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595A -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595A
KR20060101595A KR1020050023069A KR20050023069A KR20060101595A KR 20060101595 A KR20060101595 A KR 20060101595A KR 1020050023069 A KR1020050023069 A KR 1020050023069A KR 20050023069 A KR20050023069 A KR 20050023069A KR 20060101595 A KR20060101595 A KR 20060101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slab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781B1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05002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78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plane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8Mixing animal foo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4Mixing chemical components in generals in order to improve chemical treatment or reactions, independently from the specific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Mixing cement, mortar, clay, plaster or concrete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또는 빌딩 등의 건축물에 각 층간의 상하로 관통되는 배관을 쉽고 용이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고정이 견고하여 밀폐가 가능함과 더불어 마무리가 깔끔하고, 개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슬리브와 배관지지구를 구비하고, 슬리브와 배관지지구를 설치하기 위한 홀 천공용 천공장비를 각각 준비하는 준비공정과, 상기 준비된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건축물 슬래브의 바닥에 홀을 형성하는 홀 천공공정과, 상기 슬래브에 천공한 홀에 상하로 관통된 슬리브를 설치하는 슬리브 설치공정과, 상기 홀에 설치한 슬리브의 내부에 배관을 삽입하는 배관 삽입공정과, 상기 배관을 삽입한 슬리브의 상부에서 배관과 슬리브의 사이에 배관 지지구를 삽입하여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지지구 상부 설치공정과, 상기 슬리브의 하부와 배관 사이에 배관 지지구를 삽입하여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구의 하부 설치공정을 포함하여 배관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공정으로 고정하는 배관지지구는 단면이 반원형태의 호형관 일측을 외향으로 연장하여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를 연장하여 삽입부를 형성한 후 외주연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의 상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한 후 연장부의 끝단을 테두리를 따라 돌조를 형성하여 배관과 슬래브의 홀 사이에 삽입함과 동시에 배관을 고정함을 특징으 로 한다.
배관, 슬래브, 슬리브, 고정구조, 고정밥법, 밀폐, 고정구, 지지구

Description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를 이용한 고정구조{The fix structure with the fix method of pipe arrangement}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설치상태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배관지지구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배관지지구의 돌출부 크기별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배관지지구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공정을 보인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슬래브 2: 슬리브
3: 배관 10: 배관지지구
11: 플랜지 12: 삽입부
13: 돌출부 14: 연장부
15: 돌조 16: 탄성돌조
17: 쐐기홈 18: 쐐기
본 발명은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또는 빌딩 등의 건축물에 각 층간의 상하로 관통되는 배관을 쉽고 용이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고정이 견고하여 밀폐가 가능함과 더불어 마무리가 깔끔하고, 개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또는 빌딩 등의 저층 또는 고층건물에서는 환풍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송수배관, 폐수배출 배관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각 층간 또는 슬래브(바닥이나 지붕을 한 장의 판처럼 콘크리트로 만든 구조)에 홀 작업(코어작업-기존 콘크리트 건물 및 신축 현장에 배관용 슬리브 구멍 뚫는 작업)을 하여 홀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로 구성되는 슬리브를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하거나 신축 또는 기존건물에 홀을 천공하여 슬 리브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슬래브에 홀을 천공한 후 슬리브를 설치하여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그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20-331230호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이다.
이를 설명하면 반원형 밴드편과 상기 밴드편의 하단부에 형성되면서 저면에 지지편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밴드편과 플랜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 후측 체결부와, 상기 각 지지편이 각각 삽입되는 패드로 이루어진 일측 배관용 파이프 지지부와, 상기 일측 배관용 파이프 지지부의 전, 후측 체결부에 서로 마주 대하는 전, 후측 체결부의 각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 후측 원호형상의 밴드편과 상기 전, 후측 각 밴드편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관안치부와, 전, 후측 플랜지와, 상기 전, 후측플랜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면서도 패드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편이 각각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타측 배관 파이프지지부로 구성한 것으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2개로 분할 형성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었으나, 파이프 지지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두 개의 파이프 지지부를 서로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작업공정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며, 이를 판상형의 슬래브에 홀을 천공한 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파이프 지지부가 고정할 수 있게끔 형성한 전용 슬리브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관과 슬리브의 고정이 견고하더라도 밀폐효과가 떨어져 틈새가 발생하며, 판상형의 슬래브에 형성한 홀의 상부에만 고정됨으로써 아래층의 천정면에서는 슬리브와 배관 사이에 큰 틈새가 발생되어 방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는 별도로 등록실용신안 20-0277271호 "입상판 고정 및 지지구"가 제시되었다.
이는 건축물의 각층 상판과 측판에 입상관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을 갖는 슬리브 내부로 입상관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에 삽입설치되는 테이퍼진 중공 원통형상의 입상판 고정 지지구 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구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중심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면을 갖는 이음부를 구비한 것으로, 구정지지구의 구성이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떨어트리고,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며, 방수 기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아래층의 천정면 부분에서는 일정크기의 틈새가 발생하고, 경사면을 별도로 고정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또는 빌딩 등의 슬래브에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함과 동시에 설치 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밀폐가 견고하여 방수 가능하게 하며, 마무리가 깔끔하여 미관이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홀에 편심으로 삽입된 배관도 휨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가능하게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리브와 배관지지구를 구비하고, 슬리브와 배관지지구를 설치하기 위한 홀 천공용 천공장비를 각각 준비하는 준비공정과, 상기 준비된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건축물 슬래브의 바닥에 홀을 형성하는 홀 천공공정과, 상기 슬래브에 천공한 홀에 상하로 관통된 슬리브를 설치하는 슬리브 설치공정과, 상기 홀에 설치한 슬리브의 내부에 배관을 삽입하는 배관 삽입공정과, 상기 배관을 삽입한 슬리브의 상부에서 배관과 슬리브의 사이에 배관 지지구를 삽입하여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지지구 상부 설치공정과, 상기 슬리브의 하부와 배관 사이에 배관 지지구를 삽입하여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구의 하부 설치공정을 포함하여 배관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공정으로 고정하는 배관지지구는 단면이 반원형태의 호형관 일측을 외향으로 연장하여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를 연장하여 삽입부를 형성한 후 외주연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의 상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한 후 연장부의 끝단을 테두리를 따라 돌조를 형성하여 배관과 슬래브의 홀 사이에 삽입함과 동시에 배관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설치상태 사시도 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실 시 예의 배관지지구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배관지지구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배관지지구의 돌출부 크기별로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공정을 보인 공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그리고, 빌딩 등의 건축물의 슬래브(1)에 홀(1a)을 천공하고, 천공된 홀(1a)에 슬리브(2)를 설치한 다음 배관(3)을 삽입한 후 삽입된 배관(3)을 배관지지구(1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배관지지구(10)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단면이 반원형태의 호형으로 된 일정길이의 반쪽 관 외주연을 소정 폭으로 외향 수평지게 연장하여 플랜지(11)를 형성하여 층간 방화구획 및 층간 소음차단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1)의 내측 하부를 하향으로 연장하여 삽입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12)의 외주연에는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형 돌출부(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지지구(10)는 상기 플랜지(11)의 내측 상부로 연장하여 연장부(14)를 형성한 후 연장부(14)의 끝단을 테두리를 따라 돌조(15)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지지구(10)는 슬리브(2)의 내부에 편심지게 삽입되더라도 설치할 수 있게 삽입부(12)의 외주연에 형성한 상광하협의 돌출부(13)의 크기를 달리하여 대, 중, 소로 분리 형성하여 틈새의 크기에 맞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관지지구(10)는 두 개로 분할시켜 180°각도의 호형으로 형성하여 배관(3)을 지지토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꼭 한정하지 않고 2~8개로 분할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배관지지구(10)를 대, 중, 소로 분리형성하는 이유는 배관(3)이 슬래브(1)의 홀(1a)에 설치한 슬리브(2)의 중앙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슬리브(2)에 편심지게 삽입될 경우 슬리브(2)와 배관 사이의 틈새가 한쪽은 넓고 다른 쪽은 좁아지게 되어 동일한 크기의 배관지지구(10)를 사용하게 되면 강제로 중앙에 위치시키게 되어 배관(3)이 휨이 발생하게 되므로 편심진 상태 그대의 상태에서 넓은 틈새는 돌출부(13)의 크기가 큰 배관지지구(10)을 사용하고, 좁은 틈새에는 돌출부(13)의 크기가 작은 배관지지구(10)를 사용함으로써 배관(3)을 자연스럽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결속선이나 타이 등을 이용하여 배관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관지지구(10)의 하부에 형성한 삽입부(12)의 돌출부(13)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하되 적어도 3개 이상 20개 이하로 형성한다.
이와는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지지구(10)는 삽입부(12)의 끝단을 외향으로 연장한 후 상부로 외향 경사지게 탄성돌조(16)를 형성하여 삽입부(12)와 탄성돌조(16) 사이에 쐐기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17)에는 별도의 합성수지재로 된 쐐기(18)을 형성하여 쐐기홈(17)에 삽입함으로써 배 관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배관(3)을 고정하기 위한 쐐기(18)는 고무재,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재 또는 직물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그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오각, 육각 등의 단면형상의 구애 없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태가 되도록 형성하여 끼워넣음으로써 배관지지구(10)가 팽창되면서 배관을 고정하는 형태가 되도록 함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준비공정]
슬리브(2)와 배관지지구(10)를 구비하고, 슬리브(2)와 배관지지구(30)를 설치하기 위한 홀 천공용 천공장비를 각각 준비하는 공정이다.
[홀 천공공정]
준비된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건축물 슬래브(1)의 바닥에 일정한 크기의 홀(1a)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사용하는 천공장비는 홀을 천공할 수 있는 장비면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건축물 콘크리트 양생 작업시 동시에 형성함이 좋다.
[슬리브 설치공정]
상기 슬래브(1)에 천공한 홀(1a)에 상하로 관통된 슬리브(2)를 설치하는 공정으로 적절한 크기의 슬리브(2)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 또는 실리콘 등의 충진재로 홀(1a)과 슬리브(20) 사이를 충입하여 고정하거나 못 또는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 정한다.
이때 슬리브(2)의 형상은 특정형상에 구애 없고, 단순하게는 일반 파이프 형태의 관에서 양 끝단에 플랜지를 형성한 별도의 슬래브(2)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까지의 준비공정, 슬래브 홀 천공공정, 슬리브 설치공정은 건축물 건설시에 동시에 설치형성함이 바람직하므로 건축물 건설시에 형성될 경우에는 후술 하는 공정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 삽입공정]
상기 홀(1a)에 설치한 슬리브(2)의 내부에 배관(3)을 삽입하는 공정으로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배관(3)을 삽입하되 홀(1a)의 천공상태가 좋아 슬리브(2)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편심진 상태에서도 고정이 가능함으로 배관(3)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한다.
이때 배관(3)을 강제로 정 중앙에 위치시킨다면 배관(3)에 휨이 발생하거나, 파괴되어 높은 수명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 되도록 한다.
[배관지지구 상부 설치공정]
상기 배관(3)을 삽입한 슬리브(2)의 상부에서 배관(3)과 슬리브(2)의 사이에 배관 지지구(10)를 삽입하여 배관(3)을 고정하는 공정이다.
이때 틈새가 동일하게 슬리브(2)의 내부에 배관(3)이 정 중앙에 위치한다면 동일한 크기의 돌출부(13)을 갖는 배관지지구(10)를 양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 틈새가 한쪽은 넓고 한쪽은 좁은 형태의 슬리브(2)의 내부에 배관(3)이 편심지게 위치한다면 넓은 쪽은 돌출부(13)가 큰 배관지지구(10)를 삽입한 후, 다른 쪽은 돌출부(13)가 작은 배관지지구(10)를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관지지구(10)를 설치할 때에는 상부에서 가압하거나 타격하여 강제삽입 시킴으로써 배관지지구(10) 삽입부(12)의 외주연에 형성한 돌출부(13)가 탄성 압축되면서 삽입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지지구(10)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배관을 고정시켜 주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견고한 밀폐가 가능하다.
상기 배관지지구(10)를 설치 후에는 실리콘 등의 충진제로 만일의 틈새를 충진하거나, 접착제를 접착하여 견고한 고정 또는 밀폐가 되게 한다.
[배관지지구 하부 설치공정]
상기 슬리브(2)의 하부와 배관 사이에 배관 지지구(10)를 삽입하여 배관(3)을 지지하는 공정이다.
이때 배관지지구는 상부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슬래브(1)의 하부를 깔끔하게 마무리 되게 함과 동시에 상, 하부에서 동시에 틈새를 밀폐시키게 되어 방수 효율이 높고, 하부에서도 미관이 살아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 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또는 빌딩 등의 슬래브에 홀을 형성한 후 단면이 반원형태의 호형관 일측을 외향으로 연장하여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를 연장하여 삽입부를 형성한 후 외주연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의 상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한 후 연장부의 끝단을 테두리를 따라 돌조를 형성하여 배관과 슬래브의 사이에 별도의 작업 없이 삽입함과 동시에 배관을 별도의 공구 등을 요하지 않고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함과 동시에 재질을 탄성재질로 하고, 설치 후 충진제 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착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밀폐가 견고하여 방수 가능하며, 마무리가 깔끔하여 미관이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지지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홀에 편심으로 삽입된 배관도 배관의 휨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가능하게 함에 있다.

Claims (4)

  1. 슬리브(2)와 배관지지구(10)를 구비하고, 슬리브(2)와 배관지지구(30)를 설치하기 위한 홀 천공용 천공장비를 각각 준비하는 준비공정과;
    상기 준비된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건축물 슬래브(1)의 바닥에 홀(1a)을 형성하는 슬래브 홀 천공공정과;
    상기 슬래브(1)에 천공한 홀(1a)에 상하로 관통된 슬리브(2)를 설치하는 슬리브 설치공정과;
    상기 홀(1a)에 설치한 슬리브(2)의 내부에 배관(3)을 삽입하는 배관 삽입공정과;
    상기 배관(3)을 삽입한 슬리브(2)의 상부에서 배관(3)과 슬리브(2)의 사이에 배관 지지구(10)를 삽입하여 배관(3)을 고정하는 배관 지지구 상부 설치공정과;
    상기 슬리브(2)의 하부와 배관 사이에 배관 지지구(10)를 삽입하여 배관(3)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구 하부 설치 공정을 포함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 방법.
  2. 단면이 반원형태의 호형관 외주연을 외향으로 연장하여 플랜지(11)를 형성하여 층간 방화구획 및 층간 소음차단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1)의 하부를 연장하여 삽입부(12)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부(12)의 외주연에는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돌출부(13)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11)의 상부로 연장하여 연장부(14)를 형성한 후 연장부(14)의 끝단을 테두리를 따라 돌조(15)를 형성한 배관지지구(10)를 형성하여서 이를 배관(3)과 슬래브(1)의 홀(1a) 사이에 삽입함과 동시에, 배관을 결속선이나 타이 등에 의해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지지구(10)는 슬리브(2)의 내부에 편심지게 삽입되더라도 설치할 수 있게 삽입부(12)의 외주연에 형성한 상광하협의 돌출부(13)의 크기를 달리하여 대, 중, 소로 분리 형성하여 틈새의 크기에 맞게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지지구(10)는 삽입부(12)의 끝단을 외향으로 연장한 후 상부로 외향 경사지게 탄성돌조(16)를 형성하여 삽입부(12)와 탄성돌조(16) 사이에 쐐기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17)에는 별도의 합성수지재로 된 쐐기(18)를 형성하여 쐐기홈(17)에 삽입함으로써 배관을 고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구조.
KR1020050023069A 2005-03-21 2005-03-21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KR10070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069A KR100709781B1 (ko) 2005-03-21 2005-03-21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069A KR100709781B1 (ko) 2005-03-21 2005-03-21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595A true KR20060101595A (ko) 2006-09-26
KR100709781B1 KR100709781B1 (ko) 2007-04-23

Family

ID=3763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069A KR100709781B1 (ko) 2005-03-21 2005-03-21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22B1 (ko) *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KR20190129515A (ko) 2018-05-11 2019-11-20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슬리브를 이용한 관통공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200487498Y1 (ko) * 2018-03-19 2018-09-28 신기산업 주식회사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69584D1 (en) * 1984-03-06 1988-04-07 Werner Hauff Lead-in for a conduit, as cable, pipe or the like through a wall opening
JPH026311Y2 (ko) * 1985-08-30 1990-02-15
JPH0727248U (ja) * 1993-10-15 1995-05-19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ケーブル移動防止装置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22B1 (ko) *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KR20190129515A (ko) 2018-05-11 2019-11-20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슬리브를 이용한 관통공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781B1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617B2 (en) Wall panel system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709781B1 (ko)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101814707B1 (ko)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JP2007071012A (ja) 壁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N106436987A (zh) 一种隔墙地脚调节固定密封装置及其施工工艺
FI12380U1 (fi) Läpivientikappale viemäriputken viemiseksi talon välipohjan läpi
JP200830354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コンクリート外壁への複合パネルの外張り施工方法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JP4968972B2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403385B1 (ko) 건축시설물 배관의 지지가대 고정용 브라켓
CN112593654A (zh) 一种隔声顶制作方法及隔声顶
JP2007218022A (ja) 型枠兼用外断熱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外断熱通気工法
JP5034980B2 (ja) 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目地部材付き型枠
JP6516141B2 (ja) 固定具およびシート防水構造
JP5034991B2 (ja) 目地部材及び建築物
JP6277343B1 (ja) 貫通孔用スリーブ固定具
TW202144659A (zh) 建築預埋構件及固定和拆卸建築預埋構件之施工方法
US8336127B1 (en) Method of stabilizing a closet ring and tool therefor
JP5034981B2 (ja) 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目地部材付き型枠
JP3682605B2 (ja) 内装下地用型枠パネル
KR101498860B1 (ko) 내축압형 브라켓이 구비되는 단열콘크리트 거푸집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JP4398690B2 (ja) 立ち上がり配管用型枠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