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301B1 -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301B1
KR101801301B1 KR1020160043707A KR20160043707A KR101801301B1 KR 101801301 B1 KR101801301 B1 KR 101801301B1 KR 1020160043707 A KR1020160043707 A KR 1020160043707A KR 20160043707 A KR20160043707 A KR 20160043707A KR 101801301 B1 KR101801301 B1 KR 10180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sleeve
pipe
outer tub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900A (ko
Inventor
차규석
Original Assignee
(주)진웅에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웅에어시스 filed Critical (주)진웅에어시스
Priority to KR102016004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30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를 포함한 대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화재 안전성에 관한 관련법규의 개정에 따라 종전의 관통형 슬리브 내에 충진되는 방화충진재(백업재, 우레탄폼 등)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생략되도록 하되, 층간별 층고의 높이에 따라 슬리브의 상하 측으로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높이를 별도의 장비 없이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 어느 방향으로든 설치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에어덕트을 결합 시 센터를 쉽고 간편하게 맞출 수 있어 시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용이하며, 시공 원가가 현저히 절감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건식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각 층간마다 구비되는 슬리브(100)를 에어덕트(10)의 이음관으로 사용하되, 상기 슬리브(100)는 에어덕트(10)가 상하로 각각 수직으로 삽입되어 연통되는 외부관(110); 및 상기 외부관(110)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내측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해주는 이동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Sleeve for air duct coupling}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를 포함한 대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층간별 층고의 높이에 따라 슬리브의 상하 측으로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높이를 별도의 장비 없이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 어느 방향으로든 설치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에어덕트을 결합시 쉽고 간편하게 센터를 맞출 수 있어 시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용이하며, 시공 원가가 현저히 절감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건식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환기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측과 욕실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정상적으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주방측과 욕실측 일측 선상에 설치되어 상술한 가스의 배기와 환기를 조장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환기 시스템(DRY AIR DUCT SYSTEM)은 피브이시(PVC) 소재나 갈바늄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한 에어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여 옥탑에서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술한 건식 에어덕트 환기 시스템은 건축물의 상하 방향으로 에어덕트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주방 또는 욕실 측의 플랙시블덕트에 고정되도록 새들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덕트의 최상층은 배기용타공판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용타공판의 상부에는 무동력흡출기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덕트는 각각의 개체(직관 및 연결티)들이 연결밴드에 의해서 연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에어덕트가 통과하는 층간부분(콘크리트층)은 슬리브의 안내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를 통과한 에어덕트는 앵글가이더 및 브이밴드 또는 FR링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에, 종전의 슬리브는 에어덕트가 간섭없이 하부 층에서 상부 층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연결통로로써, 상기 슬리브는 시공상 에어덕트가 슬리브를 관통한 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백업제 또는 실란트를 처리하여야 하고, 특히 슬리브 내부에는 화재시 이웃한 층간별 누기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방화충전재(백업재, 우레탄폼 등)가 충진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바닥과 천정 간의 높이에 맞춰 에어덕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에어덕트의 일부분을 컷팅기를 이용하여 잘라낸 다음 에어덕트의 내부에 소켓(SS-조인트라 함)을 삽입시켜 소켓을 상하로 이동하며 높이를 조절한 다음 직결피스로 고정시킨 후 소켓에 형성된 결합턱과 슬리브에 형성된 결합턱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브이밴드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별도의 장비(컷팅기)와 자재(SS-조인트)가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비용이 늘어남은 물론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워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성 및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리브를 이용하여 에어덕트의 각 개체(직관, 연결티)를 서로 연결시 센터(중심)를 맞추는 작업이 미흡하여 에어덕트의 직관이 어느 한 방향으로 쏠려 기울어지거나 삐뚤어지게 연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42657호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파트를 포함한 대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제1목적은 각각 다르게 설정된 층간별 층고의 높이에 맞춰 에어덕트의 길이를 조정시 별도의 장비와 자재 및 시공작업이 필요없이 슬리브에 삽입된 에어덕트를 상하로 밀거나 당겨서 쉽고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슬리브를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동일한 길이와 현상으로 제작시키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상부와 하부를 확인하여 구분할 필요가 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효율을 높여 주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슬리브에 에어덕트를 삽입 연결 설치시키므로 에어덕트의 센터를 쉽고 간편하게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아파트를 포함한 대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방화충진재(백업재, 우레탄폼 등)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종전대비 에어덕트 시스템의 시공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키고 건축물의 시공 정밀성 및 시공 품질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며, 시공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킴은 물론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각 층간마다 구비되는 슬리브를 에어덕트의 이음관으로 사용하되, 상기 슬리브는 에어덕트가 상하로 각각 수직으로 삽입되어 연통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해주는 이동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외부관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텅 빈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에어덕트가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하 내측에는 상기 이동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려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이동관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텅 빈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이동관의 외측 상하에는 상기 외부관의 상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부관의 개구홀을 통해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단부가 걸려 지속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이동관은 외부관의 상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의 사이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외부관에 형성된 개구홀로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높이를 별도의 장비와 부자재 없이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슬리브는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느 방향으로든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슬리브는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관의 내측에 이동관이 일체로 내설되어 2중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관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내부로 이동관의 일부가 삽입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고정밴드로 체결시키므로 각 층간 내화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리브 자체를 에어덕트용 이음관으로 형성함은 물론 슬리브 내부에 이동관을 일체로 내설시켜 2중관으로 구비시킴으로 기본 내화구조를 갖도록 하며, 각각 다르게 설정된 층간별 층고의 높이에 맞춰 에어덕트의 길이를 조정시 별도의 장비와 자재 및 시공작업이 필요없이 슬리브에 삽입된 에어덕트를 상하로 밀거나 당겨서 쉽고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슬리브가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동일한 길이와 현상으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일일이 상부와 하부를 확인하여 구분할 필요가 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효율을 높여 주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슬리브에 에어덕트가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덕트의 센터를 쉽고 간편하게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아파트를 포함한 대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방화충진재(백업재, 우레탄폼 등)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생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종전대비 에어덕트 시스템의 시공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킴은 물론 시공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켜주며, 건축물의 시공 정밀성 및 시공 품질이 크게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의 외부관과 이동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관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관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를 사용하여 에어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에어덕트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의 하부에 삽입된 에어덕트가 상부로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의 하부에 삽입된 에어덕트가 하부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층간(콘크리트층)의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슬리브(100)를 에어덕트(10)의 이음관으로 사용하되, 상기 슬리브(100)는 에어덕트(10)가 상하로 각각 수직으로 삽입되어 연통되는 외부관(110)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관(11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텅 빈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에어덕트가 삽입되는 개구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110)의 상하 내측에는 상기 이동관(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1)가 걸려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턱(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110)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내측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해주는 이동관(12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관(12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텅 빈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이동관(120)의 외측 상하에는 상기 외부관(110)의 상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112) 중 어느 하나가 걸려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부관(110)의 개구홀(111)을 통해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단부가 걸려 지속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돌기(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관(120)의 외측 상하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121)는 상기 이동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정중앙 외측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관(120)은 외부관(110)의 상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12)의 사이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외부관(110)에 형성된 개구홀(111)로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높이를 별도의 장비와 부자재 없이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슬리브(100)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느 방향으로든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100)는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관(110)의 내측에 이동관(120)이 일체로 내설되어 2중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관(110)에 형성된 개구홀(111)을 통해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내부로 이동관(120)의 일부가 삽입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고정밴드(20)로 체결시키므로 각 층간 내화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20)는 FR링 또는 유(U)-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리브(100)는 각 층간(콘크리트층)의 천정 또는 바닥의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별 마다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구비되는 슬리브(100)(도면에 미도시함)의 상단에 어느 하나의 에어덕트(10)를 고정밴드(20)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비되는 슬리브(10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홀(111)에 또 다른 에어덕트(10)의 상단을 삽입시켜 상부로 밀어올려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금씩 에어덕트(10)를 내려주어 상기 하부에 구비된 슬리브(100)(도면에 미도시함)의 상단에 고정된 에어덕트(10)의 상단에 맞닿으면 브이밴드(30)로 체결시켜 고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슬리브(10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홀(111)에 에어덕트(10)의 상단을 삽입시켜 상부로 밀어올리면 에어덕트(10)의 단부가 외부관(110)과 이동관(120)의 사이 틈새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관(12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1)에 걸린 상태로 이동관(120)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관(110)의 상부 내측에는 걸림턱(112)이 형성되어있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관(120)의 외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1)가 걸림턱(112)에 걸리게 되어 이동관(120)이 지속적으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리브 자체를 에어덕트용 이음관으로 형성함은 물론 슬리브 내부에 이동관을 일체로 내설시켜 2중관으로 구비함으로써 기본 내화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슬리브(100)는 건출물 내에서 다르게 설정된 층간별 층고의 높이에 맞춰 에어덕트의 길이를 조정시 별도의 장비와 자재 및 시공작업이 필요없이 슬리브에 삽입되는 에어덕트를 상하로 밀거나 당겨서 쉽고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장비와 자재가 필요 없으므로 자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별도의 시공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이에 따라 작업비용(인건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슬리브(100)가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동일한 길이와 현상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일일이 상부와 하부를 확인하여 구분할 필요 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높여주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슬리브에 에어덕트가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덕트의 센터를 쉽고 간편하게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아파트를 포함한 대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각 층간별 마다 형성되는 슬리브에 대하여 방화충진재(백업재, 우레탄폼 등)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결국 종전대비 에어덕트 시스템의 시공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킴은 물론 시공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시켜주며, 건축물의 시공 정밀성 및 시공 품질이 크게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110 : 외부관
111 : 개구홀 112 : 걸림턱
120 : 이동관
121 : 걸림돌기

Claims (5)

  1. 에어덕트(10)가 상하로 각각 수직으로 삽입되어 연통되는 외부관(110)과, 상기 외부관(110)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내측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해주는 이동관(120);을 포함하는 슬리브(10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관(11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텅 빈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에어덕트가 삽입되는 개구홀(111)이 형성되며, 상하 내측에는 상기 이동관(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1)가 걸려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관(12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텅 빈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관(120)의 상하 외측에는 상기 외부관(110)의 상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112) 중 어느 하나가 걸려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부관(110)의 개구홀(111)을 통해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단부가 걸려 지속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관(120)은 외부관(110)의 상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12)의 사이 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외부관(110)에 형성된 개구홀(111)로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높이를 별도의 장비와 부자재 없이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리브(100)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느 방향으로든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관(110)의 내측에 이동관(120)이 일체로 내설되어 2중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관(110)에 형성된 개구홀(111)을 통해 삽입되는 에어덕트(10)의 내부로 이동관(120)의 일부가 삽입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고정밴드(20)로 체결시켜 각 층간 내화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3707A 2016-04-08 2016-04-08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KR10180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707A KR101801301B1 (ko) 2016-04-08 2016-04-08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707A KR101801301B1 (ko) 2016-04-08 2016-04-08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00A KR20170115900A (ko) 2017-10-18
KR101801301B1 true KR101801301B1 (ko) 2017-11-24

Family

ID=6029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707A KR101801301B1 (ko) 2016-04-08 2016-04-08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991B1 (ko) 2022-04-01 2022-10-28 조형우 신속한 화재차단기능의 내화충전구조를 가진 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521B1 (ko) * 2023-10-05 2024-02-02 조인형 활성탄 흡입 및 집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57B1 (ko) 2014-06-25 2014-11-04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직결식 내화 소켓 및 상기 내화 소켓을 이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KR101529144B1 (ko) * 2014-11-25 2015-06-16 주식회사 수성공조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KR101602773B1 (ko) * 2014-10-14 2016-03-11 (주)상신엔지니어링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57B1 (ko) 2014-06-25 2014-11-04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직결식 내화 소켓 및 상기 내화 소켓을 이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KR101602773B1 (ko) * 2014-10-14 2016-03-11 (주)상신엔지니어링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529144B1 (ko) * 2014-11-25 2015-06-16 주식회사 수성공조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991B1 (ko) 2022-04-01 2022-10-28 조형우 신속한 화재차단기능의 내화충전구조를 가진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00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US7581362B2 (en) Conduit with adjustable length and fire collar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1801301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KR101466271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US20130307259A1 (en) Adjustable roof jack
KR102190167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US10876757B2 (en) Telescopic vent
KR101529144B1 (ko)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KR101849718B1 (ko) 덕트 일체형 매립 슬리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471451B1 (ko) 건물 슬라브 설치용 덕트 연결 슬리브
KR102036122B1 (ko) 방화충전재가 구비되는 건식 에어덕트 고정슬리브 및 시공방법
KR20160064715A (ko) 에어덕트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102185653B1 (ko) 덕트 일체형 방화 슬리브
KR101602773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459276B1 (ko)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하는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용 클립형 걸이 및 상기 클립형 걸이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한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의 시공방법
KR101867766B1 (ko)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DE102013210798B3 (de) Vorrichtung für eine Durchführung durch eine Wand eines Fertighauses sowie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r derartigen Durchführung an einem Bauelement eines Fertighauses
KR101442657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직결식 내화 소켓 및 상기 내화 소켓을 이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KR200444865Y1 (ko)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101521172B1 (ko) 공동주택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AT505746B1 (de) Brandschutzanlage für gebäude
KR20100085575A (ko) 에어 덕트
KR101737582B1 (ko)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JP2011145049A (ja) 多層階建物における冷媒配管工法と冷媒配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