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651A -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651A
KR20170084651A KR1020160003935A KR20160003935A KR20170084651A KR 20170084651 A KR20170084651 A KR 20170084651A KR 1020160003935 A KR1020160003935 A KR 1020160003935A KR 20160003935 A KR20160003935 A KR 20160003935A KR 20170084651 A KR20170084651 A KR 20170084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play device
present
spring
wir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859B1 (ko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6000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8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2003/66385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내부에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홀딩하는 와이어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와이어를 찝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홀더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홀더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와이어홀더는 일측이 개방된 금속판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서 와이어의 양끝을 견고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두께가 매우 얇아 좁은 오목홈 속에서도 작업이 쉽고, 스프링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또 탄성부에 탄성이 작용되므로 지속적이고 균일한 텐션을 와이어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와이어의 양단에 모두 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일한 텐션이 작용하여 균형감이 있으며 오래토록 처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Wire holding device to install display system in pair glass}
본 발명은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에 시공되는 복층유리 내부에 각종 장식들, 즉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속적인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견고한 유리창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2중 또는 3중으로 배열된 유리창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열과 방음효과가 단층유리에 비해 뛰어나 최근 많이 시공되고 있다.
이처럼 복층유리는 주택은 물론 일반 사무실이나 상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복층유리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목재를 재질로 하는 문장식틀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도한 적이 있으나, 좀더 장식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이용하여 복층유리 사이에 장식품을 매다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번호 10-1058650호 외에는 개발된 바 없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은 와이어홀딩장치(A)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홀딩하고 있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판스프링(45)과 와이어텐션레버(43)로 구성되어지는데, 와이어의 일측에만 판스프링(45)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와이어텐션레버(43)가 설치되는 구성이어서 와이어에 텐션을 주기위해 와이어텐션레버(43)를 잡아당기게 되면 판스프링(45)에 탄성이 작용하면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이로 인해 균형감을 위해 복층 유리의 중간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등의 단점과, 또한 판스프링(45)은 텐션 유지가 매우 취약한 구조의 탄력수단이어서 오래 견디지 못함으로 인해 쉬 디스플레이장치가 처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와이어텐션레버(43)는 무드볼트에 의한 와이어 체결과 와이어텐션레버의 대각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공과 커팅면과의 단차를 이용해 와이어텐션레버의 꺽음 동작으로 와이어에 텐션을 주게 되는데, 이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좁은 간봉부재의 실란트홈내에서 작업해야 하는 구조여서 작업자에게 매우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 공개 제1996-0008737호
2.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69102호
3. 국내 특허등록 제10-0767013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양끝을 와이어홀더로 견고하게 물어 스프링의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와이어홀더는 두께가 얇고 직각으로 꺽인 상태로 와이어를 붙들고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라 하더라도 작업자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않으며, 스프링은 와이어의 탄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되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모두 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일한 텐션이 작용하여 균형감이 있으며 오래토록 처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복층유리 내부에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홀딩하는 와이어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와이어를 찝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홀더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홀더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은 간봉프레임의 일측 판에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 부터 연장되되 탄성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탄성이 작용하는 상태로 와이어홀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홀더는 일측이 개방된 금속판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와이어홀더는 일측이 개방된 금속판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서 와이어의 양끝을 견고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두께가 매우 얇아 좁은 오목홈 속에서도 작업이 쉽고, 스프링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또 탄성부에 탄성이 작용되므로 지속적이고 균일한 텐션을 와이어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와이어의 양단에 모두 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일한 텐션이 작용하여 균형감이 있으며 오래토록 처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홀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와이어홀딩장치의 와이어에 텐션이 작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홀딩장치의 와이어에 텐션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와이어홀딩장치의 와이어에 텐션이 작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홀딩장치의 와이어에 텐션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내부에 와이어(120)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A)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A)를 홀딩하는 와이어(120)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와이어(120)를 찝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홀더(14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홀더(140)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130)에 의해 걸린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홀더(140)는 통공(111a)과 걸림턱(133)을 관통한 와이어(120)를 지그재그로 찝도록 함으로써 와이어홀더(140)로 부터 와이어(12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이처럼 와이어(120)를 찝은 상태의 와이어홀더(140)를 한번 더 접음으로 인해 와이어(120)가 와이어홀더(140)로 부터 빠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홀더(140)는 얇은 금속판체가 아닌 봉인 등에 사용하는 괴상의 금속 덩어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역시 일측은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여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스프링(130)은 간봉프레임의 일측 판에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1)와, 상기 지지대(131)로 부터 연장되는 탄성부(132)와, 상기 탄성부(132)의 일단에 형성되어 탄성이 작용하는 상태로 와이어홀더(1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33)으로 구성되는바, 지지대(131)는 간봉프레임(110)의 일측 판(111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31)로 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부(132)는 절곡 및 적어도 한번 이상 말아진 구조여서 걸림턱(133)에 탄성이 작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133)은 와이어홀더(140)가 걸릴 수 있도록 와이어홀더(140)의 폭 보다 좁은 직경 또는 걸림돌기 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130)이 코일스프링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프링 판체로도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다른 형상의 스프링이라고 하더라도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프레임
120: 와이어
130: 스프링
140: 와이어홀더
A: 디스플레이장치
B, C: 유리
D: 창호틀

Claims (3)

  1. 복층유리 내부에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홀딩하는 와이어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와이어를 찝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홀더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홀더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간봉프레임의 일측 판에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 부터 연장되되 탄성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탄성이 작용하는 상태로 와이어홀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홀더는 일측이 개방된 금속판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KR1020160003935A 2016-01-12 2016-01-12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KR10186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35A KR101869859B1 (ko) 2016-01-12 2016-01-12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35A KR101869859B1 (ko) 2016-01-12 2016-01-12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651A true KR20170084651A (ko) 2017-07-20
KR101869859B1 KR101869859B1 (ko) 2018-06-21

Family

ID=5944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935A KR101869859B1 (ko) 2016-01-12 2016-01-12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9234A (zh) * 2017-10-18 2018-04-20 广东劳卡家具有限公司 一种门框自锁拼装结构
CN115116352A (zh) * 2022-07-27 2022-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固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782U (ko) * 1990-08-10 1992-04-10
KR960032876U (ko) * 1995-03-14 1996-10-24 박인원 전주용 와이어의 연결구
JPH1072978A (ja) * 1996-08-30 1998-03-17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窓
KR20080013841A (ko) * 2007-12-28 2008-02-13 주식회사 빌드썬 와이어 고정구
KR20110068316A (ko) * 2009-12-16 2011-06-22 강민성 페어유리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782U (ko) * 1990-08-10 1992-04-10
KR960032876U (ko) * 1995-03-14 1996-10-24 박인원 전주용 와이어의 연결구
JPH1072978A (ja) * 1996-08-30 1998-03-17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窓
KR20080013841A (ko) * 2007-12-28 2008-02-13 주식회사 빌드썬 와이어 고정구
KR20110068316A (ko) * 2009-12-16 2011-06-22 강민성 페어유리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9234A (zh) * 2017-10-18 2018-04-20 广东劳卡家具有限公司 一种门框自锁拼装结构
CN115116352A (zh) * 2022-07-27 2022-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固定装置
CN115116352B (zh) * 2022-07-27 2023-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859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4852C (en) Electrical box bar hanger
WO2012017706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リッ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用クリップの車体取付方法
FR3005480A3 (fr) Ensemble de porte
US10582796B1 (en) Curtain holdback assembly
KR101869859B1 (ko)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KR101840681B1 (ko) 외장재 고정장치
JP4789046B2 (ja) 天井用感知器取付金具の製造方法
JP5651208B2 (ja) 立平葺き屋根用取付金具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JP2007046726A (ja) 配線・配管材支持具、支持具取着体
KR200410183Y1 (ko) 커튼봉 고정구조
US20210396352A1 (en) Cubicle wall extender apparatus
JPH0130822Y2 (ko)
JP2014114611A (ja) 天井板
JP3185646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の固定装置
RU200810560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рапирования или закрепления шторы
KR101836169B1 (ko)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용이한 복층유리창의 간봉프레임 구조
JP3672541B2 (ja) 構築材等の取付に用いられる固定金具
KR200428886Y1 (ko) 와이어용 고정클립구조
JP6506618B2 (ja) 火災感知器取付具
JP5699071B2 (ja) 天井シート材の取付構造
JP3938641B2 (ja) 機器パネル構造
TWM486234U (zh) 滑軌卡扣定位裝置
JP5731156B2 (ja) 器具固定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