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23Y1 -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23Y1
KR200446223Y1 KR2020090003206U KR20090003206U KR200446223Y1 KR 200446223 Y1 KR200446223 Y1 KR 200446223Y1 KR 2020090003206 U KR2020090003206 U KR 2020090003206U KR 20090003206 U KR20090003206 U KR 20090003206U KR 200446223 Y1 KR200446223 Y1 KR 200446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head
thread
presen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원
Original Assignee
(주)대한하이텍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하이텍건설 filed Critical (주)대한하이텍건설
Priority to KR2020090003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02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self-cutting
    • F16B13/00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self-cutting with a separate drilling bit attached to or surrounded by the dowe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16B25/0042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 F16B25/0057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the screw having distinct axial zones, e.g. multiple axial thread sections with different pitch or thread cross-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에 물체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형성된 체결공에 직접 체결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로서, 다각형의 헤드(110)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120)를 포함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헤드부와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제거까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의 표면에 나사산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체결공에 직접 체결하여 시공하는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앵커볼트를 직접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시공에 드는 비용이 많이 감소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앵커볼트, 앵커 볼트, 신축이음구조,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Description

앵커볼트{ANCHOR BOLT}
본 고안은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구조물에 물체를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anchor bolt)는 건축물의 콘크리트나 바닥 또는 천정 등과 같은 구조물에 철골 등과 같은 물체를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구조에서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3은 종래의 앵커볼트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앵커볼트는 나사산이 촘촘하게 형성된 몸체부(700)와 몸체부(700)에 체결되는 별개의 너트(8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앵커볼트는 나사산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구조물(900)에 형성된 체결공에 직접 체결하여 고정하지 못하며, 몸체부(700)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된 몸체부(700)를 경화제(910)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고정된 몸체부(700)의 상부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고정물(920)을 관통시키고, 너트(800)를 조이는 방법으로 시공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앵커볼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경화제(910)를 이용하여 몸체 부(700)를 고정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우며, 너트(800)의 위로 튀어나와 노출되는 몸체부(700)의 나사산에 의하여 외관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노출된 나사산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훼손되는 경우에 유지보수의 목적으로 앵커볼트를 제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종래의 개량된 앵커볼트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개량된 앵커볼트는 절개부가 형성된 슬리브(710)를 몸체부(700)와 함께 체결공에 삽입하고, 절개부를 따라서 옆으로 펼쳐진 슬리브(710)가 체결공의 내벽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몸체부(700)를 고정하였다. 또한 몸체부(700) 상단의 나사산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정물(920)에 너트(800)가 삽입되도록 시공하였다.
개량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경화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과 외관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유지보수의 목적으로 앵커볼트를 제거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파손되고 녹슨 앵커볼트를 방치한 경우에 설치된 콘크리트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간단하고도 뛰어난 구조로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제거도 간편한 앵커볼트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시공과 제거가 모두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형성된 체결공에 직접 체결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로서, 다각형의 헤드(110)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120)를 포함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몸체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0)은 이격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격 간격은 0.6~0.8㎝이다. 바람직하게는 이격 간격이 0.7㎝인 경우가 가장 좋다.
또한 나사산(210)의 표면에 나사산 진행방향을 따라서 절삭홈(215)이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절삭홈(215)은 몸체부(200) 하단의 일부 나사산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헤드부와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앵커볼트를 제공함으로써,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제거까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앵커볼 트가 파손되거나 녹슬면 이로 인해 콘크리트 손상 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뛰어나다.
또한, 몸체부의 표면에 나사산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체결공에 직접 체결하여 시공하는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앵커볼트를 직접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시공에 드는 비용이 크게 감소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헤드부(100)와 몸체부(200)로 구성되며, 헤드부(100)와 몸체부(200)가 일체로 구성된다.
헤드부(100)는 헤드(110)와 와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110)는 앵커볼트를 고정 또는 제거할 때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다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구에 적합한 규격을 갖는다. 이러한 헤드(110)의 다각 구조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는다. 와셔(120)는 헤드(110)의 하부에 일체로 헤드(1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판형상의 부분으로, 헤드부(100)의 고정력을 넓게 퍼지도록 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앵커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와셔(120)의 밑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부(200)는 헤드부(10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인 긴 막대형상이며, 그 외주연에는 나사산(210)이 형성되어있다. 몸체부(200)의 직경은 1㎝인 경우에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며,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하단부의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200)는 구조물(900)에 형성된 체결공의 내벽에 나사산(210)이 직접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종래의 앵커볼트와 같이 나사산이 촘촘하게 형성된다면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기 위해서 앵커볼트가 매우 많은 회전을 하여야하며, 이 경우에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 반면에, 본 고안의 앵커볼트에 형성된 나사산(210)은 나사산과 나사산의 사이가 소정거리 떨어진 이격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앵커볼트에 비하여 적은 회전으로 앵커볼트가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와 같이 나사산이 촘촘하게 형성된 경우보다, 고정력이 향상되고 나사산의 훼손에 따른 문제도 감소한다. 이러한 나사산(210)사이의 간격은 0.6~0.8㎝ 범위에서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0.7㎝인 경우에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나사산(210)이 체결공의 내벽을 직접 파면서 나사방식의 결합을 하기 때문에, 나사산(210)의 절삭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사산(210)의 표면에는 나사산 진행방향을 따라서 절삭홈(215)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삭홈(215)은 나사산(210)의 끝부분에 나사산 진행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된 것으로, 절삭작용이 주로 일어나는 곳은 몸체부(200)의 하단부에 가까운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만 절삭홈(215)을 형성하여 가공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자세하게 는 나사산(210)이 3 내지 4회전하는 부분까지만 절삭홈(21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물(900)에 몸체부(200)의 크기에 알맞은 직경과 깊이의 체결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물(920)에 형성된 관통공에 앵커볼트의 몸체부(200)가 관통하도록 위치하면서, 몸체부(200)의 나사산(210)이 체결공의 내벽에 직접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시공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시공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이렇듯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시공하는 과정은 간단하지만, 나사산(210)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나사산(210)이 체결공의 내벽에 단단히 고정되고, 헤드부(100)의 와셔(120)가 헤드부(100)에 걸리는 힘을 고정물(920)에 넓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고정력이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시공할 때, 고정물(920)의 위로 헤드부(100)가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물(920)의 일부를 깎아낸다. 헤드(110)에 형성된 다각 구조는 외력에 쉽게 훼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물(920)의 구조에 의하여 헤드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헤드부(100)가 손상되는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위하여 앵커볼트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 헤드(110)의 다각구조를 이용하여 앵커볼트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나사산(210)이 체결공의 내벽에 직접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110)의 다각구조에 힘을 가하여 간단하게 제거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헤드부(100)와 몸체부(2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별개의 구성을 갖는 경우보다 제조비가 절감되며, 그 설치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시공비가 절감된다. 또한 앵커볼트가 설치된 이후에 구조물 또는 고정물의 유지와 보수를 위하여 앵커볼트를 제거하여야 할 때,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종래의 앵커볼트와는 달리 그 제거가 쉽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조와 시공 및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앵커볼트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개량된 앵커볼트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헤드부 110: 헤드
120: 와셔 200: 몸체부
210: 나사산 215: 절삭홈
900: 구조물 920: 고정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형성된 체결공에 직접 체결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로서,
    다각형의 헤드(110)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120)를 포함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0)이 이격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210)의 표면에 나사산 진행방향을 따라서 절삭홈(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210)에 형성된 절삭홈(215)은 몸체부(200) 하단의 일부 나사산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KR2020090003206U 2009-03-19 2009-03-19 앵커볼트 KR200446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06U KR200446223Y1 (ko) 2009-03-19 2009-03-19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06U KR200446223Y1 (ko) 2009-03-19 2009-03-19 앵커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10U Division KR20100009581U (ko) 2009-06-23 2009-06-23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223Y1 true KR200446223Y1 (ko) 2009-10-09

Family

ID=4164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06U KR200446223Y1 (ko) 2009-03-19 2009-03-19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01B1 (ko) * 2010-04-27 2011-01-07 (주)대한하이텍건설 철도교 신축이음구조
CN106895053A (zh) * 2017-04-07 2017-06-27 北京科技大学 一种锚‑测一体式监控量测膨胀螺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527A (ja) * 1996-04-03 1997-10-21 Hiroki Kanai 埋込み座金一体型ナット
JP2003201740A (ja) * 2002-01-07 2003-07-18 Kanai:Kk 隅かすがいによる2部材の結合構造
JP2005291385A (ja) * 2004-03-31 2005-10-20 Sanko Techno Co Ltd アンカー
KR20060127119A (ko) * 2004-02-05 2006-12-11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자체-드릴링 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527A (ja) * 1996-04-03 1997-10-21 Hiroki Kanai 埋込み座金一体型ナット
JP2003201740A (ja) * 2002-01-07 2003-07-18 Kanai:Kk 隅かすがいによる2部材の結合構造
KR20060127119A (ko) * 2004-02-05 2006-12-11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자체-드릴링 앵커
JP2005291385A (ja) * 2004-03-31 2005-10-20 Sanko Techno Co Ltd アンカ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01B1 (ko) * 2010-04-27 2011-01-07 (주)대한하이텍건설 철도교 신축이음구조
CN106895053A (zh) * 2017-04-07 2017-06-27 北京科技大学 一种锚‑测一体式监控量测膨胀螺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488B1 (ko)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JP4420942B2 (ja) 足場用金具の保護部材
KR200446223Y1 (ko) 앵커볼트
TW201337073A (zh) 緊固系統以及將其緊固於外牆板的方法
JP2005090736A (ja) 木材用アンカ部材
JP2012140985A (ja) 土木用アンカー取付装置、および土木用アンカー取付装置用ワッシャ
JP2019002564A (ja) 多条の首下ネジ部を有するネジ
KR100862071B1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0525196B1 (ko)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20100009581U (ko) 앵커볼트
KR20160098390A (ko) 고정 장치
KR101544599B1 (ko) 레일 구조를 이용한 끼움 설치식 볼트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110029957A (ko) 앵커 볼트 구조
JP2000054627A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KR200375370Y1 (ko) 건축용 앵커
JP3194633U (ja) ボルト
KR100882583B1 (ko) 매몰식 앵커
RU99557U1 (ru) Винт самонарезающий с шайбой
CN113707397A (zh) 一种瓷瓶组件
JP3148550U (ja) アンカープレート
CN212297194U (zh) 防震锚栓
CN210423381U (zh) 一种螺栓防腐保护装置及螺栓防护结构
CN211231216U (zh) 一种沥青路面专用固定件
JP2014145154A (ja) 後施工曲折アンカーボルト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