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272A -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 Google Patents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272A
KR20170031272A KR1020150128053A KR20150128053A KR20170031272A KR 20170031272 A KR20170031272 A KR 20170031272A KR 1020150128053 A KR1020150128053 A KR 1020150128053A KR 20150128053 A KR20150128053 A KR 20150128053A KR 20170031272 A KR20170031272 A KR 20170031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chor
anchor bolt
bo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527B1 (ko
Inventor
이성대
Original Assignee
태성정밀부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정밀부품(주) filed Critical 태성정밀부품(주)
Priority to KR102015012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고정된 앵커 볼트에 지지부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하중 및 크기와 상관없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건물 벽체에 고정되고, 외장재가 체결된 브래킷을 고정 지지하는 앵커 볼트; 상기 앵커 볼트에 끼움 고정되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과 이격되게 체결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앵커 볼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수직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ANCHOR ASSEMBLY DEVICE FOR SUPPORTING EX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고정된 앵커 볼트에 지지부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하중 및 크기와 상관없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업무용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은 그 외면이 콘크리트 벽체이므로 보온을 위해 단열재를 부착하고 미관을 위해 외장재로 마감처리를 한다. 상기 외장재로는 페인트, 타일, 합성수지판재, 금속판재, 석재 등이 사용되어 건축물의 미학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된다.
그리고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면에 적절한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이러한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고정수단이 제시된다.
특히 중량이 무거운 외장재의 고정수단 중 하나인 앵커 볼트는 후단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고 선단은 외장재를 고정하는 브래킷이 결합 되며, 상기 앵커 볼트의 중간 부분은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에 부착된 단열재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 앵커 볼트의 중앙부분은 지지력이 없는 단열재에 관통된 자유상태이므로 외장재의 자중과 외부 저항력(비, 바람, 눈 등)으로 휨(처짐)이 발생하여 외장재를 파손 또는 이탈시켜 낙하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외벽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브래킷이 기울어지게 되므로 외장재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장재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래킷을 변형시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541074호(2015년 07월 27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539942호(2015년 07월 22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515956호(2015년 04월 22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특허 제10-1528805호(2015년 06월 09일 등록)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고정된 앵커 볼트에 지지부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하중 및 크기와 상관없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플레이트의 장공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앵커 볼트가 건물 벽체에 기울어지게 고정되어도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플레이트가 앵커 볼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건물 벽체에 고정되고, 외장재가 체결된 브래킷을 고정 지지하는 앵커 볼트; 상기 앵커 볼트에 끼움 고정되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과 이격되게 체결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앵커 볼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수직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 볼트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외장재의 하중에 의해 상기 앵커 볼트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일단 및 타단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장공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에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밀착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조절볼트는, 일단에 육각 형태의 머리가 형성되고, 육각 형태의 머리가 형성된 부분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산과 상기 체결홀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나사 체결되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수직조절볼트의 끝단이 건물 벽체에 맞닿도록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건물 벽체에 고정된 앵커 볼트에 지지부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하중 및 크기와 상관없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플레이트의 장공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앵커 볼트가 건물 벽체에 기울어지게 고정되어도 플레이트가 앵커 볼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유지되면서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플레이트(100), 앵커 볼트(200) 및 수직조절볼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건물 벽체(10)에 밀착 고정된 단열재(2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외장재(3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는 앵커 볼트(20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장공(110) 및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되는 체결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장공(110)은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앵커 볼트(200)가 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조절 하거나 또는 건물 벽체(10)에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 앵커 볼트(200)에 설치 가능하도록 타원형태로 형성되며, 단열재(20)와 밀착되는 내측에는 확장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공(1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장공(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앵커 볼트(200)에 삽입된 지지부(210)에 의해 플레이트(100)가 앵커 볼트(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자동 조절되고, 특히, 플레이트(100)가 상, 하 또는 좌,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홀(130)은 장공(110)과 이격되게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천공되도록 형성되고,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되며, 내주면에는 수직조절볼트(30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홀(300)에 삽입된 수직조절볼트(300)에 의해 플레이트(10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앵커 볼트(200)는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220)와 나사 체결되고, 타측 일부는 건물 벽체(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장재(30)가 고정된 브래킷(4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앵커 볼트(200)는 지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일정 길이는 갖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 관으로 형성되어 앵커 볼트(200)에 삽입 고정되고, 일단 및 타단에 경사면(211)이 형성되며, 무거운 외장재(30)의 하중에 의해 앵커 볼트(20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경사면(211)은 확장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확장부(120)에 밀착 고정되고, 플레이트(100)를 수직으로 맞출 수 있는 별도의 장치 없이도 플레이트(100)가 앵커 볼트(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100)와 맞닿는 부분의 단열재(20) 일부가 파손될 경우 플레이트(100)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지부(210)의 일단 및 타단에 경사면(211)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경사면(211)을 지지부(2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지지부(210)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방향으로든 앵커 볼트(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수직조절볼트(300)는 일단에 육각 형태의 머리가 형성되고, 육각 형태의 머리가 형성된 부분에는 수나사산(310)이 형성되며,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체결홀(130)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수직조절볼트(300)는 앵커 볼트(200)에 끼움 고정된 플레이트(100)가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어, 건물 벽체(10)가 기울어진 상태이거나 앵커 볼트(200)가 기울어지도록 건물 벽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00)를 끼우게 되면 플레이트(100)가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수직조절볼트(300)를 회전시켜 수직조절볼트(300)의 끝단이 건물 벽체(10)에 맞닿도록 이동시키면 플레이트(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앵커 볼트(200)를 타카총 등을 이용하여 앵커 볼트(200)의 타측 일부가 건물 벽체(10)에 고정되도록 하고, 건물 벽체(10)에 고정된 앵커 볼트(200)에 지지부(210)를 끼워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지지부(2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재(20)를 건물 벽체(10)에 밀착시켜 고정되게 한다. 이때, 단열재(20)는 앵커 볼트(200) 및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앵커 볼트(200)에 끼워진 단열재(20)의 외측으로 앵커 볼트(200)의 일측 일부가 돌출되게 한다.
다음,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장공(110)을 통해 앵커 볼트(200)에 끼워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확장부(120)가 지지부(210)에 형성된 경사면(211)에 밀착되게 한다. 이때, 플레이트(100)는 확장부(120)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부(210)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체결홀(300)으로 관통되어 단열재(20)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수직조절볼트(300)를 삽입한다.
위와 같이 삽입된 수직조절볼트(300)의 끝단은 건물 벽체(10)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시켜 고정하여 플레이트(10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플레이트(100)는 지지부(21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상, 하측에는 지지부(210)가 맞닿지 않으므로 수직조절볼트(300)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 외장재(30)가 체결된 브래킷(40)을 앵커 볼트(200)에 끼워 플레이트(100)에 밀착되도록 하고, 외장재(3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되게 한 다음 너트(220)를 앵커 볼트(200)에 체결하여 브래킷(40)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제1 실시예에서 시공 방법은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건물 벽체에 시공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건물 벽체(10)에 시공되는 것으로 앵커 볼트(200)를 타카총 등을 이용하여 건물 벽체(10)에 수평으로 고정되도록 한 다음 앵커 볼트(200)에 지지부(210)를 끼워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지지부(2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재(20)를 건물 벽체(10)에 밀착시켜 고정되게 한다. 이때, 단열재(20)는 앵커 볼트(200) 및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앵커 볼트(200)에 끼워진 단열재(20)의 외측으로 앵커 볼트(200)의 일측 일부가 돌출되게 한다.
다음, 체결홀(300)에 수직조절볼트(300)를 체결한 상태에서 플레이트(100)의 장공(110)을 통해 앵커 볼트(200)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수직조절볼트(300)는 단열재(2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플레이트(100)는 장공(110)을 통해 앵커 볼트(200)에 끼워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단열재(20)에 형성된 앵커 볼트(200) 및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되는 각 구멍의 위치가 서로 근접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도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장공(110)을 통해 위치조절할 수 있다.
그 다음, 플레이트(100)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단열재(20)의 측면과 맞닿으면 수직조절볼트(300)를 회전시켜 수직조절볼트(300)의 끝단이 건물 벽체(10)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확장부(120)는 지지부(210)에 형성된 경사면(211)에 밀착되게 하여 플레이트(100)가 수직으로 배치되게 한다.
이어서, 외장재(30)가 체결된 브래킷(40)을 앵커 볼트(200)에 끼워 플레이트(100)에 밀착되도록 하고, 외장재(3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되게 한 다음 너트(220)를 앵커 볼트(200)에 체결하여 브래킷(40)을 고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건물 벽체(10)에 앵커 볼트(200)가 건물 벽체(10)를 기준으로 직교되게 시공하는 방법으로 앵커 볼트(200)에 지지되는 무거운 외장재(30)의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먼저, 앵커 볼트(200)를 타카총 등을 이용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진 건물 벽체(10)에 대하여 직교되게 고정한 다음 앵커 볼트(200)에 지지부(210)를 끼워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지지부(2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재(20)를 건물 벽체(10)에 밀착시켜 고정되게 한다. 이때, 단열재(20)는 앵커 볼트(200) 및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앵커 볼트(200)에 끼워진 단열재(20)의 외측으로 앵커 볼트(200)의 일측 일부가 돌출되게 한다.
다음, 체결홀(300)에 수직조절볼트(300)를 체결한 상태에서 플레이트(100)의 장공(110)을 통해 앵커 볼트(200)에 끼워지도록 하고, 수직조절볼트(30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0)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수직조절볼트(30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0)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움직이거나 상부가 단열재(2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외장재(30)가 체결된 브래킷(40)을 앵커 볼트(200)에 끼워 플레이트(100)에 밀착되도록 하고, 외장재(3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되게 한 다음 너트(220)를 앵커 볼트(200)에 체결하여 브래킷(40)을 고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건물 벽체(10)에 앵커 볼트(20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시공하는 방법으로 앵커 볼트(200)에 지지되는 무거운 외장재(30)의 하중을 더욱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먼저, 앵커 볼트(200)를 타카총 등을 이용하여 건물 벽체(10)에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고정한 다음 앵커 볼트(200)에 지지부(210)를 끼워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지지부(2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재(20)를 건물 벽체(10)에 밀착시켜 고정되게 한다. 이때, 단열재(20)는 앵커 볼트(200) 및 수직조절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앵커 볼트(200)에 끼워진 단열재(20)의 외측으로 앵커 볼트(200)의 일측 일부가 돌출되게 한다.
다음, 체결홀(300)에 수직조절볼트(300)를 체결한 상태에서 플레이트(100)의 장공(110)을 통해 앵커 볼트(200)에 끼워지도록 하고, 수직조절볼트(30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0)가 단열재(20)에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외장재(30)가 체결된 브래킷(40)을 앵커 볼트(200)에 끼워 플레이트(100)에 밀착되도록 하고, 외장재(3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되게 한 다음 너트(220)를 앵커 볼트(200)에 체결하여 브래킷(40)을 고정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건물 벽체 20; 단열재
30; 외장재 40; 브래킷
100; 플레이트 110; 장공
120; 확장부 130; 체결홈
131; 암나사산 200; 앵커 볼트
210; 지지부 211; 경사면
220; 너트 300; 수직조절볼트
310; 수나사산

Claims (4)

  1. 건물 벽체에 고정되고, 외장재가 체결된 브래킷을 고정 지지하는 앵커 볼트;
    상기 앵커 볼트에 끼움 고정되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과 이격되게 체결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앵커 볼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수직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외장재의 하중에 의해 상기 앵커 볼트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일단 및 타단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장공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에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밀착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조절볼트는,
    일단에 육각 형태의 머리가 형성되고, 육각 형태의 머리가 형성된 부분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산과 상기 체결홀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나사 체결되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수직조절볼트의 끝단이 건물 벽체에 맞닿도록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KR1020150128053A 2015-09-10 2015-09-10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KR10180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53A KR101806527B1 (ko) 2015-09-10 2015-09-10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53A KR101806527B1 (ko) 2015-09-10 2015-09-10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272A true KR20170031272A (ko) 2017-03-21
KR101806527B1 KR101806527B1 (ko) 2018-01-11

Family

ID=5850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053A KR101806527B1 (ko) 2015-09-10 2015-09-10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5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294A (zh) * 2018-12-17 2019-02-19 吉林建筑大学 一种火山渣轻质墙板连接构件
CN109372277A (zh) * 2018-12-03 2019-02-22 湖南远大建工股份有限公司 预制墙板的定位装置及其定位施工方法
KR200489582Y1 (ko) * 2018-07-11 2019-07-05 (주)우리들하이텍 지지력과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CN111456263A (zh) * 2020-05-11 2020-07-28 北京沃德瑞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防冷桥锚栓组件
CN113482344A (zh) * 2021-06-21 2021-10-08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铝模斜撑装置及其施工方法
US11598084B2 (en) * 2019-09-20 2023-03-07 Connect-Ez, Llc Metal shear connector structure for adjacent concrete pan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352B1 (ko) * 2021-12-14 2022-11-14 고준형 외벽 보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보강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956B1 (ko) 2014-01-14 2015-05-04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1528805B1 (ko) 2015-04-01 2015-06-29 주식회사 테크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1539942B1 (ko) 2014-01-14 2015-07-28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541074B1 (ko) 2014-04-25 2015-07-31 송용석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62B1 (ko) * 2014-02-25 2014-12-16 주식회사 비엔케이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지지장치
KR101541411B1 (ko) * 2015-04-10 2015-08-03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956B1 (ko) 2014-01-14 2015-05-04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1539942B1 (ko) 2014-01-14 2015-07-28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541074B1 (ko) 2014-04-25 2015-07-31 송용석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28805B1 (ko) 2015-04-01 2015-06-29 주식회사 테크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의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82Y1 (ko) * 2018-07-11 2019-07-05 (주)우리들하이텍 지지력과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CN109372277A (zh) * 2018-12-03 2019-02-22 湖南远大建工股份有限公司 预制墙板的定位装置及其定位施工方法
CN109372277B (zh) * 2018-12-03 2024-01-23 湖南远大建工股份有限公司 预制墙板的定位装置及其定位施工方法
CN109356294A (zh) * 2018-12-17 2019-02-19 吉林建筑大学 一种火山渣轻质墙板连接构件
CN109356294B (zh) * 2018-12-17 2023-09-05 吉林建筑大学 一种火山渣轻质墙板连接构件
US11598084B2 (en) * 2019-09-20 2023-03-07 Connect-Ez, Llc Metal shear connector structure for adjacent concrete panels
CN111456263A (zh) * 2020-05-11 2020-07-28 北京沃德瑞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防冷桥锚栓组件
CN113482344A (zh) * 2021-06-21 2021-10-08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铝模斜撑装置及其施工方法
CN113482344B (zh) * 2021-06-21 2024-03-29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铝模斜撑装置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527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527B1 (ko)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US8177180B2 (en) Mounting assembly for arrays and other surface-mounted equipment
KR101784263B1 (ko)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KR101541411B1 (ko)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US6820760B2 (en) Electrical box extension
US20100263297A1 (en) Low profile mounting system
IL202079A (en) Structure and parts system for it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1735044B1 (ko)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US20030189043A1 (en) Electrical box extension
KR102011716B1 (ko)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JP5909754B2 (ja) ソーラーパネル固定構造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KR20150019937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20090010031U (ko) 천정틀 구조
JP6074692B2 (ja) 設置物の取付構造
JP2013177789A (ja) 屋上設備機器設置用架台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KR200467367Y1 (ko) 건축물 옥상 단열패널 고정구
KR20230025952A (ko) 단열재 병행설치용 건축 외장재 설치구조
AU2017101003A4 (en) Television antenna mounting assembly
CN208168235U (zh) 一种建筑构件装配式调节架
KR101838976B1 (ko)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JP5010449B2 (ja) 建物の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