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575A - 에어 덕트 - Google Patents

에어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575A
KR20100085575A KR1020090004947A KR20090004947A KR20100085575A KR 20100085575 A KR20100085575 A KR 20100085575A KR 1020090004947 A KR1020090004947 A KR 1020090004947A KR 20090004947 A KR20090004947 A KR 20090004947A KR 20100085575 A KR20100085575 A KR 20100085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duct
granular
exhaust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368B1 (ko
Inventor
박원중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디.에스.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9000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3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방 또는 욕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기를 욕실 또는 주방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 공정을 줄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기용 타공관, 상기 배기용 타공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새들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입상덕트, 상기 입상덕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입상덕트의 하부 끝단과 결합되는 하부덕트 및 상기 하부덕트와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개가 결합된 입상덕트들 사이를 서로 밀폐하여 누기를 방지하고, 에어덕트를 결합함에 있어서 작업의 시간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에어덕트, 가스켓, 주방, 욕실

Description

에어 덕트{Air duct}
본 발명은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방 또는 욕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기를 욕실 또는 주방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 공정을 줄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또는 욕실에서 발생되는 폐기 및 악취를 정상적으로 배기하도록 하기 위해 아파트 등의 다층 건축물에서는 주방과 욕실의 측방 선상에 에어덕트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덕트 시스템은 피브이시(PVC) 소재나 갈바늄(알루미늄 도금) 소재를 이용하여 에어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고 옥탑에서 자연배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에어덕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입상덕트(1)가 설치되고, 상기 입상덕트(1)의 일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주방 또는 욕실 측이 플랙시블덕트(3)에 고정되도록 새들(4)이 설치되며, 상기 입상덕트(1)의 최상층은 배기관(5)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5)의 상부에는 배기팬(6)이 설치된다.
상기 입상덕트(1)는 연결밴드(9)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입상덕트(1)가 통과 하는 층간부분(콘크리트층)은 슬리브(7)의 안내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7)를 통과한 하부 입상덕트(2)는 고정지지부재(8)를 이용하여 슬리브(7)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 입상덕트(2)의 외주연을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서, 하부 입상덕트(2)의 처짐을 방지하고 하부 입상덕트(2)와 슬리브(7) 사이의 여유 공간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덕트 시스템은, 복수개의 입상덕트(1)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9a)에 볼트(9b)와 너트(9c)로 결합되는 연결밴드(9)로 일일이 상기 입상덕트(1)를 연결하는 작업을 따로 작업을 해야 되므로, 작업부품 수량이 많고, 그에 따르는 작업공정이 많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입상덕트(1)를 상기한 연결밴드(9)로 고정해야 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안 좋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입상덕트(1)의 연결부위가 제대로 밀폐되지 않아 욕실 및 주방에서 배출되는 악취 및 폐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개가 결합된 입상덕트들 사이를 밀폐하여 누기를 방지하고, 에어덕트를 결합함에 있어서 작업의 시간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에어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기용 타공관, 상기 배기용 타공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새들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입상덕트, 상기 입상덕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입상덕트의 하부 끝단과 결합되는 하부덕트 및 상기 하부덕트와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상덕트의 새들은 상기 입상덕트의 중심부에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져 구비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단부에 가스켓이 구비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타공관은, 하단부에 가스켓이 구비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 하단부에 가스켓이 구비된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덕트는, 상, 하단부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제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상덕트는, 상, 하단부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제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단부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제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70)은, 상기 입상덕트, 새들, 하부덕트, 연결부재, 배기용 타공관, 캡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수직으로 제1 플렌지 및 제2 플랜지가 순차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상덕트, 새들, 하부덕트, 연결부재, 배기용 타공관, 캡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외측으로 롤링하여 고정하여 결합된다.
제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에어덕트에 의하면, 에어덕트를 통하여 주방 또는 욕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기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작업 공정을 줄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에어덕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성물들의 도면부호는 병행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어덕트는 건축물의 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입상덕트(10)가 설치되고, 상기 입상덕트(10)의 일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주방 또는 욕실 측이 플랙시블덕트(3)에 고정되도록 새들(20)이 설치되며, 상기 입상덕트(10)의 최상층은 배기용 타공관(50)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용 타공관(50)의 상부에는 배기팬(6)이 설치된다.
상기 입상덕트(10)는 연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입상덕트(10)가 통과하는 층간부분(콘크리트층)은 슬리브(7)의 안내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7)를 통과한 하부덕트(30)는 고정지지부재(8)를 이용하여 슬리브(7)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덕트(30)의 외주연을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서, 하부덕트(30)의 처짐을 방지하고 하부덕트(30)와 슬리브(7) 사이의 여유 공간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입상덕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덕트는 상부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기용 타공관(50)과, 상기 배기용 타공관(50)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새들(20)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입상덕트(10)와, 상기 입상덕트(1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40)와, 상기 입상덕트(10)의 하부 끝단과 결합되는 하부덕트(30) 및 상기 하부덕트(30)와 결합되는 캡(6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입상덕트(10)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새들(20)은 입상덕트(1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져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외부로 배출되는 폐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상덕트(10)의 중앙부를 통해 배출되는 폐기와 자연스럽게 병합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에 적용되는 가스켓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새들(20)의 단부, 하부덕트(30)의 상, 하단부, 연결부재(40)의 상, 하단부 및 배기용 타공관(50)의 하단부에는 가스켓(70)이 구비된다. 도 7에서는 연결부재(40)에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새들(20), 하부덕트(30), 연결부재(40), 배기용 타공관(50)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가스켓(70)은 밀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새들(20), 하부덕트(30), 연결부재(40), 배기용 타공관(5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바디(71), 상기 바디(71)의 외부면에 수직으로 제1 플렌지(72) 및 제2 플랜지(73)가 순차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72)는 상기 제2 플랜지(73)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켓(70)은 상기 새들(20)의 단부, 하부덕트(30)의 양단부, 연결부재(40)의 양단부 및 배기용 타공관(50)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롤링하여 고정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덕트는 배기용 타공관(50)의 하단부에 입상덕트(10)가 결합되고,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입상덕트(10)를 복수개 구비하여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입상덕트(10)들은 연결부재(4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입상덕트(10)의 하부에는 하부덕트(30)가 결합되고, 그 하부에 폐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캡(6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70)의 제1 플랜지(72) 및 제2 플랜지(73)가 접혀서 각각의 부재들의 결합된 부분을 밀폐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에어덕트는 서로 반대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입상덕트(10)의 양단부 및 캡(60)의 상단부에 가스켓(70)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덕트(30)의 양단부, 연결부재(40)의 양단부, 배기용 타공관(50)의 하단부는 가스켓(70)을 구비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의도와 편리성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물들을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에어덕트는 가정의 주방 또는 욕실뿐만 아니라, 산업현장 및 공 장 등 폐기가 배출되는 곳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입상덕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에 적용되는 가스켓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덕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상덕트 20 : 새들
30 : 하부덕트 40 : 연결부재
50 : 배기용 타공관 60 : 캡
70 : 가스켓 71 : 바디
72 : 제1 플렌지 73 : 제2 플랜지

Claims (10)

  1. 상부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기용 타공관(50);
    상기 배기용 타공관(50)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새들(20)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입상덕트(10);
    상기 입상덕트(1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40);
    상기 입상덕트(10)의 하부 끝단과 결합되는 하부덕트(30) 및
    상기 하부덕트(30)와 결합되는 캡(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덕트(10)의 새들(20)은 상기 입상덕트(10)의 중심부에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져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20)은,
    단부에 가스켓(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타공관(50)은,
    하단부에 가스켓(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 하단부에 가스켓(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덕트(30)는,
    상, 하단부에는 가스켓(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덕트(10)는,
    상, 하단부에는 가스켓(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60)은,
    상단부에는 가스켓(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9. 제3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70)은,
    상기 입상덕트(10), 새들(20), 하부덕트(30), 연결부재(40), 배기용 타공관(50), 캡(6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바디(71), 상기 바디(71)의 외부면에 수직으로 제1 플렌지(72) 및 제2 플랜지(73)가 순차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상덕트(10), 새들(20), 하부덕트(30), 연결부재(40), 배기용 타공관(50), 캡(60)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외측으로 롤링하여 고정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72)는,
    상기 제2 플랜지(73)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KR1020090004947A 2009-01-21 2009-01-21 에어 덕트 KR10110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47A KR101109368B1 (ko) 2009-01-21 2009-01-21 에어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47A KR101109368B1 (ko) 2009-01-21 2009-01-21 에어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575A true KR20100085575A (ko) 2010-07-29
KR101109368B1 KR101109368B1 (ko) 2012-01-30

Family

ID=4264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947A KR101109368B1 (ko) 2009-01-21 2009-01-21 에어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47A (ko) 2014-06-18 2015-12-30 (주)디.에스.인더스트리 건축물의 최상층 매립형 입상덕트용 슬리브
KR20200015984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수성공조 공동건물의 에어 덕트용 타공 배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12B1 (ko) * 2013-06-13 2014-12-05 (주)대교테크 건축물용 건식 에어덕트의 럭심 형성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17B1 (ko) * 2002-02-19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리드선 연결 장치
KR20040028326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JP4601346B2 (ja) 2004-07-15 2010-12-2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ダクト分岐構造
KR200368961Y1 (ko) 2004-08-04 2004-12-03 (주)대양기연 아파트 환기부에 설치가 용이한 금속재 원형 에어덕트
KR200428326Y1 (ko) 2006-07-28 2006-10-12 김송이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KR100880745B1 (ko) 2007-06-12 2009-01-30 노성근 일체형 덕트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47A (ko) 2014-06-18 2015-12-30 (주)디.에스.인더스트리 건축물의 최상층 매립형 입상덕트용 슬리브
KR20200015984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수성공조 공동건물의 에어 덕트용 타공 배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368B1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347079B1 (ko)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101109368B1 (ko) 에어 덕트
KR101529144B1 (ko)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KR200389191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KR101459276B1 (ko)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하는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용 클립형 걸이 및 상기 클립형 걸이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한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의 시공방법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317535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101801301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JP4214443B2 (ja) 部屋構造
JP6360675B2 (ja) 排水システムの配管構造およびこの配管構造の施工方法
JPS62185933A (ja) 排水用堅管装置
KR200459694Y1 (ko) 원형덕트 연결용 링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2009243036A (ja) 排水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可撓管部材
KR20130000059U (ko)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KR100635929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밴드 일체형 고정지지부재
US20190126083A1 (en) Fire suppression systems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KR200496747Y1 (ko)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KR101442657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직결식 내화 소켓 및 상기 내화 소켓을 이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KR200186136Y1 (ko) 소음방지용 관 연결구
KR200371268Y1 (ko)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