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98Y1 -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98Y1
KR200487498Y1 KR2020180001186U KR20180001186U KR200487498Y1 KR 200487498 Y1 KR200487498 Y1 KR 200487498Y1 KR 2020180001186 U KR2020180001186 U KR 2020180001186U KR 20180001186 U KR20180001186 U KR 20180001186U KR 200487498 Y1 KR200487498 Y1 KR 200487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lange
vacuum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40U (ko
Inventor
정진현
Original Assignee
신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9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배관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와 지지장치에 형성된 배관구멍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구멍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 시공 전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장치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며, 플랜지를 고정원판에 클램프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층간 슬래브(10)에 형성된 배관구멍(11)으로 끼워지는 진공배관(20)을 고정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층간 슬래브(10)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볼트(B1)로 고정되어 진공배관(20)이 끼워지는 배관구멍(31)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원판(30); 상기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2)체결로 고정되어 배관구멍(11)(31)의 노출을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임시차단원판(40); 상기 진공배관(20)의 외경에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랜지(50); 상기 고정원판(30)에 볼트(B3)체결로 고정되어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클램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관(20)의 시공 전에는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볼트(B2)로 고정하며, 상기 진공배관(20)의 시공 시에는 임시차단원판(40)을 분리한 상태에서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클램프(60)로 고정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A supporting apparatus for vacuum pipe}
본 고안은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공배관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와 지지장치에 형성된 배관구멍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구멍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시공 전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장치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플랜지를 고정원판에 클램프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또는 엘시디 등의 생산 라인에서 웨이퍼 가공시 대부분 챔버 내에서 진공 상태에서 작업을 한다. 이때, 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다수의 펌프가 소요된다. 이 진공펌프는 랙 내에 여러 대 설치된다.
이러한 반도체 생산 공장에서의 생산 라인은 다층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층에는 웨이퍼 가공이 이루어지는 진공챔버 등이 설치되며, 하층에는 진공챔버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다수 배치되는 랙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중간층은 내부의 청정 공기의 순환 흐름이 이루어지는 중간 경로를 제공하는 층간 슬래브가 있다. 다시 말해, 청정 공기는 상층에서 층간 슬래브로 내려온 후에 다시 상층으로 올라가는 일정 방향으로의 순환 경로를 1년 내내 쉬지 않고 순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중간층인 층간 슬래브와 진공펌프가 설치되는 하층은 오염된 공기 속에 있는 파티클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단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하층에 설치된 진공펌프와 상층에 설치된 진공챔버는 진공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진공배관은 다수가 서로 연결되어 층간 슬래브를 관통하면서 하층에서 상층까지 일정 높이로 수직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반도체 설비에 사용되는 진공배관은 상하 일정 높이로 길게 수직 설치되고, 특히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진공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진공배관의 지지장치는 일반적으로 층간 슬래브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진공배관의 지지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100)는 진공펌프(500)가 설치되는 랙(400)의 상부로부터 층간 슬래브(300)를 수직 관통하는 진공배관(200)의 한쪽 옆에 일정 높이를 갖으면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층간 슬래브(300) 위에 설치되는 철 구조물(1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진공배관(200)은 진공배관(200)을 감싸는 와이어(120) 등를 통해 철 구조물(110)에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진공배관은 와이어 등을 통해 진공배관의 한쪽 옆에 설치된 철 구조물에 지지되기 때문에 진공배관의 지지력이 약하다. 이러한 진공배관의 지지력의 약화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진공배관의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진공배관의 하단 측에 진공배관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랙 장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진공배관이 랙 장비에 지지되더라도 진공배관의 하중과 전공펌프의 작동에 의한 진공배관의 진동이 진공배관의 맨 아랫부분에 그대로 전달되어 랙 장비의 휨 및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술한 진공배관의 지지력 약화로 인한 진공배관 하단으로의 큰 하중과 진동의 전달은 진공배관과 진공펌프의 연결부 측에 신축성이 좋은 벨로우즈관을 채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진공배관과 진공펌프가 연결하기 전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의 고장 및 수명 등으로 인해 게이트 밸브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진공배관 전부를 철거한 상태에서 게이트 밸브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게이트 밸브의 교체 작업이 매우 어렵고 교체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는 상술한 진공배관의 지지력 약화로 인한 문제점 이외에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먼저, 진공배관 지지장치가 진공배관의 한쪽 옆에 층간 슬래브의 바닥면 상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층간 슬래브의 효율적인 레이아웃 설계가 어렵고, 더욱이 층간 슬래브를 이동하는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진공배관 지지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다음으로, 진공배관이 층간 슬래브의 바닥면을 직접 관통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진공배관의 장착 완료 후에 진공배관과 층간 슬래브 바닥면 관통구멍 주위의 틈을 메우기 위한 별도의 추가 작업으로 인해 전체 배관 설치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243968호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多層) 구조로 이루어진 반도체 생산 공장의 각 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배관을 지지하는 지지장치(100)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구조물로 반도체 생산 공장의 어느 한 층의 바닥면(300) 상에 상기 진공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관통구멍이 중공의 내부에 위치되게 고정 설치되는 슬리브체(120); 및 상기 슬리브체(120)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배관 관통구멍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에 진공배관이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111)과, 상기 연결관(11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체(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체(120)의 상면 개방부를 덮는 덮개판(112)으로 구성된 연결관체(110); 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체(120)는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121)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300)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고정판(122)과, 상기 몸체(12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몸체(121)의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판(112)이 고정 결합되는 상부 설치판(1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리브체(120)의 하부 고정판(122)과 상부 설치판(123) 및 상기 연결관체(110)의 덮개판(112)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구멍(112a)(122a)(123a)이 각각 다수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고정판(122)은 상기 바닥면(300)에 볼트 체결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덮개판(112)은 상기 상부 설치판(123)에 볼트 체결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체(120)의 하부 고정판(122)에 형성된 체결구멍(122a)은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진공배관 지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는 진공배관의 시공 전 바닥면(300)과 슬리브체(120)에 형성된 배관 관통구멍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바닥면(300)을 이동하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작업자가 배관 관통구멍으로 빠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는 진공배관의 시공 전 슬리브체(120)의 몸체가 바닥면(300)의 상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바닥면(300)을 이동하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슬리브체(120)의 몸체(121)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는 덮개판(112)을 설치판(123)에 볼트(700) 체결로 고정 결합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덮개판(112)과 설치판(123)의 체결구멍(112a)(123a)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덮개판(112)의 틀어짐이 발생하여 덮개판(112)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243968호(등록일자 : 2013.03.08)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진공배관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와 지지장치에 형성된 배관구멍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구멍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임시차단원판이 설치되는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진공배관의 시공 전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장치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높이가 낮은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원판이 설치되는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를 고정원판에 클램프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시 플랜지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랜지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층간 슬래브에 형성된 배관구멍으로 끼워지는 진공배관을 고정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볼트로 고정되어 진공배관이 끼워지는 배관구멍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원판; 상기 고정원판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체결로 고정되어 배관구멍의 노출을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임시차단원판; 상기 진공배관의 외경에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원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랜지; 상기 고정원판에 볼트체결로 고정되어 플랜지를 고정원판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관의 시공 전에는 임시차단원판을 고정원판에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진공배관의 시공 시에는 임시차단원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플랜지를 고정원판에 클램프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원판과 플랜지 사이에는 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을 장착하고, 상기 센터링의 외주연 중앙과 고정원판과 플랜지 사이에는 난연소재의 오링을 장착하며, 상기 층간 슬래브와 고정원판 사이에는 난연소재의 가스킷을 장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는 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링의 상부에는 플랜지의 링홈에 끼워지는 상부링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링의 하부에는 고정원판의 배관구멍으로 끼워지는 하부링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링의 외주연 중앙에는 고정원판과 플랜지 사이로 끼워지는 걸림링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링의 외주연은 오링을 고정하기 위해 오링에 대응하는 라운드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클램프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플랜지에는 히팅파이프홀을 형성하고, 상기 히팅파이프홀에는 실링캡을 장착하며, 상기 실링캡의 외경에는 난연소재의 오링을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에 따르면, 층간 슬래브에 고정원판을 고정한 상태에서 진공배관의 시공 전에 임시차단원판을 고정원판에 고정하면 배관구멍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배관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와 지지장치에 형성된 배관구멍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구멍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진공배관의 시공 전에 임시차단원판을 고정원판에 고정하면 층간 슬래브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장치의 플레이트 두께만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배관의 시공 전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장치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배관에 플랜지를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진공배관을 배관구멍에 끼우고, 플랜지를 고정원판에 클램프로 고정하면 진공배관을 층간 슬래브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배관을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시 플랜지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랜지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진공배관 지지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임시차단원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A - A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 - B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C"부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센터링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는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에 형성된 배관구멍(11)으로 끼워지는 진공배관(20)을 고정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층간 슬래브(10)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볼트(B1)로 고정되어 진공배관(20)이 끼워지는 배관구멍(31)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원판(30); 상기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2)체결로 고정되어 배관구멍(11)(31)의 노출을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임시차단원판(40); 상기 진공배관(20)의 외경에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랜지(50); 상기 고정원판(30)에 볼트(B3)체결로 고정되어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클램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관(20)의 시공 전에는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볼트(B2)로 고정하며, 상기 진공배관(20)의 시공 시에는 임시차단원판(40)을 분리한 상태에서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클램프(60)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는 층간 슬래브(10)에 형성된 배관구멍(11)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진공배관(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지지장치는 고정원판(30), 임시차단원판(40), 플랜지(50) 및 클램프(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원판(30)은 지지장치의 하부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원판(30)은 배관구멍(11)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층간 슬래브(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원판(30)은 층간 슬래브(10)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볼트(B1)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원판(30)의 중앙부에는 진공배관(20)이 끼워지는 배관구멍(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원판(30)은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진공배관(20)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10)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원판(3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앵커볼트(B1)가 끼워지는 다수의 볼트공(30a)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판(3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볼트(B2)(B3)가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체결공(30b)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층간 슬래브(10)에는 앵커볼트(B1)가 고정되고, 상기 앵커볼트(B1)에는 평와셔(W1)가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N)가 체결된다.
상기 임시차단원판(40)은 지지장치의 안전커버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임시차단원판(40)은 진공배관(20)의 시공 전 미리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2)체결로 고정되어 배관구멍(11)(31)의 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진공배관(20)을 층간 슬래브(10)에 고정하기 전에 미리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고정하면 배관구멍(11)(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층간 슬래브(10)를 이동하는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배관구멍(11)(31)으로 빠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차단원판(40)은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진공배관(20)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10)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장치의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50)는 지지장치의 상부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플랜지(50)는 진공배관(20)의 외경에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원판(30)에 다수의 클램프(60)로 고정된다. 이때, 도 7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배관(20)을 배관구멍(11)(31)에 끼우고, 상기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클램프(60)로 고정하면 진공배관(20)을 층간 슬래브(1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60)는 다수가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볼트(B3)체결로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클램프(60)는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클램프(60)의 내측 상부에는 플랜지(50)의 상부에 밀착되는 고정돌기(61)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60)의 중앙에는 볼트(B3)가 끼워지는 볼트공(62)이 수직으로 관통되며, 상기 볼트(B3)는 볼트공(6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원판(30)의 볼트체결공(30b)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볼트(B3)에는 평와셔(W3)와 스프링와셔(W4)가 끼워진다.
상기 클램프(60)의 고정돌기(61)가 플랜지(5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볼트(B3)를 고정원판(30)의 볼트체결공(30b)에 체결하면, 상기 클램프(60)는 도 7,10,11에서와 같이 플랜지(50)의 외면과 상부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클램프(60)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시 플랜지(50)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랜지(50)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달리 플랜지(50)에 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다수의 클램프(60)가 고정원판(30)에 볼트(B3)체결로 고정되어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플랜지(50)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50)의 상부에는 클램프(60)의 고정돌기(61)가 끼워지는 고정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50)의 상부에는 클램프(60)의 고정돌기(61)가 끼워지는 고정홈(52)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클램프(60)를 이용하여 고정원판(30)의 상부에 플랜지(50)를 한층 더 견고하고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에는 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70)이 장착되고, 상기 센터링(70)의 외주연 중앙과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에는 난연소재의 오링(R1)이 장착되며, 상기 층간 슬래브(10)와 고정원판(30) 사이에는 난연소재의 가스킷(G)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링(70)은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센터링(70)은 클램프(60)의 고정시 플랜지(50)가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도 11,12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50)의 하부에는 링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링(70)의 상부에는 플랜지(50)의 링홈(51)에 끼워지는 상부링(71)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링(70)의 하부에는 고정원판(30)의 배관구멍(31)으로 끼워지는 하부링(72)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링(70)의 외주연 중앙에는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로 끼워지는 걸림링(7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링(73)의 외주연은 오링(R1)을 고정하기 위해 오링(R1)에 대응하는 라운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60)의 고정시 센터링(70)의 상부링(71)은 플랜지(50)의 링홈(51)에 끼워지고, 상기 센터링(70)의 하부링(72)은 고정원판(30)의 배관구멍(31)으로 끼워지며, 상기 센터링(70)의 걸림링(73)은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로 끼워지기 때문에, 플랜지(50)가 틀어지지 않도록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의 정위치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링(70)의 외주연 중앙과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에는 난연소재의 오링(R1)이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50)와 고정원판(30) 사이의 방화 실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링(73)의 외주연은 오링(R1)에 대응하는 라운드로 형성되고, 상기 오링(R1)은 라운드로 형성된 걸림링(73)의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층간 슬래브(10)와 고정원판(30) 사이에는 난연소재의 가스킷(G)이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원판(30)과 층간 슬래브(10) 사이의 방화 실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50)에는 히팅파이프홀(53)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파이프홀(53)에는 실링캡(54)이 장착되며, 상기 실링캡(54)의 외경에는 난연소재의 오링(R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50)에는 히팅파이프홀(53)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실링캡(54)을 빼낸 상태에서 히팅파이프홀(53)에 히팅파이프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한편 히팅파이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히팅파이프홀(53)에 실링캡(54)을 장착하여 히팅파이프홀(5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난연소재의 오링(R2)을 통해 히팅파이프홀(53)과 실링캡(54) 사이의 방화 실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진공배관(20)을 층간 슬래브(10)에 고정하기 전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볼트(B2)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한편 도 7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플랜지(50)를 이용하여 진공배관(20)을 층간 슬래브(10)에 고정할 때는 볼트(B2)를 해체한 후 임시차단원판(40)을 떼어내고 고정원판(30)에 진공배관(20)이 고정된 플랜지(50)를 다수의 클램프(6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층간 슬래브(10)에 고정원판(30)을 고정한 상태에서 진공배관(20)의 시공 전에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고정하면 배관구멍(11)(3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배관(20)의 시공 전 층간 슬래브(10)와 지지장치에 형성된 배관구멍(11)(3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구멍(11)(31)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진공배관(20)의 시공 전에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고정하면 층간 슬래브(10)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장치가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배관(20)의 시공 전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장치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진공배관(20)에 플랜지(50)를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진공배관(20)을 배관구멍(11)(31)에 끼우고,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클램프(60)로 고정하면 진공배관(20)을 층간 슬래브(1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배관(20)을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시 플랜지(50)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랜지(50)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층간 슬래브 11 : 배관구멍
20 : 진공배관 30 : 고정원판
31 : 배관구멍 40 : 임시차단원판
50 : 플랜지 51 : 링홈
52 : 고정홈 53 : 히팅파이프홀
54 : 실링캡 60 : 클램프
61 : 고정돌기 70 : 센터링
71 : 상부링 72 : 하부링
73 : 걸림링 B1 : 앵커볼트
B2,B3 : 볼트 R1,R2 : 오링
G : 가스킷

Claims (5)

  1. 층간 슬래브(10)에 형성된 배관구멍(11)으로 끼워지는 진공배관(20)을 고정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층간 슬래브(10)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볼트(B1)로 고정되어 진공배관(20)이 끼워지는 배관구멍(31)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원판(30); 상기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2)체결로 고정되어 배관구멍(11)(31)의 노출을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임시차단원판(40); 상기 진공배관(20)의 외경에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원판(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랜지(50); 상기 고정원판(30)에 볼트(B3)체결로 고정되어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클램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관(20)의 시공 전에는 임시차단원판(40)을 고정원판(30)에 볼트(B2)로 고정하며, 상기 진공배관(20)의 시공 시에는 임시차단원판(40)을 분리한 상태에서 플랜지(50)를 고정원판(30)에 클램프(60)로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에는 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70)이 장착되고, 상기 센터링(70)의 외주연 중앙과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에는 오링(R1)이 장착되며, 상기 층간 슬래브(10)와 고정원판(30) 사이에는 가스킷(G)이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50)의 하부에는 링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링(70)의 상부에는 플랜지(50)의 링홈(51)에 끼워지는 상부링(71)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링(70)의 하부에는 고정원판(30)의 배관구멍(31)으로 끼워지는 하부링(72)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링(70)의 외주연 중앙에는 고정원판(30)과 플랜지(50) 사이로 끼워지는 걸림링(7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링(73)의 외주연은 오링(R1)을 고정하기 위해 오링(R1)에 대응하는 라운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0)의 상부에는 클램프(60)의 고정돌기(61)가 끼워지는 고정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0)에는 히팅파이프홀(53)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파이프홀(53)에는 실링캡(54)이 장착되며, 상기 실링캡(54)의 외경에는 오링(R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KR2020180001186U 2018-03-19 2018-03-19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KR200487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186U KR200487498Y1 (ko) 2018-03-19 2018-03-19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186U KR200487498Y1 (ko) 2018-03-19 2018-03-19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40U KR20180002140U (ko) 2018-07-10
KR200487498Y1 true KR200487498Y1 (ko) 2018-09-28

Family

ID=6290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186U KR200487498Y1 (ko) 2018-03-19 2018-03-19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045B1 (ko) * 2021-04-22 2021-08-26 비케이엠 주식회사 층간 슬래브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55B1 (ko) * 2018-08-16 2019-02-25 장세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진공 배관 지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042B1 (ko) * 2016-07-27 2017-01-24 주식회사 에스피이앤씨 층간 연결관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81B1 (ko) * 2005-03-21 2007-04-23 김대현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KR101243968B1 (ko) 2012-07-17 2013-03-15 (주)아이비테크 진공배관 지지장치
KR101408807B1 (ko) * 2012-11-22 2014-06-19 에스엘티 주식회사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KR20140068395A (ko) *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603620B1 (ko) * 2015-01-28 2016-03-25 황혜자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802286B1 (ko) * 2017-05-02 2017-11-28 장세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진공배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042B1 (ko) * 2016-07-27 2017-01-24 주식회사 에스피이앤씨 층간 연결관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045B1 (ko) * 2021-04-22 2021-08-26 비케이엠 주식회사 층간 슬래브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40U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498Y1 (ko)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US2672205A (en) Combined support and caulked drain fitting for shower receptors
KR101243968B1 (ko) 진공배관 지지장치
US20090223884A1 (en) Leveling Mechanism For Floor Drain
KR101950403B1 (ko) 진공배관 연결장치
KR101802286B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진공배관 지지장치
KR102121815B1 (ko)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1709238B1 (ko) 입상배관용 클램프
US4832375A (en) Drainage element
US20110233929A1 (en) Rotatable flange y-strainer
KR20230109889A (ko)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JP5760467B2 (ja) ボウル設備
JP6526447B2 (ja) 弁体撤去装置
KR102484620B1 (ko) 배기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연도 구조체
KR102382507B1 (ko) 진공배관 지지장치
KR100785213B1 (ko) 입상배관 지지장치
KR102681886B1 (ko) 진공배관용 지지장치
KR20140003489U (ko) 선박의 배관 플랜지 전용 서포트 클램프
RU2101593C1 (ru) Задвижка
JP7425706B2 (ja) 通気管の立ち上げ部設置方法、立ち上げ部支持具、通気管の立ち上げ部支持構造
KR101752249B1 (ko) 반도체 공정용 진공배관 설치장치
KR102294045B1 (ko) 층간 슬래브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JP7416381B2 (ja) 補修用カバー装置および補修用カバー装置システム
KR101819329B1 (ko) 배관 보수 장치
KR102304769B1 (ko) 반도체 공정의 층간 배관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