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15B1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입상 배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15B1
KR102121815B1 KR1020190170968A KR20190170968A KR102121815B1 KR 102121815 B1 KR102121815 B1 KR 102121815B1 KR 1020190170968 A KR1020190170968 A KR 1020190170968A KR 20190170968 A KR20190170968 A KR 20190170968A KR 102121815 B1 KR102121815 B1 KR 102121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pipe
sleeve
spacer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복
Original Assignee
(주)워터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풀 filed Critical (주)워터풀
Priority to KR102019017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15B1/ko
Priority to PCT/KR2020/018398 priority patent/WO2021125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보다 간단하게 입상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입상 배관이 관통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입상 배관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내면에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입상 배관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 상기 입상 배관에 끼워져 상기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과 입상 배관 외주면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며 두 부재 사이에 마찰력을 가하여 입상 배관을 고정하는 오링을 포함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상 배관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PIPE}
본 개시 내용은 입상 배관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다층 구조로 된 건물에는 각 층을 연결하는 입상 배관이 시공된다. 입상 배관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관통 슬리브가 설치된다. 이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천공하지 않고도 미리 설치된 관통 슬리브를 통해 배관을 통과시켜 각 층으로 입상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관통 슬리브 일측에는 입상 배관과의 사이에 내화충전재가 설치된다. 내화충전재는 관통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 틈새를 통해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관통 슬리브 상부에는 입상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구비된다. 입상 배관은 수직으로 세워져 관통 슬리브에 삽입된 상태로 자중에 의해 밑으로 처지게 된다. 입상 배관은 클램프에 의해 슬리브에 고정됨으로써, 관통 슬리브 내에서 유동되거나 자중에 의해 낙하되지 않고 슬리브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클램프는 일측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반원형 부재로, 입상 배관 외주면에 볼트로 조여져 설치될 수 있다. 입상 배관에 고정된 클램프는 관통 슬리브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볼트를 풀거나 조여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설치는 물론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진 등 외력이나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클램프나 배관이 수축 팽창하면서 클램프의 고정력이 저하되고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입상 배관이 관통 슬리브 내에서 유동되거나 낙하될 수 있고, 틈새를 통해 유독가스 등이 유출될 수 있다.
본 과제는, 입상 배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외부 충격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입상 배관의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관통 슬리브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한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보다 간단하게 입상 배관을 고정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입상 배관이 관통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입상 배관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내면에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입상 배관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 상기 입상 배관에 끼워져 상기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과 입상 배관 외주면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며 두 부재 사이에 마찰력을 가하여 입상 배관을 고정하는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 상부를 덮어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슬리브에 끼워져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 틈새를 메우는 파이프 구조이고,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 상단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입상 배관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입상 배관에서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오링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입상 배관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따라 상기 경사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링을 눌러주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커버가 놓이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실리콘 오링에 의해 고정장치와 입상 배관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실리콘 오링이 입상 배관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있어 고정장치와 입상 배관 사이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가스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장치와 입상 배관 사이를 탄성 재질의 실리콘이 접하고 있어, 외부 충격이 오링에 의해 흡수되어 입상 배관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입상 배관이 손상되거나 관통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를 통해 가스 등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입상 배관에 실리콘 오링을 설치하는 것으로 입상 배관을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관통 슬리브에 입상 배관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여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관통 슬리브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관통 슬리브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관통 슬리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 또는 상부라 함은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의미하고, 하 또는 하부라 함은 그 반대인 아래쪽을 의미한다. 또한, 입상 배관(100)은 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을 포함하여 수평면에 대해 세워져 설치되는 배관을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10)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슬리브(20), 슬리브(20)와 입상 배관(10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30), 스페이서(30)와 입상 배관(100) 사이를 고정하는 오링(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10)는 스페이서(30)에 설치되어 오링(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40)을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슬리브(20)에 입상 배관(100)을 견고하고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슬리브(20)는 원통형태의 파이프 구조물일 수 있다. 슬리브(20)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시공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슬리브(20)의 외측에는 자체 강성 및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리브나 플랜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 하단에는 화재 발생시 입상 배관(100)과 슬리브(20) 사이를 차단하는 내화충전재(22)가 설치될 수 있다. 내화충전재(22)는 예를 들어, 팽창 흑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화충전재(22)는 화재시 팽창하여 슬리브(20)와 입상 배관(100) 사이를 채운다. 이에, 화염이 슬리브(20)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슬리브(20)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슬리브는 적어도 일측 선단에 차단판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구조의 경우 슬리브에서 차단판을 제거하고 슬리브 내부로 입상 배관을 관통 설치할 수 있다.
슬리브(20)는 다양한 직경의 입상 배관(100)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입상 배관(100)의 직경과 비교하여 충분히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20)의 구조 또는 형태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페이서(30)는 슬리브(20) 상단에 설치되어 슬리브(20)와 입상 배관(100) 사이의 유격을 메울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슬리브(2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슬리브(20)와 입상 배관(100) 사이 틈새를 메우는 두께를 갖고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물일 수 있다.
슬리브(20)에 설치되는 입상 배관(100)의 직경에 맞춰 다양한 두께의 스페이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입상 배관(100)의 직경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스페이서(30)가 슬리브(20)에 설치됨으로써, 입상 배관(100)의 직경에 관계없이 슬리브(20)와 입상 배관(100) 사이 유격을 메울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중앙에 입상 배관(100)이 관통되는 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0)의 상단에는 슬리브(20) 상단에 걸리도록 된 플랜지(3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32)는 슬리브(20) 상단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플랜지(32)는 슬리브(20) 상단을 지나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30)는 슬리브(20)는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슬리브(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스페이서(30)에 힘을 가해 슬리브(20)에 끼워 넣는 것으로, 스페이서(30)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30)의 내면이 이루는 내경은 입상 배관(100)의 직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페이서(30)의 내면은 입상 배관(100)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성재질로 된 스페이서(30)와 입상 배관(100)이 서로 접촉하지 않아 충격에 의해 서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상 배관(100)이 스페이서(30)의 홀(31)에 쉽게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입상 배관(100)과 스페이서(30) 내면 사이 간격은 후술하는 오링(40)이 변형시 빠지지 않는 정도면 충분하다.
스페이서(30)는 한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페이서(30) 둘레를 따라 어떠한 틈새도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장치는 스페이서(30)와 입상 배관(100) 사이를 보다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페이서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런 구조의 경우 스페이서를 입상 배관(100)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10)는 탄성 재질의 오링(40)에 의해 입상 배관(100)과 스페이서(30)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는 내면에 상부 둘레를 따라 경사면(34)을 형성한다. 경사면(34)은 하부로 갈수록 입상 배관(100)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4)은 스페이서(30) 상단에서 내면을 향해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0) 내면에 대한 경사면(34)의 경사 각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오링(40)은 입상 배관(100)에 끼워져 경사면(34)에 위치할 수 있다. 오링(40)은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외주면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며 두 부재 사이에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입상 배관(100)을 고정할 수 있다. 오링(40)에 의한 마찰력은 입상 배관(100) 외주면 전체에 걸쳐 가해짐에 따라 작은 직경의 오링(40)이라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큰 힘으로 입상 배관(1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오링(40)은 링 형태의 폐곡선 구조로 되어 있다. 오링(40)은 대략 입상 배관(1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입상 배관(100)에 끼워져 설치될 수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링(4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은 탄성과 밀착성은 물론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다. 오링(40)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고온에서도 입상 배관(100)을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오링(40)은 실리콘 재질 외에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오링(40)은 스페이서(30)의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외주면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두 부재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입상 배관(100)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밑으로 처지게 된다. 입상 배관(100) 외주면에 끼워져 있는 오링(40)은 밑으로 처지는 입상 배관(100)에 의해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오링(40)은 입상 배관(100)에 의해 경사면(34)을 따라 밑으로 이동되면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사이에서 가압된다.
이에, 오링(40)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입상 배관(100)과 경사면(34)에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입상 배관(100)은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오링(40)의 마찰력에 의해 밑으로 처지지 못하고 스페이서(30)에 고정될 수 있다.
입상 배관(100)이 스페이서(30)에 완전히 고정되면, 오링(40)은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외주면 사이에 강하게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입상 배관(100)은 고정장치에 완전히 고정되어, 하방향은 물론 상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고 고정장치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경사면(34)은 오링(40)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입상 배관(100)의 하방향 처짐만을 규제하는 일방향 스토퍼로 작용하게 된다. 경사면(34)에 의해 입상 배관(100)은 스페이서(30)에서 상부로 이동될 수 있고, 밑으로는 처지지 않게 된다.
즉, 입상 배관(100)이 밑으로 처져 오링(40)이 경사면(34)을 따라 밑으로 이동될수록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사이 간격은 더 좁아지게 된다. 이에, 오링(40)이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사이에서 더 압축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에 더 강하게 밀착된다. 오링(40)의 강한 밀착력에 의해 입상 배관(100)은 더 이상 아래로 처지지 못하고 스페이서(30)에 고정된다. 입상 배관(100)의 자중은 오링(40)에 계속 가해지므로, 입상 배관(100)은 오링(40)에 밀착되어 스페이서(30)에 고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스페이서(30)에 대해 입상 배관(100)을 위로 이동시키게 되면 입상 배관(100) 외주면에 끼워져 있는 오링(40)은 경사면(34)을 따라 위로 이동된다. 경사면(34)을 따라 위로 이동되면서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 사이가 넓어지므로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에 대한 오링(40)의 밀착력이 줄게 된다. 따라서, 입상 배관(100)은 오링(40)을 지나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입상 배관(100)을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고정 장치에 입상 배관(1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오링(40)은 스페이서(30)와 입상 배관(10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입상 배관(100)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지진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입상 배관(100)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오링(40)은 입상 배관(100) 외주면 전체에 밀착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입상 배관(100)을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상 배관(100)이 유동되더라도 오링(40)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입상 배관(100)과 스페이서(30) 사이를 계속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상 배관(100)과 스페이서(30) 사이 틈새 발생을 방지하여 가스 등이 새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커버(50)는 스페이스 상단에 설치되어 경사면(34) 상부를 덮는다. 커버(50)에 의해 오링(40)이 스페이서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50)는 입상 배관(100)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홀(5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의 하면에는 홀(51)을 따라 경사면(34)으로 돌출되어 오링(40)을 눌러주는 돌기(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2)는 오링(40)을 밀어 경사면(34)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입상 배관(100) 설치 시 오링(40)이 경사면(34)과 입상 배관(100)에 충분한 압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상배관(100)과 오링(40)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 입상 배관을 설정된 높이로 정확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커버(50)는 스페이서(3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30)는 커버(50)가 놓이는 안착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35)은 스페이서(30) 상단에서 단차져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56)가 형성되고, 안착홈(35)에는 후크(56)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복수의 체결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의 후크(56)를 안착홈(35)의 체결홀(36) 위치에 맞춰 후크(56)를 체결홀(36)에 끼워줌으로써, 스페이서(30) 상부에 커버(50)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체결홀(36)에서 후크(56)의 걸림을 해제시켜 스페이서(30)에서 커버를 분리하고, 오링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50)는 한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페이서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런 구조의 경우 스페이서를 입상 배관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고정장치(10)는 슬리브(20)를 관통한 입상 배관(100)에 스페이서(30)와 오링(40) 및 커버(50)를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될 수 있다. 슬리브(20)에 스페이서(30)와 오링(40) 및 커버(50)가 조립되면서 입상 배관(100)이 고정장치에 고정된다.
또는, 슬리브(20)에 스페이서(30) 와 오링(40) 및 커버(50)를 조립한 상태에서 스페이서(30)의 홀(31)에 입상 배관(100)을 관통함으로써, 고정장치에 입상배관을 고정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입상 배관(100)은 오링(40)에 의해 경사면(34) 사이에서 가압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설치시 입상 배관(100)은 스페이서(30)를 관통하면서 오링(40)에 끼워져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입상 배관(100)이 적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오링에 의해 밑으로 처지지 않고 고정장치에 고정된다. 이에, 보다 간편하게 고정 장치(10)에 입상 배관(1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고정장치 20 : 슬리브
30 : 스페이서 32 : 플랜지
34 : 경사면 35 : 안착홈
36 : 체결홀 40 : 오링
50 : 커버 52 : 돌기
56 : 후크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입상 배관이 관통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입상 배관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내면에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입상 배관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 및 상기 입상 배관에 끼워져 상기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과 입상 배관 외주면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며 두 부재 사이에 마찰력을 가하여 입상 배관을 고정하는 오링, 상기 스페이스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 상부를 덮어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커버가 놓이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입상 배관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슬리브에 끼워져 슬리브와 입상 배관 사이 틈새를 메우는 파이프 구조이고,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 상단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입상 배관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입상 배관에서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는 구조의 입상 배관 고정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입상 배관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따라 상기 경사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링을 눌러주는 돌기를 포함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된 구조의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20190170968A 2019-12-19 2019-12-19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212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68A KR102121815B1 (ko) 2019-12-19 2019-12-19 입상 배관 고정 장치
PCT/KR2020/018398 WO2021125766A1 (ko) 2019-12-19 2020-12-16 입상 배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68A KR102121815B1 (ko) 2019-12-19 2019-12-19 입상 배관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15B1 true KR102121815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68A KR102121815B1 (ko) 2019-12-19 2019-12-19 입상 배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1815B1 (ko)
WO (1) WO20211257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66A1 (ko) * 2019-12-19 2021-06-24 (주)워터풀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20220026259A (ko) * 2020-08-25 2022-03-04 최윤경 지하수 배관용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008U (ko) * 2010-06-23 2011-12-29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130003488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US9051720B1 (en) * 2009-04-01 2015-06-09 Danco, Inc. Universal trim k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84B1 (ko) * 2007-06-20 2009-04-15 박점순 배수관 고정장치
KR101870621B1 (ko) * 2015-02-13 2018-06-26 박정금 기밀링과 기밀와셔가 구비된 주름배관 결합용 연결부재
KR102121815B1 (ko) * 2019-12-19 2020-06-11 (주)워터풀 입상 배관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1720B1 (en) * 2009-04-01 2015-06-09 Danco, Inc. Universal trim kit
KR20110012008U (ko) * 2010-06-23 2011-12-29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130003488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66A1 (ko) * 2019-12-19 2021-06-24 (주)워터풀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20220026259A (ko) * 2020-08-25 2022-03-04 최윤경 지하수 배관용 연결장치
KR102373533B1 (ko) * 2020-08-25 2022-03-11 최윤경 지하수 배관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766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815B1 (ko)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2211584B1 (ko)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KR101894009B1 (ko)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KR20200118973A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1978701B1 (ko) 내화충전재 장착이 가능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102061496B1 (ko)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JPS61176749A (ja) 長方形フイルタエレメント用懸吊式天井構造体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4534535A (en) Damping support for piping system
KR20200016446A (ko)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편심조정 슬리브 구조체
KR101899340B1 (ko) 탄성을 갖는 내화충전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열화 차단 밴드
KR20160000689U (ko)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20190127176A (ko) 가스차단 기능을 겸비한 입상관 클램프 장치
JP2017057969A (ja) 配管支持構造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JP2011202769A (ja) 浮上式の免震装置
KR200487498Y1 (ko) 진공배관 층간 지지장치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20180119233A (ko)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1057957B1 (ko) 입상관 위치 고정장치
JP6976471B1 (ja) 球面滑り装置用基礎とその施工方法
KR102104180B1 (ko)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KR100731631B1 (ko) 건물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