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81B1 -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 Google Patents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781B1
KR102539781B1 KR1020230046657A KR20230046657A KR102539781B1 KR 102539781 B1 KR102539781 B1 KR 102539781B1 KR 1020230046657 A KR1020230046657 A KR 1020230046657A KR 20230046657 A KR20230046657 A KR 20230046657A KR 102539781 B1 KR102539781 B1 KR 10253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resistant
pipe
buil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흥규
홍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이엔씨
오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이엔씨, 오흥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4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1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ax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축 내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이 고정 설치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상기 수평부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내진 수직부; 및 상기 제1 내진 수직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상기 수평부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내진 수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Multi pipe hanger for earthquake-proof}
본 발명은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축 내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토목 구조물에는 소방배관, 가스관, 송유관, 급수관, 온수관, 난방관, 배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배관 지지대를 설치하고 있다.
배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소방배관, 가스관, 송유관, 급수관, 온수관, 난방관, 배수관 등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가스나 물의 누출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지지대의 구조적인 강도와 정확한 시공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종래의 배관 지지대의 경우, 수평(X축) 또는 수직(Y축) 등과 같이 2차원적인 진동 및 내진에 견디는 구조를 구비할 뿐 통상 3차원으로 전달되는 지진에 대응할 수 있는 배관 지지대는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2265호 (2019.01.25.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18203호 (2023.02.07.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X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Y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Z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완충 감쇄시키는 다축 내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향상시켜 배관의 파손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행거 설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행거의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이 고정 설치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상기 수평부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내진 수직부; 및 상기 제1 내진 수직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상기 수평부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내진 수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진 수직부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내진부; 상기 제1 내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며, 상기 수평부의 일측을 거치하는 제3 내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진부는, 건물의 천장에 앵커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블록; 및 상부가 상기 상부 블록의 하부에 힌지축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하부 블록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관; 상기 상부관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체결 블록; 및 상단이 상기 상부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체결 블록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관과 상기 체결 블록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블록은 상승 이동 시 상기 상부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내진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블록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진 하우징; 및 상부가 상기 내진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진 하우징의 내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상기 내진 하우징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부에 상기 수평부의 일측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 거치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진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를 덮고 상기 내진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는 곡선형 플레이트; 및 상단이 상기 내진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상부가 상기 내진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곡선형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수평부의 일측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의 일측을 거치하는 거치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는,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제1 내진 수직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내진 수직부에 연결 설치되어 거치되는 "ㅁ"형 프레임; 및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ㅁ"형 프레임의 내측에서 배관을 고정시켜 주는 배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고정부는,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상측을 체결하는 상단 고정부; 및 상기 상단 고정부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 고정부와 대향하면서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하측을 체결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고정부는, 배관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관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단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상단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뒤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상단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단 고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고정 블록은,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진 고무(vibration proof rubber)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X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Y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Z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완충 감쇄시키는 다축 내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향상시켜 배관의 파손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행거 설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행거의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1 내진 수직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수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10)는, 수평부(100), 제1 내진 수직부(200) 및 제2 내진 수직부(300)를 포함한다.
수평부(100)는, 제1 내진 수직부(200) 및 제2 내진 수직부(300)에 의해 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P)이 고정 설치된다.
제1 내진 수직부(200)는, 수평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수평부(100)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X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전후 방향), Y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상하 방향), 및 Z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좌우 방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완충 감쇄시켜 준다.
제2 내진 수직부(300)는, 제1 내진 수직부(200)와 대향하면서 수평부(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수평부(100)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X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Y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Z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완충 감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10)는, X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Y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Z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완충 감쇄시키는 다축 내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향상시켜 배관의 파손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행거 설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행거의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1 내진 수직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진 수직부(200)는, 제1 내진부(210), 제2 내진부(220) 및 제3 내진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내진 수직부(300)는, 후술하는 제1 내진 수직부(2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내진 수직부(200)의 제1 내진부(210), 제2 내진부(220) 및 제3 내진부(23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내진부(210)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진부(210)는, 고정 플레이트(211), 상부 블록(212) 및 하부 블록(2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11)는, 건물의 천장에 앵커 볼트 결합(B1)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하측에 상부 블록(212)이 고정 설치된다.
상부 블록(212)은, 고정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하부 블록(213)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블록(213)은, 상부가 상부 블록(212)의 하부에 힌지축(H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내진부(220)는, 제1 내진부(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내진부(220)는, 상부관(221), 체결 블록(222) 및 완충 스프링(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관(221)은, 하부 블록(21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에 완충 스프링(223)에 의해 체결 블록(222)이 설치된다.
체결 블록(222)은, 완충 스프링(223)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관(22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블록(222)은 상승 이동 시 상부관(2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관(22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 스프링(223)은, 상단이 상부관(22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이 체결 블록(222)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관(221)과 체결 블록(222)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3 내진부(230)는, 제2 내진부(220)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며, 수평부(100)의 일측을 거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내진부(230)는, 내진 하우징(231) 및 회동 거치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진 하우징(23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블록(22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에 개구부(2311)를 형성한다.
회동 거치대(232)는, 상부가 내진 하우징(231)의 하측 개구부(2311)를 통해 내진 하우징(231)의 내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내진 하우징(231)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부에 수평부(100)의 일측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 거치대(232)는, 곡선형 플레이트(2321) 및 거치 바아(2322)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플레이트(2321)는, 내진 하우징(231)의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내진 하우징(231)의 하측 개구부(2311)를 덮고 내진 하우징(23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안착된다.
거치 바아(2322)는, 상단이 내진 하우징(231)의 하측 개구부(2311)를 통해 상부가 내진 하우징(2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곡선형 플레이트(2321)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수평부(100)의 일측이 좌우 방향(Z축 방향)(도 4 참조)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수평부(100)의 일측을 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내진 수직부(200)는, 하나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X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Y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Z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완충 감쇄시키는 다축 내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수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부(100)는, "ㅁ"형 프레임(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ㅁ"형 프레임(110)은,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P)이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제1 내진 수직부(200)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제2 내진 수직부(300)에 연결 설치되어 거치된다.
배관 고정부(120)는, 상기"ㅁ"형 프레임(110)의 내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ㅁ"형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배관(P)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배관 고정부(120)는, 상단 고정부(121) 및 하단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고정부(121)는, 상기"ㅁ"형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관(P)의 상측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고정부(121)는, 상단 고정 플레이트(1211) 및 상단 고정 블록(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고정 플레이트(1211)는, 배관(P)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단 고정 블록(121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ㅁ"형 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관(P)의 상측에 안착되어 배관(P)의 상단을 체결한다.
상단 고정 블록(1212)은, 상단 고정 플레이트(121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뒤 상기"ㅁ"형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상단 고정 플레이트(1211)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고정 블록(1212)은,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진 고무(vibration proof rubber)로 제작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22)는, 상단 고정부(121)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단 고정부(121)와 대향하면서 상기"ㅁ"형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관(P)의 하측을 체결한다.
여기서, 하단 고정부(122)는, 상술한 상단 고정부(12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상단 고정부(121)의 상단 고정 플레이트(1211) 및 상단 고정 블록(1212)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100: 수평부
200: 제1 내진 수직부
210: 제1 내진부
220: 제2 내진부
230: 제3 내진부
300: 제2 내진 수직부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이 고정 설치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상기 수평부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내진 수직부;
    상기 제1 내진 수직부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과 힌지로 연결된 하부 블록을 구비한 제1 내진부,
    상기 제1 내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상기 하부 블록과 연결된 상부관, 상기 상부관안에 완충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 스프링 하부를 체결 블록으로 감싸게 설치된 제2 내진부,
    상기 제2 내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상기 체결블록과 연결된 내진 하우징 및 상기 내진 하우징과 연결된 회동 거치대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부의 일측을 거치하는 제3 내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거치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진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를 덮고 상기 내진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는 곡선형 플레이트, 상단이 상기 내진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상부가 상기 내진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곡선형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수평부의 일측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의 일측을 거치하는 거치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는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제1 내진 수직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내진 수직부에 연결 설치되어 거치되는 "ㅁ"형 프레임, 및 상기 "ㅁ"형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ㅁ"형 프레임의 내측에서 배관을 고정시켜 주는 배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진 수직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에서 상기 수평부를 거치하며, 건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내진 수직부;를 포함하는,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블록은,
    상승 이동 시 상기 상부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부는,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상측을 체결하는 상단 고정부; 및
    상기 상단 고정부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 고정부와 대향하면서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관의 하측을 체결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부는,
    배관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관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단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상단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뒤 상기"ㅁ"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상단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방진 고무(vibration proof rubber)로 형성된 상단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11. 삭제
KR1020230046657A 2023-04-10 2023-04-10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253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657A KR102539781B1 (ko) 2023-04-10 2023-04-10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657A KR102539781B1 (ko) 2023-04-10 2023-04-10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781B1 true KR102539781B1 (ko) 2023-06-08

Family

ID=8676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657A KR102539781B1 (ko) 2023-04-10 2023-04-10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7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821A (ja) * 2002-09-10 2004-04-0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管用サポート
KR20110004645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화성방재 내진용 배관 행거
KR20180057246A (ko) * 2016-11-22 2018-05-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용 이중 내진 행거시스템
KR101932029B1 (ko) * 2018-01-29 2018-12-24 (주)세종이십일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KR101942265B1 (ko) 2017-04-25 2019-01-25 최재진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2234316B1 (ko) * 2019-11-21 2021-03-3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KR20230018203A (ko) 2021-07-29 2023-02-07 (주)위온 위생 배관 행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821A (ja) * 2002-09-10 2004-04-0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管用サポート
KR20110004645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화성방재 내진용 배관 행거
KR20180057246A (ko) * 2016-11-22 2018-05-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용 이중 내진 행거시스템
KR101942265B1 (ko) 2017-04-25 2019-01-25 최재진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1932029B1 (ko) * 2018-01-29 2018-12-24 (주)세종이십일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KR102234316B1 (ko) * 2019-11-21 2021-03-3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KR20230018203A (ko) 2021-07-29 2023-02-07 (주)위온 위생 배관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2584A (ko) 조립식 내진용 배관 지지장치
KR101970594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1948596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JP5442359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16665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101709089B1 (ko)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2539781B1 (ko)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2053893B1 (ko) 배관 내진성능 보강 지지대
KR10193202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JP5906101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JPH06117576A (ja) 配管類の支持装置
KR20180017828A (ko) 방진 및 내진용 설비 거치대의 구조.
KR101942265B1 (ko)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200497098Y1 (ko) 내진용 소화 배관 구조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94859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KR101997050B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KR102010316B1 (ko) 다축진동 감쇄기능을 갖는 천장용 배관거치대
KR102152745B1 (ko)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버스덕트 지지대의 내진장치
JP5917182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2056922B1 (ko)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KR20180006739A (ko) 내진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