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375U - 입상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입상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375U
KR20150004375U KR2020140004084U KR20140004084U KR20150004375U KR 20150004375 U KR20150004375 U KR 20150004375U KR 2020140004084 U KR2020140004084 U KR 2020140004084U KR 20140004084 U KR20140004084 U KR 20140004084U KR 20150004375 U KR20150004375 U KR 201500043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material
fixing
filler
sleeve
penet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학조
Original Assignee
문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학조 filed Critical 문학조
Priority to KR2020140004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375U/ko
Publication of KR20150004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입상관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는, 입상관이 배치되는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 내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관통부를 차폐하여 층을 막는 층막음용 충진재; 및 층막음용 충진재를 관통부에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상관 고정장치{Standing pip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를 관통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빌라 등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를 배수하는 오수 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관들을 통틀어 소위, 입상관이라 한다. 입상관은 건물의 시공 시 건물에 함께 매설된 슬리브(sleeve) 내의 관통부에 배관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 슬리브란 건물의 시공 시 건물의 몰타르층에 직접 매설되는 합성수지제로 된 파이프(pipe) 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물론, 슬리브 없이 입상관이 콘크리트에 천공된 관통부에 직접 배관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건물 시공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슬리브를 건물에 함께 매설하거나 아니면 콘크리트를 천공하여 관통부를 형성시킨 다음, 그 관통부로 입상관을 배관한 후에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입상관은 관통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입상관을 관통부 내에 설치한 후에는 입상관을 고정해야 한다.
만약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입상관 고정구를 적용하여 입상관을 고정시키고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입상관 고정장치를 사용할 때, 화재 발생 시 아래층의 화염이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진재, 예컨대 F.S 충진재 등을 슬리브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충진재, 다시 말해, 층막음용 충진재는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관통부를 차폐함으로써, 아래층의 화염이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이와 같은 층막음용 충진재를 관통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가 개발되지 않거나 설사 개발 예정에 있더라도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16334호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를 관통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입상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상관이 배치되는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 내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상기 관통부를 차폐하여 층을 막는 층막음용 충진재; 및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를 상기 관통부에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 고정부는, 일단부는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관통부의 개구 턱에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충진재 고정대일 수 있다.
상기 충진재 고정대는, 상기 입상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대 몸체; 상기 고정대 몸체의 하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충진재 결합부; 및 상기 고정대 몸체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개구 턱에 걸려 지지되는 관통부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 몸체, 상기 충진재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 걸림부는 단일 재질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대 몸체, 상기 충진재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 걸림부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진재 결합부는, 상기 고정대 몸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고정대 몸체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가로부; 및 상기 가로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로부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세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천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상관을 상기 관통부에 고정시키는 입상관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가 상기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충진재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의 내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턱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를 관통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층막음용 충진재와 충진재 고정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개 상태도이다.
도 6은 충진재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로서, 입상관 고정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충진재 고정대의 변형예들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층막음용 충진재와 충진재 고정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전개 상태도, 도 6은 충진재 고정대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로서, 입상관 고정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100)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관통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입상관(110)이 배치되는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121) 내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관통부(121)를 차폐하여 층을 막는 층막음용 충진재(140)와,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관통부(121)에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부(121)는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120, sleeve)에 의해 형성되며, 입상관(110)은 슬리브(120) 내의 관통부(121)에 배치된다. 먼저, 입상관(110)과 슬리브(120)에 대해 알아본다.
입상관(110)은 환풍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 등을 배수하는 오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pipe)로서 필요에 따라 적용된다.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건물의 몰타르층에 직접 매설되는 합성수지제로 된 파이프(pipe) 형의 부재이다.
입상관(110)도 마찬가지이지만 슬리브(120) 역시 건물의 용도 혹은 규격에 따라 그 사이즈가 다른 것들이 적용된다. 슬리브(120)의 하단부 외측에는 다수의 연장 날개부(12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돌출리브(123)가 형성된다.
돌출리브(123)들은 슬리브(120)가 몰타르층에 매입될 때의 매입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장 날개부(122)는 볼트 체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거나 설사 매입되지 않더라도 연장 날개부(122)를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 건물에 고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입상관(110)은 슬리브(120) 내의 관통부(121)에 단순히 삽입 배치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11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110)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입상관 고정구(130)가 마련된다.
본 출원인에 의해 다수 출원된 바 있는 입상관 고정구(130)는 입상관(110)을 관통부(1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상관 고정구(13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끼워지는 끼움 결합부(131)와, 끼움 결합부(13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슬리브(120)의 상부에서 고정되는 상판 덮개부(132)를 포함한다. 상판 덮개부(132)에는 통공(132a)이 형성되어 상판 덮개부(132)를 콘크리트면에 앵커 고정시킬 때 활용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고무 재질의 입상관 고정구(130)만을 제시하였으나 입상관 고정구(130)에 별도의 금속 재질의 클램프(미도시)가 더 적용되어 입상관(110)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클램프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기술들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층막음용 충진재(140)는 입상관(110)이 배치되는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121) 내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관통부(121)를 차폐하여 층을 막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F.S 충진재라고도 불리는 층막음용 충진재(140)는 화재 발생 시 아래층의 화염이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층막음용 충진재(140)는 슬리브(120) 내의 관통부(121)에 위치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즉 관통부(121)에 설치된 층막음용 충진재(140)가 아래로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충진재 고정부(150)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진재 고정부(150)는 그 일단부가 층막음용 충진재(14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관통부(121)의 개구 턱(120a), 다시 말해 슬리브(120)의 상단부 개구 턱(120a)에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충진재 고정대(150)로 적용된다.
이러한 충진재 고정대(150)는 입상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대 몸체(151)와, 고정대 몸체(151)의 하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층막음용 충진재(14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충진재 결합부(152)와, 고정대 몸체(151)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관통부(121)의 개구 턱(120a)에 걸려 지지되는 관통부 걸림부(157)를 포함한다.
이때, 충진재 결합부(152)는 고정대 몸체(151)의 하단부에서 고정대 몸체(151)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가로부(153)와, 가로부(153)의 단부에서 가로부(153)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세로부(154)를 포함한다.
가로부(153)와 세로부(154)의 구조를 갖는 충진재 결합부(152)로 인해 층막음용 충진재(14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걸어 떠받치면서 층막음용 충진재(14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층막음용 충진재(140)는 다수의 충진재 고정대(150)가 결합된 상태로 도 5와 같은 상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작업자 도 5의 상태를 도 4처럼 말아서 도 2 및 도 7처럼 해당 위치에 끼우면 된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충진재 고정대(150)를 이루는 고정대 몸체(151), 충진재 결합부(152) 및 관통부 걸림부(157)는 단일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렇게 제작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강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고정대 몸체(151), 충진재 결합부(152) 및 관통부 걸림부(157)의 단면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충진재 고정대(150)를 이용하여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슬리브(120) 내의 관통부(121)에 배치하여 고정시키고, 입상관(110)을 삽입한 다음, 입상관 고정구(130)로 입상관(110)을 고정시킴으로써, 도 1 및 도 7과 같은 입상관 고정장치(100)를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관통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200) 역시, 관통부(221)가 슬리브(220)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도 8처럼 관통부(221)가 슬리브(220)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충진재 고정부(250)는 슬리브(220)의 내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위치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턱(250)으로 적용될 수 있다.
슬리브(220)는 사출성형품이기 때문에 슬리브(220)의 사출성형 시 내벽에 충진재 고정턱(250)이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리브(220)의 내벽에 충진재 고정턱(25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이기 때문에,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말아서 관통부(221)에 끼우면 층막음용 충진재(140)가 충진재 고정턱(250)에 걸려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관통부(221)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300)의 경우, 관통부(321)가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천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다시 말해, 콘크리트에 천공된 구멍 그 자체가 관통부(321)인 셈이다.
이와 같은 경우일지라도 충진재 고정부(150)를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충진재 고정대(150)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층막음용 충진재(140)를 관통부(321)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충진재 고정대의 변형예들이다.
도 10에 도시된 충진재 고정대(450)의 경우,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 도 10에 도시된 충진재 고정대(450)는 두꺼운 와이어를 절곡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진재 고정대(450)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충진재 고정대(550)의 경우, 세로부(554)에 고정대 몸체(551) 측으로 첨예하게 절곡된 절곡부(555)가 더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절곡부(555)가 더 형성될 경우, 절곡부(555)가 층막음용 충진재(540, 도 5 참조)를 좀 더 압박하면서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충진재 고정대(650)의 경우에도, 세로부(654)에 고정대 몸체(651) 측으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부(655)가 더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데, 도 12의 경우에도 층막음용 충진재(540, 도 5 참조)를 좀 더 압박하면서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충진재 고정대(750)의 경우, 세로부(754)의 단부에 고정대 몸체(751) 측으로 교차 절곡된 더미 가로부(755)가 더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더미 가로부(755)가 더 형성될 경우, 더미 가로부(755)가 층막음용 충진재(540, 도 5 참조)의 자리이탈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입상관 고정장치 110 : 입상관
120 : 슬리브 121 : 관통부
130 : 입상관 고정구 140 : 층막음용 충진재
150 : 충진재 고정부 151 : 고정대 몸체
152 : 충진재 결합부 153 : 가로부
154 : 세로부 157 : 관통부 걸림부

Claims (7)

  1. 입상관이 배치되는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 내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상기 관통부를 차폐하여 층을 막는 층막음용 충진재; 및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를 상기 관통부에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 고정부는,
    일단부는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관통부의 개구 턱에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충진재 고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 고정대는,
    상기 입상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대 몸체;
    상기 고정대 몸체의 하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충진재 결합부; 및
    상기 고정대 몸체의 상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개구 턱에 걸려 지지되는 관통부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몸체, 상기 충진재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 걸림부는 단일 재질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대 몸체, 상기 충진재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 걸림부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 결합부는,
    상기 고정대 몸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고정대 몸체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가로부; 및
    상기 가로부의 단부에서 상기 가로부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세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천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입상관을 상기 관통부에 고정시키는 입상관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가 상기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충진재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의 내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층막음용 충진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충진재 고정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KR2020140004084U 2014-05-29 2014-05-29 입상관 고정장치 KR201500043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84U KR20150004375U (ko) 2014-05-29 2014-05-29 입상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84U KR20150004375U (ko) 2014-05-29 2014-05-29 입상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75U true KR20150004375U (ko) 2015-12-09

Family

ID=5502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84U KR20150004375U (ko) 2014-05-29 2014-05-29 입상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37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56U (ko) * 2016-08-17 2018-02-27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1940606B1 (ko) * 2018-03-13 2019-01-21 조정훈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KR101978701B1 (ko) * 2018-09-20 2019-05-15 (주)영진에스피산업 내화충전재 장착이 가능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967586B1 (ko) * 2018-09-19 2019-08-13 주식회사 파이어넷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56U (ko) * 2016-08-17 2018-02-27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1940606B1 (ko) * 2018-03-13 2019-01-21 조정훈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KR101967586B1 (ko) * 2018-09-19 2019-08-13 주식회사 파이어넷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KR101978701B1 (ko) * 2018-09-20 2019-05-15 (주)영진에스피산업 내화충전재 장착이 가능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834B1 (ko)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US9580921B2 (en) Line conduit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JP6530880B2 (ja) 配設体固定具
KR100709781B1 (ko)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JP6408928B2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伸縮継手設置方法
JP6321463B2 (ja) 配管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200443571Y1 (ko) 매립형 배관 고정장치
JP3183156U (ja) コンクリート埋設型枠
JP3201881U (ja) 床スリーブ
KR100750345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JP6914047B2 (ja) 基礎貫通用鞘管
JP5645388B2 (ja) 基礎貫通配管部構造
JP4491390B2 (ja) 基礎用型枠パネル構造体
JP3232903U (ja) 床スリーブ
KR200461980Y1 (ko) 관통 슬리브
KR20130004267U (ko) 파이프 매설용 브라켓
KR200453202Y1 (ko) 관통슬리브 고정구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JP5545266B2 (ja) 配管貫通穴用コンクリート受け金具
JP5922737B2 (ja) 基礎貫通配管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