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233A - 내진용 배관 지지대 - Google Patents

내진용 배관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233A
KR20180119233A KR1020170052685A KR20170052685A KR20180119233A KR 20180119233 A KR20180119233 A KR 20180119233A KR 1020170052685 A KR1020170052685 A KR 1020170052685A KR 20170052685 A KR20170052685 A KR 20170052685A KR 20180119233 A KR20180119233 A KR 20180119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air
flow
plate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265B1 (ko
Inventor
최재진
Original Assignee
최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진 filed Critical 최재진
Priority to KR102017005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2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유동핀과 하부판이 구면으로 접하도록 구성하므로 지진 등과 같은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내진용 배관 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진용 배관 지지대는 배관의 일부가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양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수직부재의 상단부 위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판과, 상부판과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판과,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너트와, 간격유지너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볼트와, 하부판과 구면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수직부재를 하부판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유동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용 배관 지지대 {Earthquake Resistant Supporting Stand for Piping}
본 발명은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등과 같은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유동이 발생하므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토목 구조물에는 소방배관, 가스관, 송유관, 급수관, 온수관, 난방관, 배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배관 지지대를 설치하고 있다.
배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소방배관, 가스관, 송유관, 급수관, 온수관, 난방관, 배수관 등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가스나 물의 누출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지지대의 구조적인 강도와 정확한 시공을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7826호, 제10-0915075호, 제10-1622648호, 제10-170908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393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375호 등에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지지대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배관 지지대의 경우에는 지진에 대비한 내진 구조가 반영되어 있지 않거나, 내진 구조가 반영된 경우에도 안전하게 배관을 지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내진 구조가 충분하지 않으면, 배관 지지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는 가스관이나 수도관 등의 파손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유동핀과 하부판이 구면으로 접하도록 구성하므로 지진 등과 같은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내진용 배관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는 배관의 일부가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 위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너트와, 상기 간격유지너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볼트와, 상기 하부판과 구면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상기 하부판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유동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의 중앙에는 상기 유동핀이 결합되는 구면형상의 유동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핀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기둥형상의 핀기둥과, 상기 핀기둥의 상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핀머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머리의 하면은 상기 유동구멍의 구면형상에 대응되는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서 상기 유동핀의 핀기둥에 유동방지너트를 나사결합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구조물에 고정되고 완충기능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완충구조가 형성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결합되고 구조물쪽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부브라켓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와 하부브라켓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브라켓은 별도로 설치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의 세트에 설치되는 유동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의하면,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유동핀과 하부판이 구면으로 접하도록 구성하므로, 지진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유동핀이 용이하게 피벗(pivot) 회전운동을 행하며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고 크랙의 발생이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의하면, 완충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지하므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완충부에 의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감쇠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배관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의하면, 진동을 최대한 흡수하는 상태로 배관을 지지하므로, 배관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의하면, 유동방지너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배관의 설치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있어서, 상부판과 하부판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있어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있어서, 하부판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유동방지너트를 풀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에 있어서, 유동방지너트를 하부판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부재(10)와, 한쌍의 수직부재(20)와, 한쌍의 상부판(40)과, 한쌍의 하부판(30)과, 복수의 간격유지너트(50)와, 복수의 고정볼트(56)와, 유동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재(10)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배관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배관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배관고정수단은 "U"형상의 부재 또는 배관이 관통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부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20)는 상기 수평부재(10)의 양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10)의 연결을 위하여 "ㄴ"형상을 이루도록 한쌍의 조립판(16)을 더 설치한다.
상기 조립판(16)에는 체결구멍(17)을 형성한다.
상기 한쌍의 조립판(16)은 상기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10)의 끝부분이 서로 만나는 부위의 양쪽면에 "ㄴ"형상으로 배치하고, 체결볼트(18)를 한쪽 조립판(16)의 체결구멍(17), 수평부재(10)의 체결구멍(12) 또는 수직부재(20)의 체결구멍(22), 반대쪽 조립판의 체결구멍(17)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체결너트(19)를 체결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판(16)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10)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조립판(16)이 교차하는 "ㄴ"형상의 꼭지점 부분에는 체결볼트(18) 대신에 힌지핀(13)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조립판(16)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힌지핀(13)에는 핀구멍을 형성하고, 이 핀구멍에 분할핀(15)을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조립판(16)을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핀(13)에는 분할핀(15)과 조립판(16) 사이에 와셔(14)를 삽입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조립판(16)이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10)가 서로 상대 회전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지진 등이 발생하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10)가 서로 상대 회전하면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부재(10)와 한쌍의 수직부재(20)를 "ㄷ"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강 등을 사용하여 구성하면, 구조적인 강도가 우수하므로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0)와 한쌍의 수직부재(20)는 2개 또는 3개 이상의 세트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수평부재(10)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9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페이서(92)는 양쪽 끝단부가 각각 양쪽의 수평부재(10)에 고정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상부판(40)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상부판(40)은 상기 수직부재(10) 각각의 상단부 위쪽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하부판(30)은 상기 상부판(40)과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너트(50)는 상기 하부판(30)과 상부판(4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부판과(40)과 하부판(30)은 상기 간격유지너트(5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너트(50)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56)는 상단부가 건축물이나 토목 구조물 등의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볼트(56)의 하단부는 상기 간격유지너트(5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볼트(56)의 상단부는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토목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양한 앵커볼트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볼트(56)의 상단부는 구조물에 매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정볼트(56)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판(40)의 하면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너트(5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볼트(56)의 상단부에 구조물에 매립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상부판(40)이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볼트(56)에는 고정너트(57)가 체결된다.
상기에서 고정너트(57)를 상부판(40)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볼트(56)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볼트(56)를 상부판(40)과 간격유지너트(5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판(30)은 하면쪽에서 결합볼트(54)를 상기 간격유지너트(56)에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판(30)과 상부판(40)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일체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하부판(30)에는 상기 결합볼트(54)가 관통되는 체결구멍(3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30)의 중앙에는 상기 유동핀(60)이 결합되는 유동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구멍(32)은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핀(60)은 기둥형상의 핀기둥(61)과, 상기 핀기둥(61)의 상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핀머리(6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머리(62)의 하면(63)은 상기 유동구멍(32)의 구면형상에 대응되는 구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유동구멍(32)과 핀머리(62)의 하면(63)을 구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유동핀(60)과 하부판(30)의 유동구멍(32)은 구면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핀(60)은 핀기둥(61)이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유동핀(60)의 핀기둥(61)에는 체결구멍(64)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단부에도 체결구멍(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볼트(68)를 상기 수직부재(20)의 체결구멍(22)과 상기 유동핀(60)의 체결구멍(64)을 관통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유동핀(60)을 상기 수직부재(2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20)는 상기 하부판(3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수평부재(10)에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구조물에 고정되고 완충기능을 갖는 완충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재(80)는 내부에 완충구조가 형성되는 완충부(81)와, 상기 완충부(81)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부재(83)와 하부연결부재(84)와, 상기 상부연결부재(83)가 결합되고 구조물쪽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85)과, 상기 하부연결부재(84)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10)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86)과, 상기 상부연결부재(83)와 상부브라켓(85)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84)와 하부브라켓(86)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핀(8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브라켓(85)은 별도로 설치되는 상부판(40)과 하부판(30)의 세트에 설치되는 유동핀(6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81)의 완충구조는 차량, 기계장치, 설비 등에 사용되는 쇽업쇼버(shock-absorber) 또는 댐퍼(damper)의 다양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완충부(81)가 외력이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신장 및 수축하는 것에 의해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수평부재(10)에 작용하는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81)의 신장 및 수축 작용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10)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재(80)는 경사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진동을 완충하여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0)에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유동핀(60)의 유동을 제한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관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한 유동방지너트(78)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방지너트(78)를 상기 유동핀(60)의 상기 하부판(30) 하부에 위치하는 핀기둥(61)에 체결하면, 필요에 따라 유동핀(60)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핀기둥(61)에는 유동방지너트(78)를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를 형성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너트(78)를 상기 하부판(30)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체결하면, 상기 유동핀(60)의 유동이 제한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관의 설치작업이 종료된 다음, 상기 유동방지너트(78)를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면쪽(상기 하부판(30)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풀어주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30)의 저면과 상기 유동방지너트(78)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유동핀(60)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핀(60)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유동구멍(32)과 상기 유동핀(60)의 핀머리(62) 하면(63)이 구면으로 접촉하므로, 지진이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유동핀(60)이 유동하면서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평부재(10)에 설치된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수평부재, 12 - 체결구멍, 13 - 힌지핀, 14 - 와셔, 15 - 분할핀
16 - 조립판, 17 - 체결구멍, 18 - 체결볼트, 19 - 체결너트
20 - 수직부재, 22 - 체결구멍, 30 - 하부판, 32 - 유동구멍
34 - 체결구멍, 40 - 상부판, 50 - 간격유지너트, 54 - 결합볼트
56 - 고정볼트, 57 - 고정너트, 60 - 유동핀, 61 - 핀기둥, 62 - 핀머리
63 - 하면, 64 - 체결구멍, 68 - 체결볼트, 69 - 체결너트
78 - 유동방지너트, 80 - 완충부재, 81 - 완충부, 83 - 상부연결부재
84 - 하부연결부재, 85 - 상부브라켓, 86 - 하부브라켓, 88 - 연결핀
92 - 스페이서

Claims (6)

  1. 배관의 일부가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 위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너트와,
    상기 간격유지너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볼트와,
    상기 하부판과 구면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상기 하부판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유동핀을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중앙에는 상기 유동핀이 결합되는 구면형상의 유동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핀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기둥형상의 핀기둥과, 상기 핀기둥의 상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핀머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머리의 하면은 상기 유동구멍의 구면형상에 대응되는 구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진용 배관 지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서 상기 유동핀의 핀기둥에 나사결합되는 유동방지너트를 더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구조물에 고정되고 완충기능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완충구조가 형성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결합되고 구조물쪽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부브라켓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와 하부브라켓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핀을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은 별도 위치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의 세트에 설치되는 유동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20170052685A 2017-04-25 2017-04-25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194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85A KR101942265B1 (ko) 2017-04-25 2017-04-25 내진용 배관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85A KR101942265B1 (ko) 2017-04-25 2017-04-25 내진용 배관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33A true KR20180119233A (ko) 2018-11-02
KR101942265B1 KR101942265B1 (ko) 2019-01-25

Family

ID=6432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85A KR101942265B1 (ko) 2017-04-25 2017-04-25 내진용 배관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882B1 (ko) * 2019-04-09 2020-01-08 (주)다산엔지니어링 소방용 배관의 내진 장치
KR102539781B1 (ko) 2023-04-10 2023-06-08 주식회사 라인이엔씨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2627366B1 (ko) 2023-09-15 2024-01-23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무용접 찬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365B1 (ja) * 1998-06-16 1999-10-12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下げ支持装置及びその上部取付具、外れ防止具並びに斜め支持具
KR100807826B1 (ko) * 2007-05-02 2008-02-27 주식회사 한일정공 천장형 배관 가대
KR20100088658A (ko) * 2010-07-21 2010-08-1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형 조립식 배관지지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365B1 (ja) * 1998-06-16 1999-10-12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下げ支持装置及びその上部取付具、外れ防止具並びに斜め支持具
KR100807826B1 (ko) * 2007-05-02 2008-02-27 주식회사 한일정공 천장형 배관 가대
KR20100088658A (ko) * 2010-07-21 2010-08-1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형 조립식 배관지지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265B1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101942265B1 (ko)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200485852Y1 (ko) 내진 흔들림 방지버팀대
KR101751963B1 (ko) 압축력에 견디는 턴버클을 이용한 배관용 내진 지지대
KR101721363B1 (ko)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101721362B1 (ko) 내진용 체인 챤넬시스템
KR101851448B1 (ko) 파이프를 구비한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101709089B1 (ko)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20160002992U (ko) 내진용 브라켓
KR101948596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2109580B1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497144B1 (ko) 액세스 플로어에 설치된 전산장비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85879B1 (ko) 관부재 고정장치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KR20160000689U (ko)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20190083825A (ko) 내진 지지대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KR20160043938A (ko) 복합형 완충시스템
KR102098825B1 (ko) 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20170133860A (ko) 내진용 배관 행거
KR20160003375U (ko) 경사진 천장에 설치가 용이한 배관용 내진장치
KR20090112512A (ko) 쐐기형 전단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