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922B1 -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922B1
KR102056922B1 KR1020190090415A KR20190090415A KR102056922B1 KR 102056922 B1 KR102056922 B1 KR 102056922B1 KR 1020190090415 A KR1020190090415 A KR 1020190090415A KR 20190090415 A KR20190090415 A KR 20190090415A KR 102056922 B1 KR102056922 B1 KR 10205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rotating plate
buffer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랑
Original Assignee
권영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랑 filed Critical 권영랑
Priority to KR102019009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기 중심축이 상기 건축물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배관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중심축이 상기 건축물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부를 통해 지지됨에 따라, 배관의 중심축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에 비틀림이 발생되거나, 배관이 휘어지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충격을 분산시켜 어떠한 환경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배관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Piping support device for earthquake-proof}
본 발명은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 등에 설치되고, 충격 혹은 진동의 발생 시 이를 완화시켜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진 등과 같은 천재지변에 대응하여 건물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내진설계기준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특히, 천재지변 시 건축물의 진동에 따른 건축물 내 배관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2차적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축물과 배관 사이에는 배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지지대의 설치를 요구한다.
배관 지지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배관이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이나, 수직된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수평지진하중 시 배관 축의 수평 방향으로 배관의 유동을 제한하는 배관 지지대는, 앵커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건축물의 천정 혹은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건축물 부착물(1), 파이프 형상의 지지대(2), 건축물 부착물(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대(2)의 일 측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어댑터(3), 배관(P)의 외면에 대응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P)의 둘레에 설치되고 지지대(2)와 수평 위치에 배치된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물(4), 및 배관 지지물(4)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대(2)의 타 측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어댑터(5)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수평지진하중 시 배관 축의 수직 방향으로 배관의 유동을 제한하는 배관 지지대는, 앵커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건축물의 천정 혹은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건축물 부착물(1), 파이프 형상의 지지대(2), 건축물 부착물(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대(2)의 일 측을 고정시키는 고정 어댑터(3) 및 배관(P)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U 형상으로 절곡되어 지지대(2)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하고, 지지대(2)에 설치되어 배관(P)을 지지대(2)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배관 지지물(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나의 배관에 상술한 두 가지 종류의 배관 지지대를 모두 설치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배관의 유동을 제한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다수의 배관 지지대를 설치해야만 함에 따라, 시공이 복잡해져 시공에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비용의 발생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배관 지지대의 경우, 건축물에 설치된 이후 수직방향으로만 유동이 가능하거나, 완전히 고정되어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거나, 배관에 비틀림이 발생될 경우, 혹은 배관이 휘어지게 될 경우,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56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배관의 유동 및 배관의 변형에 대응하여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기 중심축이 상기 건축물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배관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원주방향 및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1 완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 완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완충부가 상기 원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완충부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완충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 완충부가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상기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판에 대향 배치되고,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반구형상의 가이드 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이너링,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링에 대향 배치되고,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호(弧) 형상의 구름홈이 형성되는 아우터링 및 일 측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홈에 안착되고 타 측은 상기 구름홈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시 상기 구름홈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회전판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회전판에 밀착시키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회전판에 고정시키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부의 외면을 감싸고,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관형의 제1 댐핑부재; 상기 볼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호커버 및 상기 복수개의 보호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보호커버에 양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회전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상기 보호커버를 통해 상기 회전판에 가압되어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회전판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댐핑부재; 및 상기 볼트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원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지지판의 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회전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고, 네 방향에서 상기 배관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배관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지지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의 외면 중 제1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관의 외면 중 제2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면 중 제3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지지고리; 및 상기 제1 지지고리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면 중 제4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중심축이 상기 건축물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부를 통해 지지됨에 따라, 배관의 중심축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에 비틀림이 발생되거나, 배관이 휘어지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충격을 분산시켜 어떠한 환경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배관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를 회전시켜 지지부를 배관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가능하고, 완충부를 통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모두 완화 시킬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지지부만으로 종래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배관 지지대 역을 수행함으로써, 활용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가 상호 결합 가능한 네 개의 파트들로 구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배관의 외면 중 네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에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활용성이 증대되며, 나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관의 외면을 지지하여 충격완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관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100)(이하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100)'라 함)는 완충부(110)를 포함한다.
완충부(110)는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하고 있는 후술할 지지부(120)를 지지하고, 회전 및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완충부(110)는 건축물(S)에 설치되어 중심축(CA: Center Axi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완충부(110)는 중심축이 건축물(S)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완충부(1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측과 타 측으로 각각 1 내지 5도 사이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완충부(110)는 원주방향을 회전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 틸팅(tilting)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완충부(110)는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완충부(1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부(110)는 제1 완충부(111) 및 제2 완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111)는 건축물(S)에 설치되고, 원주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부(120)와 함께 원주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완충부(111)는 지지판(1111), 회전판(1112), 회전구동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1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앙카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건축물(S)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지지판(1111)의 일면에는 지지판(1111)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관형의 제1 돌출부(11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111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회전구동부(1113)의 아우터링(11132)이 안착되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1112)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지지판(1111)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111)과 마주하는 회전판(1112)의 일면에는 회전판(1112)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돌출부(1111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축형상의 제2 돌출부(1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출부(11121)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회전구동부(1113)의 이너링(11131)이 안착되도록 외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판(1112)은 후술할 회전구동부(1113)를 매개로 지지판(111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11121)의 외주면에는 회전구동부(1113)의 이너링(11131)이 설치되고, 제1 돌출부(11111)의 내주면에는 회전구동부(1113)의 아우터링(11132)이 설치됨에 따라, 회전판(1112)은 회전구동부(1113)를 매개로 지지판(1111)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113)는 회전판(1112)의 제2 돌출부(11121)에 결합되고, 제1 돌출부(1111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회전판(1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구동부(1113)는 이너링(inner ring, 11131), 아우터링(outer ring, 11132) 및 볼부재(11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너링(11131)은 제2 돌출부(111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2 돌출부(11121)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링(11131)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후술할 볼부재(11133)의 일부가 수용되는 반구형상의 가이드 홈(11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11131a)은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링(11132)은 제1 돌출부(1111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내주면이 복수개의 가이드 홈(11131a)이 형성된 이너링(11131)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링(11132)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호(弧) 형상의 구름홈(11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볼부재(11133)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너링(11131)과 아우터링(11132) 사이에 배치되고,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회전판(11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볼부재(11133)는 각각 일 측은 복수개의 가이드 홈(11131a)에 안착되고, 타 측은 구름홈(11132a)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판(1112)의 회전 시 구름홈(11132a)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완충부(112)는 제1 완충부(111)에 설치되어 지지부(120)를 제1 완충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완충부(112)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완충부(111)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제2 완충부(112)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제2 완충부(112)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완충부(111)에 적어도 세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완충부(112)는 제1 완충부(111)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제1 완충부(111)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1 완충부(1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완충부(112)는 제1 완충부(111)가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완충부(112)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완충부(112)는 체결부(1121), 제1 댐핑부재(1122), 제2 댐핑부재(1123) 및 가이드볼(112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21)는 지지부(120)를 회전판(1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체결부(1121)는 지지부(120) 및 회전판(1112)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지지부(120)를 회전판(1112)에 밀착시키는 볼트부(11211)와, 볼트부(11211)에 체결되어 지지부(120)를 회전판(1112)에 고정시키는 너트부(1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볼트부(11211)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술한 너트부(11212) 및 후술할 제2 댐핑부재(1123)의 보호커버(1123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댐핑부재(1122)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1112)에 설치되고, 회전판(1112)을 관통하는 볼트부(11211)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댐핑부재(1122)는 볼트부(11211)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회전판(111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댐핑부재(1122)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댐핑부재(1122)는 회전판(1112)의 내측에 설치되어 볼트부(11211)의 외면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판(1112)의 상면 및 하면에 지지되는 지지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댐핑부재(1123)는 볼트부(11211)에 설치되고, 회전판(1112)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며 하중이 가해진 방향으로 탄성반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댐핑부재(1123)는 복수개의 보호커버(11231) 및 탄성부재(1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호커버(11231)는 볼트부(11211)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부(11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고, 지지판(1111)과 회전판(1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보호커버(11231)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보호커버(1123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1232)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탄성부재(112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1232)는 볼트부(11211)의 외면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보호커버(11231)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보호커버(11231)에 양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1232)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1232)는 복수개의 보호커버(11231) 사이에서 회전판(11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중심축이 기울어지도록 회전판(1112)이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될 경우 보호커버(11231)를 통해 회전판(1112)에 가압되어 회전판(1112)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가이드볼(1124)은 볼트부(11211)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판(1111)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볼(1124)은 회전판(1112)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지지판(1111)의 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볼(1124)은 볼트부(11211)의 단부에 체결되고, 일 측에 구형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볼 지지체와, 볼 지지체의 수용홈에 설치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100)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완충부(110)에 설치되어 완충부(110)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네 개의 방향에서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120)는 고정 브래킷(121), 어댑터(122) 및 배관 지지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21)은 회전판(1112)의 일면에 지지되고, 내측에 볼트부(11211)가 관통 가능한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후술할 어댑터(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122)는 힌지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고정 브래킷(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배관 지지수단(123)의 제1 지지바(1231)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수단은 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지지바(12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바(1231)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삽입지지수단과, 삽입지지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 지지바(1231)의 외면을 가압하여 삽입지지수단에 밀착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배관 지지수단(123)은 어댑터(122)에 설치되고, 네 방향에서 배관(P)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와 복수개의 지지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지지수단(123)은, 어댑터(122)에 고정되고 배관(P)의 외주면을 네 개의 섹션으로 분할할 경우, 배관(P)의 외면 중 제1 부분(P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1231), 제1 지지바(123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배관(P)의 외면 중 제2 부분(P2)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1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지지수단(123)은, 제1 지지바(1231)와 제2 지지바(1232)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1 지지바(1231) 및 제2 지지바(1232)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배관(P)의 외면 중 제3 부분(P3)을 지지하는 제1 지지고리(1233)와, 제1 지지고리(1233)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지지바(1231)와 제2 지지바(1232)의 외면에 설치되고, 배관(P)의 외면 중 제4 부분(P4)을 지지하는 제2 지지고리(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바(1231)와 제2 지지바(1232)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지지고리(1233) 및 제2 지지고리(1234)는 'U'형상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바(1231)와 제2 지지바(123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고리본체와, 고리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제2 지지바(1232)를 고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지지바(1231)와 제2 지지바(12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관 지지수단(123)은 제1 지지고리(1233)와 제2 지지고리(1234) 사이의 거리 및 제1 지지바(1231)와 제2 지지바(1232)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배관(P)에 적용할 수 있고, 보다 견고하게 복수개의 지지바와 복수개의 지지고리를 배관(P)의 외면에 밀착시켜 안정적으로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중심축이 상기 건축물(S)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부(110)를 통해 지지됨에 따라, 배관(P)의 중심축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P)에 비틀림이 발생되거나, 배관(P)이 휘어지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충격을 분산시켜 어떠한 환경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배관(P)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110)를 회전시켜 지지부(120)를 배관(P)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가능하고, 완충부(110)를 통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모두 완화 시킬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지지부(120)만으로 종래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배관(P) 지지대 역을 수행함으로써, 활용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가 상호 결합 가능한 네 개의 파트들로 구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배관(P)의 외면 중 네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P)에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활용성이 증대되며, 나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관(P)의 외면을 지지하여 충격완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110. 완충부
111. 제1 완충부
1111. 지지판
11111. 제1 돌출부
1112. 회전판
11121. 제2 돌출부
1113. 회전구동부
11131. 이너링
11131a. 가이드 홈
11132. 아우터링
11132a. 구름홈
11133. 볼부재
112. 제2 완충부
1121. 체결부
11211. 볼트부
11212. 너트부
1122. 제1 댐핑부재
1123. 제2 댐핑부재
11231. 보호커버
11232. 탄성부재
1124. 가이드볼
120. 지지부
121. 고정 브래킷
122. 어댑터
123. 배관 지지수단
1231. 제1 지지바
1232. 제2 지지바
1233. 제1 지지고리
1234. 제2 지지고리
P. 배관
S. 건축물

Claims (5)

  1. 건축물에 설치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기 중심축이 상기 건축물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배관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원주방향 및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1 완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 완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완충부가 상기 원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완충부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완충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 완충부가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상기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판에 대향 배치되고,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반구형상의 가이드 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이너링,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링에 대향 배치되고,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호(弧) 형상의 구름홈이 형성되는 아우터링 및 일 측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홈에 안착되고 타 측은 상기 구름홈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시 상기 구름홈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회전판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회전판에 밀착시키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회전판에 고정시키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부의 외면을 감싸고,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관형의 제1 댐핑부재;
    상기 볼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호커버 및 상기 복수개의 보호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보호커버에 양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회전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 시 상기 보호커버를 통해 상기 회전판에 가압되어 상기 회전판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댐핑부재; 및
    상기 볼트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원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지지판의 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볼;
    을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회전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고, 네 방향에서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배관 지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지지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제1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제2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제3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지지고리; 및
    상기 제1 지지고리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제4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고리;
    를 포함하는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KR1020190090415A 2019-07-25 2019-07-25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KR10205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15A KR102056922B1 (ko) 2019-07-25 2019-07-25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15A KR102056922B1 (ko) 2019-07-25 2019-07-25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922B1 true KR102056922B1 (ko) 2019-12-17

Family

ID=6905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415A KR102056922B1 (ko) 2019-07-25 2019-07-25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23A (ko) * 2020-06-29 2022-01-05 (주)라이트 앤 휴먼 다중 내진형 배관 거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23A (ko) * 2020-06-29 2022-01-05 (주)라이트 앤 휴먼 다중 내진형 배관 거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KR102369868B1 (ko) * 2020-06-29 2022-03-02 (주)라이트 앤 휴먼 다중 내진형 배관 거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804B1 (ko) 지진저감용 면진 모듈
KR101960160B1 (ko) 지진저감용 스프링 면진 모듈
KR102177483B1 (ko) 면진용 댐퍼
CA2672314A1 (en) Seismic controller for friction bearing isolated structures
KR101778155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KR101497144B1 (ko) 액세스 플로어에 설치된 전산장비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71717B1 (ko) 방진장치용 3방향 내진 스토퍼
KR102056922B1 (ko)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JP2013164121A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1205809B1 (ko) 액세스 플로어용 면진 시스템
JP2012122288A (ja) 落下防止装置
KR100795937B1 (ko)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JP6646351B2 (ja) 免震システム
JP3871393B2 (ja) 絶縁支持装置およびこの支持装置を用いる免震構造物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CN112888876A (zh) 用于高压设备的减震器
JP2001115594A (ja) 耐震防振装置
JP5917182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1074452B1 (ko) 액세스 플로어용 면진 정착구조물
KR102334833B1 (ko) 제진장치
JPH063242B2 (ja) 上下動免震装置
JP4126436B2 (ja) 構造体用耐震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利用可能な耐震連結装置
US6108986A (en) Earthquake-resistant load-bearing system
KR10203212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물탱크의 기초장치
JP2001289988A (ja) 原子炉圧力容器の支持装置および原子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