홈에 삽입하여 체결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볼트 머리가 볼트 회전방지 돌기에 걸리게 되므로 볼트 머리의 방향을 조향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내/외장재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스틸각관(프로파일)에 볼트와 너트 결합으로 체결할 때 브라켓이 임의로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브라켓을 가압 또는 파지한 상태로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006호(2018.1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파일 내부에서 볼트의 회전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파일에서 체결위치로 볼트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파일 내부에 별도의 요철구조와 같은 제작하기 곤란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없이도 볼트와 프로파일의 결합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이 달성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외장재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의 임의 회전 및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프로파일에 체결할 수 있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는, 부재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를 통해 프로파일에 장착하는 내진형 구조에 있어서, 볼트 헤드와, 상기 볼트 헤드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헤드가 너트와의 사이에 게재되는 프로파일을 가압하면서 미끄럼 방지되는 미끄럼방지부가 상기 볼트 헤드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가압볼트; 및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가이드홈에 상기 볼트 헤드가 통과될 수 있는 헤드통공과, 상기 가이드홈에 연통되되 상기 볼트 헤드가 이동가능한 공간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의 내부를 구획하는 슬라이드채널이 형성되는 프로파일;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 헤드는 종단면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상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에서 나사부가 연결되는 일면에 미끄럼방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슬라이드채널은 상기 볼트 헤드의 횡단면에 부합되게 직사각형상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볼트 헤드는 종단면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상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의 측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슬라이드채널은 상기 볼트 헤드의 횡단면에 부합되게 사다리꼴형상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이 프로파일에 체결될 때 상기 브라켓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을 통과한 상기 볼트의 나사부에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프로파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촉부가 면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와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촉부는, 상기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프로파일의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고 그 선단에는 단면이 감소되어 형성되는 가압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에 의하면, 볼트 헤드의 단면에 대응되게 프로파일 내측으로 볼트 헤드가 이동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는 공간을 갖는 슬라이드채널이 구비되어 특별한 회전방지 구조 없이도 너트와의 체결시에 볼트의 회전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파일에 볼트 헤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볼트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원하는 체결위치로 볼트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파일 내부에 별도의 요철구조와 같은 제작하기 곤란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없이도 볼트와 프로파일의 결합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이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내/외장재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의 임의 회전 및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프로파일에 체결할 수 있어 브라켓 장착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헤드통공과 상기 헤드통공에 삽입되는 볼트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와샤가 채용된 내진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회전방지와샤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장착구조로 프로파일에 브라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헤드통공과 상기 헤드통공에 삽입되는 볼트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헤드통공과 상기 헤드통공에 삽입되는 볼트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구조는 가압볼트(10)와 프로파일(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 볼트(10)는 상기 볼트 헤드(11)의 후면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2)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헤드(11)가 너트와의 사이에 게재되는 프로파일(20)을 가압하면서 미끄럼 방지되는 미끄러방지부(13)가 상기 볼트 헤드(11)의 후면에 형성된다.
볼트 헤드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볼트 헤드는 종단면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상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에서 나사부가 연결되는 후면에 미끄럼방지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3)는 다양한 형상 및 소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미끄럼을 최소화하도록 볼트 헤드의 횡방향(프로파일의 폭방향)으로 톱니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톱니형태의 홈은 상기 볼트 헤드의 후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프로파일(2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가이드홈(21)에 상기 볼트 헤드(11)가 통과될 수 있는 헤드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프로파일(20)에는 여러 개소에서 상기 볼트 헤드(11)를 상기 헤드통공(22)에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헤드통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1)에 연통되되 상기 볼트 헤드(11)가 이동 가능하되 회전되지는 않는 공간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20)의 내부를 구획하는 슬라이드채널(23)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통공(22)을 통해 볼트 헤드(11)가 프로파일(20)에 삽입되면(도 2의 ① 참조), 프로파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1)과 슬라이드채널(23)을 통해 프로파일(20)의 높이방향으로 볼트(10)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도 2의 ② 참조).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중에도 볼트 헤드(11)는 슬라이드채널(23)에 의해 회전 제한된 상태이므로 어느 위치에서도 볼트 헤드(11)는 헤드통공(22)에 삽입된 배치를 유지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21), 헤드통공(22), 및 슬라이드채널(23)이 프로파일(20)의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면에도 추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프로파일(20)에 볼트 헤드를 삽입 후 특정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브라켓(40)을 볼트(10)의 나사부(12)에 끼운 후 와샤를 게재하여 나사부(12)에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프로파일(20)에 브라켓(40)을 장착한다. 이때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너트를 체결하여 브라켓(40)을 가압하기 전에는 브라켓(40)은 나사부(1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볼트와 너트 결합시에도 브라켓(40)은 임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즉 너트(N)를 나사부(12)에 완전히 조이기 전에도 브라켓(40)이 회전되지 않고 의도한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와샤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방지와샤(30)가 사용된다.
상기 회전방지와샤(30)는 상기 브라켓(40)이 프로파일(20)에 체결될 때 상기 브라켓(4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일단에는 브라켓(40)에 형성된 장공(41)을 통과한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2)에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브라켓의 장공(41)을 통해 상기 프로파일(20)의 가이드홈(21)에 삽입되는 삽입촉부(32)가 면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촉부(32)는, 상기 볼트(10)와 너트(N)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20)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프로파일(20)의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고 그 선단에는 단면이 감소되어 형성되는 가압촉(32a)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촉(32a)은 프로파일(20)의 내주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채널(23)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브라켓(40)의 미끄러짐, 회전운동 및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회전방지와샤(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방지와샤의 형상(사각형((a), (b)) 또는 원형((c), (d)) 등) 및 삽입촉부의 형성위치(외측((a), (c)) 또는 내측((b), (d)))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회전방지와샤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를 체결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10)의 볼트 헤드(11)를 프로파일(20)의 헤드통공(22)에 삽입하면, 프로파일(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가이드홈(21)과 슬라이드채널(23)을 따라 프로파일(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나사부(12)가 노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가압볼트(10)의 위치가 결정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볼트(10)의 나사부(12)가 장공(41)에 끼워지게 브라켓(40)을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브라켓(40)의 이동을 방지하고 너트 체결시에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와샤(30)가 상기 나사부(12)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와샤(30)에는 상기 브라켓(40)의 장공(41) 및 프로파일(20)의 가이드홈(21)에 삽입 가능한 삽입촉부(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방지와샤(30)를 나사부(12)에 끼우면 상기 삽입촉부(32)가 브라켓(40)의 장공(41) 및 프로파일(20)의 가이드홈(21)에 끼워져 브라켓(4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10)의 나사부(12)에 너트(N)를 체결하면 브라켓(40)과 회전방지와샤(30)를 가압하면서 프로파일(20)에 대해 브라켓(40)이 장착된다. 이때 회전방지와샤(30)를 가압하면, 회전방지와샤(30)의 삽입촉부(32)에 형성된 가압촉(32a)이 프로파일(20)의 내주면, 더 자세하게는, 슬라이드채널(23)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브라켓(4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헤드통공과 상기 헤드통공에 삽입되는 볼트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가압볼트(10)의 볼트 헤드(11)가 종단면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상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11)의 측면에 미끄럼방지부(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볼트 헤드(11)는 전면에서 나사부(12)가 연결되는 후면을 향하여 양 측면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사다리꼴형상 단면의 측면에 미끄럼방지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3')는,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 헤드(11)의 측면에서 볼트 헤드의 횡방향(프로파일의 폭방향)으로 톱니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톱니형태의 홈은 상기 볼트 헤드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20)의 슬라이드채널(23)은 상기 볼트 헤드(11)의 횡단면에 부합되게 사다리꼴형상의 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압볼트(10)에 너트(N)가 체결되면, 볼트 헤드(11)의 후면 및 측면이 슬라이드채널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고, 특히 볼트 헤드(11)의 측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3')가 슬라이드채널(23)의 대향면을 가압하여 프로파일(20)의 길이방향으로 볼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가압볼트 11 : 볼트 헤드 12 : 나사부
13 : 미끄럼방지부
20 : 프로파일 21 : 가이드홈 22 : 헤드통공
23 : 슬라이드채널
30 : 회전방지와샤 31 : 통공 32 : 삽입촉부
32a : 가압촉
40 : 브라켓 41 : 장공
N : 너트

Claims (5)

  1. 부재가 설치되는 브라켓(40)을 볼트와 너트를 통해 프로파일(20)에 장착하는 내진형 구조에 있어서,
    볼트 헤드(11)와, 상기 볼트 헤드(11)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2)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헤드가 너트와의 사이에 게재되는 프로파일을 가압하면서 미끄럼 방지되는 미끄럼방지부(13)가 상기 볼트 헤드의 후면 또는 측면 전체에 일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가압볼트(10); 및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가이드홈(21)에 상기 볼트 헤드(11)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 헤드(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통공(22)과, 상기 가이드홈(21)에 연통되되 그 내부에서 볼트의 회전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위치로 볼트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트 헤드(11)가 이동가능하되 회전되지는 않는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볼트 헤드(11)의 폭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파일(20)의 내부를 구획하는 슬라이드채널(23)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볼트(10)의 볼트 헤드(11)는 상기 나사부(12)와 직각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평행한 변을 갖는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통공(22)은 상기 가이드홈(2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헤드(11)는 종단면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상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에서 나사부(12)가 연결되는 일면에 미끄럼방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20)의 슬라이드채널(23)은 상기 볼트 헤드(11)의 횡단면에 부합되게 직사각형상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헤드(11)는 종단면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상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의 측면에 미끄럼방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20)의 슬라이드채널(23)은 상기 볼트 헤드의 횡단면에 부합되게 사다리꼴형상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이 프로파일(20)에 체결될 때 상기 브라켓(4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브라켓(40)에 형성된 장공(41)을 통과한 상기 가압볼트(10)의 나사부(12)에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41)을 통해 상기 프로파일(20)의 가이드홈(21)에 삽입되는 삽입촉부(32)가 면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와샤(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촉부(32)는, 상기 가압볼트(10)와 너트(N)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20)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프로파일(20)의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고 그 선단에는 단면이 감소되어 형성되는 가압촉(3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KR1020200120849A 2020-09-18 2020-09-18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KR10234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49A KR102345017B1 (ko) 2020-09-18 2020-09-18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49A KR102345017B1 (ko) 2020-09-18 2020-09-18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017B1 true KR102345017B1 (ko) 2021-12-29

Family

ID=7917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849A KR102345017B1 (ko) 2020-09-18 2020-09-18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569A (ko) 2022-01-28 2023-08-04 (주)쏠라에스티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301A (ko) * 2008-06-12 2009-12-16 주식회사 대양매크로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45754A (ko) * 2012-10-09 2014-04-17 권종길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921006B1 (ko)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KR102124775B1 (ko) *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301A (ko) * 2008-06-12 2009-12-16 주식회사 대양매크로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45754A (ko) * 2012-10-09 2014-04-17 권종길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921006B1 (ko)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KR102124775B1 (ko) *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569A (ko) 2022-01-28 2023-08-04 (주)쏠라에스티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019B1 (ko) 프로파일과 이단 헤드형 볼트를 통한 무용접 브라켓 장착구조
US7604444B2 (en) Fastener assembly
US9021627B2 (en) Tension rod with threaded end cap
US10288102B2 (en) Fastening device having a tubular sleeve member for mounting on a tube or immobilizing two telescopically connected tubes
KR102345017B1 (ko)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US20110299956A1 (en) Locking Plate to be used in a Locking Arrangement and such a Locking Arrangement
KR20150065119A (ko) 앵커볼트 구조체
JP2015094416A (ja) ボルト接続具
KR100805306B1 (ko) 편측 죄임용 볼트넛
TWI589761B (zh) 固定金屬件
JP2012067519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DE2902969C2 (de) Unterkonstruktion zum Befestigen von Fassadenplatten im Abstand zu einer Wand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DE102010046193B4 (de) Konsole für einen Heizkörper
KR200462117Y1 (ko)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KR102547019B1 (ko) 셀프 고정용 정착볼트
JP7239318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EP2683045B1 (en) Quick fix fixing arrangement
JP6681098B1 (ja) 鉄筋用ナット装置
KR102499671B1 (ko) 프로파일의 브라켓 고정용 볼트
JP2008175001A (ja) 格子構造体
JP2018096489A (ja) ナット、部材固定具及び部材固定構造
KR20070042522A (ko) 앵커볼트
KR101706505B1 (ko) 위치고정장치
JP4894022B2 (ja) 部材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