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316B1 -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 Google Patents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316B1
KR102234316B1 KR1020190150531A KR20190150531A KR102234316B1 KR 102234316 B1 KR102234316 B1 KR 102234316B1 KR 1020190150531 A KR1020190150531 A KR 1020190150531A KR 20190150531 A KR20190150531 A KR 20190150531A KR 102234316 B1 KR102234316 B1 KR 10223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onnecting member
vibration absorbing
absorbing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수
이일섭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동일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행거로서, 상기 배관을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키는 행거본체; 상기 행거본체의 일측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배관에 결합시키는 배관밴드; 상기 행거본체의 타측을 포함한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고, 상기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진동흡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흡수유닛은, 상기 행거본체의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키는 수직진동 흡수부재;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행거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 유동을 허용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키는 수평진동 흡수부재; 및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FACILITY PIPING HANGER WITH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본 발명은 국내의 지진 발생빈도 증가로 인해 지진에 대한 설비배관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에 관한 것으로 배관을 단순 지지하는 기존 행거시스템에서 상하진동을 감쇠하는 스프링과 좌우 지진동 감쇠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구를 설계하여 설비배관 행거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기계 설비 및 소방설비 공사시,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파이프 지지 가대가 사용된다. 천장에 연결된 직사각형 가대에 파이프를 올려놓고 고정하는 식의 재래식 파이프 지지 가대는 지진에 의해 파이프가 흔들리는 것을 막지 못하여 파이프 파손이나 크랙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파이프의 교체, 이설, 및 유지보수 등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진에 의한 파이프 흔들림 버팀대가 시중에 많이 생산되고 있으나, 각종 공사종류에 따라 파이프 위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흔들림 방지 버팀대 길이를 조절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클램프 또는 브라켓 등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대에 연결하는데, 파이프의 하중 또는 지진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에 사용된 볼트 및 너트가 하중 또는 지진의 영향으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설비배관 행거시스템은 대부분 내진성능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 행거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 지진하중을 감소 및 흡수하지 못하여 설비배관 및 행거의 내구성저하 또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내진 특허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 경제성이 낮으며 시공성 및 유지관리 면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외부 진동에 의한 충격으로 인한 상하, 전후좌우 거동에 대해 자유롭지 못하고, 안전성 평가 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 기술은 설비배관 행거를 이루는 다수의 부품으로 인해 조립이 어렵고 지진 및 외부 진동으로 인한 상하좌우 방향의 충격을 감쇠하거나 흡수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중의 배관을 지지하는 멀티 행거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내진성능 확보 및 성능평가가 미흡하고 시공 효율성 부족으로 인해 비경제적인 부분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3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을 유동성 있게 지지하고, 지진하중에 따른 외부 충격을 흡수 및 감소시켜 2차적인 피해를 예방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조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행거로서, 상기 배관을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키는 행거본체; 상기 행거본체의 일측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배관에 결합시키는 배관밴드; 상기 행거본체의 타측을 포함한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고, 상기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진동흡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흡수유닛은, 상기 행거본체의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키는 수직진동 흡수부재;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행거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 유동을 허용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키는 수평진동 흡수부재; 및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행거본체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설치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볼트;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고정볼트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제어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진동제어 스프링의 상단을 구속하면서 상기 상부 고정볼트의 설정된 부분에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키는 회전구; 및 상기 배관밴드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타측이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의 유동성을 상기 배관밴드에 전달하는 제 1배관밴드 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단 연결재; 상기 하단 연결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의 일부분에 결합되는 상단 연결재; 및 상기 상단 연결재와 상기 하단 연결재 각각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단 연결재와 상기 하단 연결재를 결합시키는 연결재 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행거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유닛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연결모듈; 및 상기 상부 연결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연결모듈과 상기 배관밴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상부 연결모듈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키는 상부 회전구; 상기 하부 연결모듈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키는 하부 회전구; 및 상기 상부 연결모듈과 상기 하부 연결모듈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상부 회전구와 상기 하부 회전구에 각각 연결시키는 회전구 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연결모듈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하단 연결재; 상기 상부 하단 연결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의 일부분에 결합되는 상부 상단 연결재; 및 상기 상부 상단 연결재와 상기 상부 하단 연결재 각각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상단 연결재와 상기 상부 하단 연결재를 결합시키는 상부 연결재 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모듈은, 상기 회전구 결합봉을 통해서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가 유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연결재; 상기 하부 연결재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 회전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회전구의 승강을 방지하는 하부 연결재 결합봉; 및 상기 하부 연결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밴드에 결합되는 제 2배관밴드 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고 지진 및 외부 진동으로 인한 상하좌우 충격에 대해 유동성있는 거동이 가능하며 시공성 및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거동은 진동제어 스프링으로 제어하고, 전후좌우 거동은 내부의 회전구에 의한 수평진동 흡수부재로 제어함으로써 기존 기술과의 차별성 및 독창성을 확보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단일 설비 배관용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단일 설비 배관용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단일 설비 배관용 행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이중 설비 배관용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이중 설비 배관용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이중 설비 배관용 행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단일 설비 배관용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단일 설비 배관용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단일 설비 배관용 행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5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행거로서, 본 발명은 행거본체(100), 배관밴드(200) 및 진동흡수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본체(100)는 배관(50)을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배관밴드(200)는 행거본체(100)의 일측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행거본체(100)를 배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유닛(300)은 행거본체(100)의 타측을 포함한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행거본체(100)를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고,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유닛(300)은 수직진동 흡수부재(310), 수평진동 흡수부재(320) 및 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진동 흡수부재(310)는 행거본체(100)의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킬 수 있다.
수직진동 흡수부재(310)는 상부 고정볼트(312), 진동제어 스프링(314) 및 상부 고정판(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볼트(312)는 행거본체(100)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설치되어 행거본체(100)를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진동제어 스프링(314)은 연결부재(330)를 사이에 두고 상부 고정볼트(312)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력을 제공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방향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부 고정판(316)은 상부 진동제어 스프링(314)의 상단을 구속하면서 상부 고정볼트(312)의 설정된 부분에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제어 스프링(314)은 상부 진동제어스프링(314-1)과 하부 진동제어 스프링(314-2)으로 구성되며 상부 진동제어 스프링(314-1)은 상부 고정판(316)과 연결부재(330)의 상단 사이에서 상부 고정볼트(312)에 결합되고, 하부 진동제어 스프링(314-2)은 연결부재(330)의 내에서 연결부재(330)와 상부 고정볼트(312)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연결부재(330)와 상부 고정볼트(312)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수평진동 흡수부재(320)는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에 연결되어 행거본체(100)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 유동을 허용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킬 수 있다.
수평진동 흡수부재(320)는 회전구(322) 및 제 1배관밴드 결합봉(32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322)는 연결부재(3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제 1배관밴드 결합봉(324)은 배관밴드(200)와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부재(330)에 형성된 관통홀(20)을 타측이 관통하면서 회전구(322)에 연결되어 회전구(322)의 유동성을 배관밴드(2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30)에 형성된 관통홀(20)은 제 1배관밴드 결합봉(324)의 단면적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회전구(322)가 결합된 제 1배관밴드 결합봉(324)의 자유로운 유동을 허용하여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진동에 대해서 회전구(322)가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여 제 1배관밴드 결합봉(324)에 연결된 배관밴드(200)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330)는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와 수평진동 흡수부재(320)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와 수평진동 흡수부재(320)를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330)는 하단 연결재(332), 상단 연결재(334) 및 연결재 결합봉(33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연결재(332)는 수평진동 흡수부재(320)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단 연결재(334)는 하단 연결재(332)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재 결합봉(336)은 상단 연결재(334)와 하단 연결재(332) 각각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단 연결재(334)와 하단 연결재(332)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 연결재(334)와 하단 연결재(332)는 “ㄷ” 자의 형상으로 대응하면서 제작되어 각각의 일부분에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연결재(334)와 하단 연결재(332)는 각각의 상기 결합홀을 연결재 결합봉(336)이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재 결합봉(336)은 회전구(322)의 상부에서 결합용 너트(30)를 이용하여 고정되면서 상단 연결재(334)와 하단 연결재(332)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회전구(322)를 구속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진동에 의해 회전구(322)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구(322)가 수평진동에만 진동을 흡수하여 효율적인 진동의 감쇠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이중 설비 배관용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이중 설비 배관용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이 향상된 이중 설비 배관용 행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5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행거로서, 본 발명은 행거본체(100), 배관밴드(200) 및 진동흡수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본체(100)는 배관(50)을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배관밴드(200)는 행거본체(100)의 일측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행거본체(100)를 배관(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유닛(300)은 행거본체(100)의 타측을 포함한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행거본체(100)를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고,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유닛(300)은 수직진동 흡수부재(310), 수평진동 흡수부재(320) 및 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30)는 상부 연결모듈(340) 및 하부 연결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모듈(340)은 행거본체(100)의 상부를 형성하면서 수직진동 흡수유닛(310)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연결모듈(340)은 상부 하단 연결재(342), 상부 상단 연결재(344) 및 상부 연결재 결합봉(3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단 연결재(342)는 수평진동 흡수부재(320)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상단 연결재(344)는 상부 하단 연결재(342)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연결재 결합봉(346)은 상부 상단 연결재(344)와 상부 하단 연결재(342) 각각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부 상단 연결재(344)와 상부 하단 연결재(342)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상단 연결재(344)와 상부 하단 연결재(342)는 “ㄷ” 자의 형상으로 대응하면서 제작되어 각각의 일부분에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상단 연결재(344)와 상부 하단 연결재(342)는 각각의 상기 결합홀을 상부 연결재 결합봉(346)이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재 결합봉(346)은 상부 회전구(326)의 상부에서 결합용 너트(30)를 이용하여 고정되면서 상부 상단 연결재(344)와 상부 하단 연결재(342)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부 회전구(326)를 구속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진동에 의해 상부 회전구(326)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 회전구(326)가 수평진동에만 진동을 흡수하여 효율적인 진동의 감쇠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연결모듈(350)은 상부 연결모듈(340)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부 연결모듈(340)과 배관밴드(2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연결모듈(350)은 하부 연결재(352), 하부 연결재 결합봉(354) 및 제 2배관밴드 결합봉(35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재(352)는 회전구 결합봉(329)을 통해서 상부에 연결되며 하부 회전구(328)가 유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하부 연결재 결합봉(354)은 하부 연결재(352)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하부 회전구(328)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 회전구(328)의 승강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배관밴드 결합봉(356)은 하부 연결재(352)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관밴드(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연결재(352)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되며 측면의 일부분에 하부 연결재 결합봉(354)이 관통하면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연결재(352)는 길이방향 양단의 일부분에는 회전구 결합봉(329)과 제 2배관밴드 결합봉(356)이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관통홀(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재 결합봉(354)은 결합용 너트(30)를 이용하여 결합홀에 결합되어 하부 회전구(328)의 하강을 방지하여 수평 진동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회전구 결합봉(329), 상부 연결재 결합봉(346)과 하부 연결재 결합봉(35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쌍을 이루면서 연결부재(330)를 결합시키면서 각각의 회전구(322,326,328)들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제 1배관밴드 결합봉(324)과 제 2배관밴드 결합봉(356)은 말단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배관밴드(200)에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직진동 흡수부재(310)는 행거본체(100)의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킬 수 있다.
이하,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의 구성요소와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수평진동 흡수부재(320)는 수직진동 흡수부재(310)에 연결되어 행거본체(100)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 유동을 허용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킬 수 있다.
수평진동 흡수부재(320)는 상부 회전구(326), 하부 회전구(328) 및 회전구 결합봉(3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구(326)는 상부 연결모듈(3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하부 회전구(328)는 하부 연결모듈(3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회전구 결합봉(329)은 상부 연결모듈(340)과 하부 연결모듈(350)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20)을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각각 관통하면서 상부 회전구(326)와 하부 회전구(328)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행거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행거
20 : 관통홀
30 : 너트
50 : 배관
100 : 행거본체
200 : 배관밴드
300 : 진동흡수유닛
310 : 수직진동 흡수부재
312 : 상부 고정볼트
314 : 진동제어 스프링
314-1 : 상부 진동제어 스프링
314-2 : 하부 진동제어 스프링
316 : 상부 고정판
320 : 수평진동 흡수부재
322 : 회전구
324 : 제 1배관밴드 결합봉
326 : 상부 회전구
328 : 하부 회전구
329 : 회전구 결합봉
330 : 연결부재
332 : 하단 연결재
334 : 상단 연결재
336 : 연결재 결합봉
340 : 상부 연결모듈
342 : 상부 하단 연결재
344 : 상부 상단 연결재
346 : 상부 연결재 결합봉
350 : 하부 연결모듈
352 : 하부 연결재
354 : 하부 연결재 결합봉
356 : 제 2배관밴드 결합봉

Claims (8)

  1. 구조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배관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행거로서,
    상기 배관을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키는 행거본체;
    상기 행거본체의 일측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배관에 결합시키는 배관밴드;
    상기 행거본체의 타측을 포함한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고, 상기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진동흡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흡수유닛은
    상기 행거본체의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키는 수직진동 흡수부재;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행거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 유동을 허용하여 흡수하면서 감쇠시키는 수평진동 흡수부재; 및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행거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연결모듈; 및
    상기 상부 연결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연결모듈과 상기 배관밴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행거본체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설치되어 상기 행거본체를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볼트;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고정볼트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제어 스프링; 및
    상부 진동제어 스프링의 상단을 구속하면서 상기 상부 고정볼트의 설정된 부분에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키는 회전구; 및
    상기 배관밴드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타측이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의 유동성을 상기 배관밴드에 전달하는 제 1배관밴드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단 연결재;
    상기 하단 연결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의 일부분에 결합되는 상단 연결재; 및
    상기 상단 연결재와 상기 하단 연결재 각각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단 연결재와 상기 하단 연결재를 결합시키는 연결재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상부 연결모듈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키는 상부 회전구;
    상기 하부 연결모듈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 진동을 감쇠시키는 하부 회전구; 및
    상기 상부 연결모듈과 상기 하부 연결모듈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상부 회전구와 상기 하부 회전구에 각각 연결시키는 회전구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모듈은,
    상기 수평진동 흡수부재가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하단 연결재;
    상기 상부 하단 연결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진동 흡수부재의 일부분에 결합되는 상부 상단 연결재; 및
    상기 상부 상단 연결재와 상기 상부 하단 연결재 각각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상단 연결재와 상기 상부 하단 연결재를 결합시키는 상부 연결재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모듈은,
    상기 회전구 결합봉을 통해서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가 유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연결재;
    상기 하부 연결재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 회전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회전구의 승강을 방지하는 하부 연결재 결합봉; 및
    상기 하부 연결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밴드에 결합되는 제 2배관밴드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KR1020190150531A 2019-11-21 2019-11-21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KR10223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531A KR102234316B1 (ko) 2019-11-21 2019-11-21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531A KR102234316B1 (ko) 2019-11-21 2019-11-21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316B1 true KR102234316B1 (ko) 2021-03-31

Family

ID=7523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531A KR102234316B1 (ko) 2019-11-21 2019-11-21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3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74B1 (ko) * 2021-04-07 2021-12-20 심성섭 내진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수배관로용 버팀 지지대
KR102343128B1 (ko) * 2021-06-15 2021-12-28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트레이 행거
KR102539781B1 (ko) * 2023-04-10 2023-06-08 주식회사 라인이엔씨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2573970B1 (ko) *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KR101732043B1 (ko) * 2016-10-10 2017-05-02 호진 황 내진용 헹거
KR200486341Y1 (ko) 2017-06-19 2018-05-04 표지웅 흔들림 방지 버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KR101732043B1 (ko) * 2016-10-10 2017-05-02 호진 황 내진용 헹거
KR200486341Y1 (ko) 2017-06-19 2018-05-04 표지웅 흔들림 방지 버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74B1 (ko) * 2021-04-07 2021-12-20 심성섭 내진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수배관로용 버팀 지지대
KR102343128B1 (ko) * 2021-06-15 2021-12-28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트레이 행거
KR102573970B1 (ko) *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KR102539781B1 (ko) * 2023-04-10 2023-06-08 주식회사 라인이엔씨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316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설비 배관용 행거
KR101419308B1 (ko)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100956487B1 (ko) 댐핑장치가 구비된 면진장치
WO2015143753A1 (zh) 一种简易的卧式泵减震基座
CN110159044A (zh) 减震机构及减震系统
CN211083103U (zh) 一种抗震固定支吊架
JPH06117576A (ja) 配管類の支持装置
JP4754406B2 (ja) 防振壁掛装置
CN212407808U (zh) 一种可伸缩、可拆卸的多管道抗震支架
WO2022041463A1 (zh) 竖向隔震系统
US20160265243A1 (en) Boiler support structure
CN211039935U (zh) 抗震连接支架组件
CN108506584A (zh) 一种基于碟形弹簧减振的抗震支吊架
KR101997050B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CN208381503U (zh) 一种基于碟形弹簧减振的抗震支吊架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CN209743771U (zh) 一种多根管道抗震支架
CN113266708A (zh) 一种机电工程使用的快速抗震支吊架
CN214890288U (zh) 一种抗震支架螺杆加强连接件
KR101589380B1 (ko) 가변 클램프 시스템
CN217583417U (zh) 一种圆形管道双向抗震支架
KR101393696B1 (ko)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CN213871446U (zh) 一种便于安装的抗震支架
JP2015175116A (ja) 機器収容室の床支持構造、及び、建造物
CN215673378U (zh) 一种工程用抗震节点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