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059U -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059U
KR20130000059U KR2020110005756U KR20110005756U KR20130000059U KR 20130000059 U KR20130000059 U KR 20130000059U KR 2020110005756 U KR2020110005756 U KR 2020110005756U KR 20110005756 U KR20110005756 U KR 20110005756U KR 20130000059 U KR20130000059 U KR 201300000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duct
main body
rubber packing
duct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
조동준
Original Assignee
(주)대양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기연 filed Critical (주)대양기연
Priority to KR202011000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059U/ko
Publication of KR20130000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공동주택을 포함한 대형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층간마다 상,하로 분할된 원형덕트(수직배기관 또는 입상덕트관 등)의 연결을 간단한 수직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기밀유지의 안정성 및 유지보수시 간편한 작업성을 제공하며 결합 후의 시공 외관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Joint for duct pipe}
본 고안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대형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층간마다 상,하로 분할된 원형덕트(수직배기관 또는 입상덕트관 등)의 연결을 간단한 수직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기밀유지의 안정성 및 유지보수시 간편한 작업성을 제공하며 결합 후의 시공 외관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주방측과 욕실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정상적으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파트 등 다층 건축물의 주방측과 욕실측 일측 선상에 설치되어 상술한 가스의 배기와 환기를 조장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DRY AIR DUCT SYSTEM)은 피브이시(PVC) 소재나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한 에어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여 옥탑에서 자연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술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건축물의 상,하 방향으로 에어덕트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주방 또는 욕실 측의 플랙시블덕트에 고정되도록 새들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덕트의 최상층은 배기용 타공판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용 타공판의 상부에는 배기팬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덕트의 상,하 연결 단부에는 연결밴드 또는 커플링에 의해서 연결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밴드는 복층 이상 다층으로 구성되는 공동 주택에서 에어덕트가 상,하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져 접합(연결)되도록 조장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밴드는 에어덕트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 일반적인 원형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밴드는 조립시 굉장히 번거로운 체결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특히 상기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덕트 내부에서 현장맞춤을 하거나 콘크리트 옹벽과의 근접거리로 인해 수직배기관 연결시 원활하지 못한 작업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체결작업 자체가 상당히 어렵고 위험하여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한편, 상기 설치작업의 문제로 인해 시공이 정밀하지 못하여 작업 후 배기가스가 세어나오는 등 기밀유지가 불량하여 배기 효율이 저하되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각 층에 기 설치된 한 단계씩 큰 규격의 스리브와, 스리브를 관통한 원형덕트의 여분의 공간에 대한 불연제 처리를 요함은 물론 별도의 고정철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층간마다 상,하로 분할된 원형덕트(수직배기관 또는 입상덕트관 등)의 연결을 간단한 수직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기밀유지의 안정성 및 유지보수시 간편한 작업성을 제공하며 스리브의 덕트화 활용, 고정철물의 삭제 등 원가절감의 효과와 결합 후의 시공 외관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정의 폭을 갖는 납작한 밴드 링 형상의 본체(100) 외주면에 상하로 개구되어 끼움홈(210)이 형성된 T자형 체결구(200)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구(200)를 기준으로 연장된 본체(100)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는 별도의 원형덕트의 삽입시 원활한 결합을 도모하도록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T자형 체결구(200)를 기준으로 일방향 어느 일측면이 타측면에 비해 2배 이상 길이로 연장된 탈착면(120)을 형성하되, 상기 탈착면(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링 타입의 고무패킹(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로 식각된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300)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300)은 삽입홈(121)과 대응되어 끼워지되, 상기 고무패킹(300)의 외주 면상에는 복수 이상의 고무립(310)이 돌출되어 원형덕트의 내경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본체(100) 및 T자형 체결구(200)는 일체형으로서, 재질이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음관은 상,하로 분할된 원형덕트(수직배기관 또는 입상덕트관 등)의 연결을 간단한 수직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기밀유지의 안정성 및 유지보수시 간편한 작업성을 제공하며 결합 후의 시공 외관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이음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고무패킹 결합방식)의 이음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 시공에서 층간을 연결하는 원형덕트(수직배기관 또는 입상덕트 등)의 이음을 조장하도록 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납작한 링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상하로 개구되어 끼움홈(210)이 형성된 T자형 체결구(200)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구(200)를 기준으로 연장된 본체(100)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는 별도의 원형덕트의 삽입시 원활한 결합을 도모하도록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는 납작한 밴드형 링으로서, 본체의 내경은 다양한 구경의 원형덕트의 치수에 대응하며 설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T자형 체결구는 본체의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T자 형상은 좌로 누운 형태로서, 상하가 개구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끼움홈의 간격은 원형덕트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원형덕트이 끼움홈에 삽입시 억지끼움될 것을 예상하여 슬립되거나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으로, 상기 경사면은 상측 기준으로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측 기준으로는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T자형 체결구(200)를 기준으로 일방향 어느 일측면이 타측면에 비해 2배 이상 길이로 연장된 탈착면(120)을 형성하되, 상기 탈착면(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링 타입의 고무패킹(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로 식각된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300)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탈착면을 갖는 이음관은 공동주택의 각층 상부 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이음관으로, 삽입될 길이와 이음관 간에 이격차가 요구된다.
이때, 상기 탈착면은 원형덕트의 개구된 상단에 끼워진 후 소정 높이로 들어 올려져 길이 편차를 조절하게 되면서 고무패킹으로 하여금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300)은 삽입홈(121)과 대응되어 끼워지되, 상기 고무패킹(300)의 외주 면상에는 복수 이상의 고무립(310)이 돌출되어 원형덕트의 내경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무패킹과 고무립은 연질 실리콘 또는 연질 고무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고무패킹은 (ㅠ)자형이 우로 누운 형태를 이루고, 이때 분기된 복수의 고무립은 원형덕트의 내경과 밀착되어 이송 중인 기류가 새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본체(100) 및 T자형 체결구(200)는 일체형으로서, 재질이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음관과 체결구로 이루어진 본원 이음관은 생산성, 경제성과 제작 용이성, 이동 운반성을 확보하도록 철재가 아닌 가벼운 폴리 계열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 110 ... 경사면
120 ... 탈착면 121 ... 삽입홈
200 ... 체결구 210 ... 끼움홈
300 ... 고무패킹 310 ... 고무립

Claims (4)

  1. 소정의 폭을 갖는 납작한 밴드 링 형상의 본체(100) 외주면에 상하로 개구되어 끼움홈(210)이 형성된 T자형 체결구(200)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구(200)를 기준으로 연장된 본체(100)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는 별도의 원형덕트의 삽입시 원활한 결합과 기밀효과를 도모하도록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T자형 체결구(200)를 기준으로 일방향 어느 일측면이 타측면에 비해 2배 이상 길이로 연장된 탈착면(120)을 형성하되, 상기 탈착면(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링 타입의 고무패킹(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로 식각된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300)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300)은 삽입홈(121)과 대응되어 끼워지되, 상기 고무패킹(300)의 외주 면상에는 복수 이상의 고무립(310)이 돌출되어 원형덕트의 내경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및 T자형 체결구(200)는 일체형으로서, 재질이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KR2020110005756U 2011-06-23 2011-06-23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KR201300000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56U KR20130000059U (ko) 2011-06-23 2011-06-23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56U KR20130000059U (ko) 2011-06-23 2011-06-23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59U true KR20130000059U (ko) 2013-01-03

Family

ID=5135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756U KR20130000059U (ko) 2011-06-23 2011-06-23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05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144B1 (ko) * 2014-11-25 2015-06-16 주식회사 수성공조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KR20160009466A (ko) * 2014-07-16 2016-01-26 하이닥트 주식회사 닥트 연결부 기밀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66A (ko) * 2014-07-16 2016-01-26 하이닥트 주식회사 닥트 연결부 기밀수단
KR101529144B1 (ko) * 2014-11-25 2015-06-16 주식회사 수성공조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079B1 (ko)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20130138690A (ko) 실내 설치용 후드 캡
KR20130000059U (ko) 원형덕트 연결용 이음관
KR101127903B1 (ko) 슬리브를 덕트구조로 사용하는 환기덕트 시공방법
KR200467683Y1 (ko) 에어덕트 및 슬리브 직결형 연결관
KR101522564B1 (ko)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US20110212680A1 (en) Radon removal system that uses atmospheric air to simultaneously dilute radon gas or other contaminants to safer levels before exhausting externally through a band-board
CN204311702U (zh) 一种风管以及包含该风管的空调系统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1109368B1 (ko) 에어 덕트
KR200453858Y1 (ko) 배수관 연결구
KR20170121740A (ko) 슬라이드 조립식 환풍기
RU156123U1 (ru) Блок для инженер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KR20060101595A (ko)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KR100923462B1 (ko) 고층건물의 층간소음 및 고도차에 따른 배기압의 분할 및배기가스의 역류방지 구조를 갖는 더블 입상형 에어덕트
KR101176887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200459694Y1 (ko) 원형덕트 연결용 링
KR200438130Y1 (ko) 배기덕트의 누설방지용 브이밴드
KR200439433Y1 (ko) 수직배기관의 타원형 입상덕트용 연결밴드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CN213064951U (zh) 一种内嵌通气管的排水立管
JP2005213936A (ja) ドレン排水案内構造
CN209837581U (zh) 一种简易埋入式竖向排气道
KR101442657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직결식 내화 소켓 및 상기 내화 소켓을 이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