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345B1 - 상수도 제수변 맨홀 - Google Patents

상수도 제수변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345B1
KR100750345B1 KR1020060038504A KR20060038504A KR100750345B1 KR 100750345 B1 KR100750345 B1 KR 100750345B1 KR 1020060038504 A KR1020060038504 A KR 1020060038504A KR 20060038504 A KR20060038504 A KR 20060038504A KR 100750345 B1 KR100750345 B1 KR 10075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nhole
pipe
tub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륭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륭건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륭건업
Priority to KR102006003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제수변 맨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은 조적관의 상단에 시멘트 몰탈을 도포하고 그 위에 흄관을 올려놓는 과정에서 흄관의 중량에 의해 시멘트 몰탈이 눌리게 되어 흄관의 설치 높이가 설계치와 다르게 되거나 흄관 자체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되는 등 시공하자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흄관의 상단 외주면에 링형의 고정 플레이트를 압입, 고정하고, 이 고정 플레이트와 철개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흄관의 상단에 철개를 설치하는 것이 있으나, 이는 고정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이 흄관의 상단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어 철개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조적관의 상단면에 PE구조형 벽관을 안착하며, PE구조형 벽관의 상단에 고정부와 지지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철개지지구를 고정하고, 이 철개지지구에 철개받침판을 지지하고, 이 철개받침판과 철개의 하단 플랜지부에 형성된 나사관통공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맨홀이 설계치와 다른 높이로 시공되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시공되는 일이 없으며, 철개의 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 제수변 맨홀{Control valve manhole for Tap water}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철개지지구의 사시도,
도 4는 PE구조형 벽관과 받침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PE구조형 벽관과 받침패드의 결합상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철개지지구의 사시도,
도 7은 철개지지구와 PE구조형 벽관 및 철개의 결합 상태의 일 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철개지지구와 PE구조형 벽관 및 철개의 결합 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9는 철개지지구와 PE구조형 벽관 및 철개의 결합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철개를 예시한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철개지지구의 사시도,
도 12는 철개지지구와 PE구조형 벽관 및 철개의 결합 상태의 일 에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3은 종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일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는 종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시공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5는 종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초 블록 20 : 조적관
30 : PE구조형 벽관 31 : 받침패드
32 : 도넛형 바닥부 33,34 : 링형 돌출부
35 : 삽입홈 40 : 철개지지구
41 : 고정부 41a,41b : 수직부
41c : 수평부 42 : 지지부
42a : 경사연장부 42b : 수평부
42c : 수직부 43 : 나사봉
44a,44b : 나사관통공 45 : 볼트
50 : 철개받침판 60 : 철개
본 발명은 상수도 제수변 맨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블록(110)과, 그 위에 적벽돌로 조적 설치된 조적관(120)과, 이 조적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흄관(130)과, 이 흄관(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철개(140)로 이루어진다.
도 10에서 151은 상수도관이고, 152는 제수변이다.
이러한 종래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은 조적관(120)과 흄관(130)은 그들 사이에 시멘트 몰탈(M)을 채우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조적관(120)의 상단에 시멘트 몰탈(M)을 도포하고 그 위에 흄관(130)을 올려놓는 과정에서 흄관(130)의 중량에 의해 시멘트 몰탈(M)이 눌리게 되어 흄관(130)의 설치 높이가 설계치와 다르게 되거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흄관(130) 자체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되는 등 시공하자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은 흄관(130)의 대략 상반부와 철개(140)를 감싸는 보호 콘크리트(141)를 타설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게 되고 공기가 연 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다른 예로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흄관(130)의 상단 외주면에 링형의 고정 플레이트(160)를 압입, 고정하고, 이 고정 플레이트(160)와 철개(140)를 고정나사(161)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60)를 개재하여 흄관(130)의 상단에 철개(140)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수도 제수변 맨홀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에 더하여 흄관(130)의 상단에 고정 플레이트(160)를 압입, 고정하는 것이므로 고정 플레이트(160)를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고정 플레이트(160)의 상면이 흄관(130)의 상단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어 철개(140)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160)는 그 내경이 흄관(130)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로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160)와 흄관(130)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간의 공차 관리가 어렵고, 압입 정도에 따라 결합상태가 균일하고 정확하게 이루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높이가 설계치에 정확히 합치되는 상태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일이 없이 수직상태로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개의 설치가 항상 균일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 도록 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 블록과; 상기 기초 블록 위에 적벽돌로 조적 설치된 조적관과; 상기 조적관의 상부에 안착되는 PE구조형 벽관과; 상기 PE구조형 벽관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철개지지구와; 상기 철개지지구에 지지되며, 상기 PE구조형 벽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철개받침판 및; 상기 철개받침판에 고정 설치되는 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을 제공한다.
상기 철개지지구의 고정부는 상기 PE구조형 벽관의 관벽 상단 내외면에 대응하는 내외 한 쌍의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PE구조형 벽관의 관벽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개지지구의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바깥쪽 수직부에서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연장부와, 이 경사연장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바깥쪽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기 철개지지구의 고정부를 구성하는 수평부 상면에는 철개에 형성된 나사관통공에 삽입되는 나사봉이 더 구비된다.
상기 PE구조형 벽관의 관벽 하단에는 그 폭이 PE구조형 벽관의 관벽 두께보다 넓은 도넛형 바닥부와, 이 도넛형 바닥부의 내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 어 그 사이에 PE구조형 벽관의 관벽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링형 돌출부로 구성되는 받침패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개지지구의 고정부를 구성하는 수직부에는 철개지지구를 PE구조형 벽관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이 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철개지지구의 사시도, 도 4는 PE구조형 벽관과 받침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PE구조형 벽관과 받침패드의 결합상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블록(10)과; 상기 기초 블록(10) 위에 적벽돌로 조적 설치된 조적관(20)과; 상기 조적관(20)의 상부에 안착되는 PE구조형 벽관(30)과;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철개지지구(40)와; 상기 철개지지구(40)에 지지되는 철개받침판(50) 및; 상기 철개받침판(50)에 고정 설치되는 철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71은 상수도관이고, 72는 제수변이다.
상기 기초 블록(10)과 조적관(20) 및 철개(60)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은 특허 제136249호에 의한 PE 재질의 이중관이나 삼 중관 또는 관벽이 완전히 충전된 PE 재질의 충전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은 수밀성과 내부식성에서 종래의 흄관보다 우수하면서도 관벽의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특성을 가진다.
상기 철개지지구(40)는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41)와, 이 고정부(41)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부(4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상단 내외면에 대응하는 내외 한 쌍의 수직부(41a,41b)와, 이 수직부(41a,41b)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41c)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41a,41b) 사이의 간격은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정된다.
상기 철개지지구(40)의 지지부(42)는 바깥쪽 수직부(41b)에서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연장부(42a)와, 이 경사연장부(42a)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42b) 및, 이 수평부(42b)의 바깥쪽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42c)로 구성된다.
상기 철개받침판(50)은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철개지지구(40)의 지지부(42)에 지지되는 도넛형 하향돌출부(51)와, 이 도넛형 하향돌출부(51)의 외주측에서 판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52)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52)에는 상기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2)에 관통된 볼트(63)가 체결되는 나사공(53)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먼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초 블록(10)과 조적관(20)을 설치한다.
조적관(20)의 상단에 PE구조형 벽관(30)을 안착시킨다. 조적관(20)의 상단에 PE구조형 벽관(30)을 안착시킴에 있어서는 조적관(20)의 상단면에 시멘트 몰탈(M)을 도포하고, 그 위에 PE구조형 벽관(30)을 안착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E구조형 벽관(30)은 종래의 흄관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시멘트 몰탈(M)이 과도하게 눌리지 않게 되어 설치 높이가 설계치에 정확하게 합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일이 없이 정확하게 설치된다.
또한 PE구조형 벽관(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PE구조형 벽관(30)의 하단에 PE구조형 벽관(30)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도넛형 받침패드(31)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넛형 받침패드(31)는 도 1 및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도넛형 바닥부(32)와, 이 도넛형 바닥부(32)의 내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35)을 형성하는 링형 돌출부(33,34)로 구성된다.
상기 도넛형 바닥부(32)의 폭은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두께보다 넓게 형성하면 족하며, 예컨대 그 폭을 조적관(20)의 관벽 두께와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넛형 받침패드(31)는 조적관(20)의 상단면에 PE구조형 벽관(30)을 안착하기 전에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하단이 상기 링형 돌출부(33,34)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35)에 삽입하여 도넛형 받침패드(31)가 PE구조형 벽관(30)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하여, 그 도넛형 받침패드(31)의 도넛형 바닥부(32)가 조적관(20)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PE구조형 벽관(30)의 하중이 도넛형 바닥부(32)를 통해 조적관(20)의 상단면에 분산되어 시멘트 몰탈(M)이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를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끼워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수직부(41a,41b)가 PE구조형 벽관(3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밀착되고 수평부(41c)가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철개지지구(40)를 고정 설치한다.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고정된 철개지지구(40)의 지지부(42)에 철개받침판(50)을 걸쳐서 고정한다.
이때 철개받침판(50)의 도넛형 하향돌출부(51)의 하단이 철개지지구(40)의 지지부(42)를 구성하는 경사부(42a)의 하단과 수직부(42c)의 사이에서 수평부(42b)에 안착되도록 한다.
철개지지구(40)에 의해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지지된 철개받침판(50)의 상측에 철개(60)를 올려놓고,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2)과 철개받침판(50)의 플랜지부(52)에 형성된 나사공(53)이 일치되도록 한 다음 나사관통공(62)을 통해 볼트(63)를 관통시켜 나사공(53)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철개(60)가 철개받침판(50)과 철개지지구(40)를 통해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수평부(41c)의 상면에 나사봉(43)을 구비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PE구조형 벽관(30)에 결합된 철개지지구(40) 위에 철개(60)를 올려놓으면서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4)에 상기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수평부(41c)에 구비된 나사봉(43)이 끼워지도록 한 다음 나사봉(43)에 너트(6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철개받침판(5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철개(60)를 고정하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PE구조형 벽관(30)에 결합된 철개지지구(40)의 지지부(42)측에는 철개받침판(50)을 지지하고, 그 위에 철개(60)를 올려놓으면서 나사봉(43)이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2)은 철개받침판(50)의 나사관통공(53)에 일치되되록 함과 아울러 철개지지구(40)의 나사봉(43)이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4)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2)에 볼트(63)를 관통시켜 철개받침판(50)에 형성된 나사공(53)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철개(6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4)에 관통된 나사봉(43) 에도 너트(65)를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의 직경이 작고 나사관통공(64)만 형성된 경우에는 나사봉(43)을 철개(60)의 하단 플랜지부(61)의 나사관통공(64)에 관통시키고, 이 나사봉(43)에 너트(65)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철개(6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 플랜지부(61)가 대략 정방형인 철개(60)에 적용한 예이고, 도 9에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 플랜지부(61)가 원형인 철개(60)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맨홀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수직부(41a,41b)에 나사관통공(44a,44b)을 형성하여, 이 나사관통공(44a,44b)을 통해 상기 PE구조형 벽관(30)에 볼트(45)를 관통시키고, 이에 너트(48)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철개지지구(40)를 PE구조형 벽관(3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철개받침판(50)의 하향 돌출부(51)의 내주면에는 볼트머리홈(54)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볼트(45)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수도 제수변 맨홀에 의하면 흄관보다 가벼운 조적관 상면에 안착되는 벽관으로서 PE구조형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조적관 상면에 시멘트 몰탈을 도포하고 그 위에 PE구조형 벽관을 안착하였을 때 시멘트 몰탈이 과도하게 눌리거나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일이 없어 설계치로 정확하게 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수도 제수변 맨홀에 의하면 PE구조형 벽관의 하단에 그 폭이 PE구조형 벽관의 관벽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 받침패드를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수도 제수변 맨홀에 의하면 철개받침판이 PE구조형 벽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개받침판과 PE구조형 벽관 사이의 공차 관리가 간편하게 되고, 철개받침판의 설치 위치가 철개지지구에 의해 항상 정확한 위치로 유지되므로 결과적으로 철개의 설치가 항상 균일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초 블록(10)과;
    상기 기초 블록(10) 위에 적벽돌로 조적 설치된 조적관(20)과;
    상기 조적관(20)의 상부에 안착되는 PE구조형 벽관(30)과;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41)와, 이 고정부(41)에서 연장되는 지지부(42)를 가지는 복수개의 철개지지구(40)와;
    상기 철개지지구(40)에 지지되며,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철개받침판(50) 및;
    상기 철개받침판(50)에 고정 설치되는 철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는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상단 내외면에 대응하는 내외 한 쌍의 수직부(41a,41b)와, 이 수직부(41a,41b)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41c)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41a,41b) 사이의 간격은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개지지구(40)의 지지부(42)는 상기 고정부(41)의 바깥쪽 수직부(41b)에서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연장부(42a)와, 이 경사연장부(42a)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42b) 및, 이 수평부(42b)의 바깥쪽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42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
  4. 제2항에 있어서, 싱기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수평부(41c) 상면에는 철개(60)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4)에 삽입되는 나사봉(4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하단에는 그 폭이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두께보다 넓은 도넛형 바닥부(32)와, 이 도넛형 바닥부(32)의 내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PE구조형 벽관(30)의 관벽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35)을 형성하는 링형 돌출부(33,34)로 구성되는 받침패드(31)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개지지구(40)의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수직부(41a,41b)에는 철개지지구(40)를 PE구조형 벽관(3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45)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44a,44b)가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1020060038504A 2006-04-28 2006-04-28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10075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04A KR100750345B1 (ko) 2006-04-28 2006-04-28 상수도 제수변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04A KR100750345B1 (ko) 2006-04-28 2006-04-28 상수도 제수변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345B1 true KR100750345B1 (ko) 2007-08-17

Family

ID=3861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04A KR100750345B1 (ko) 2006-04-28 2006-04-28 상수도 제수변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64B1 (ko) * 2010-10-18 2013-06-14 안재엽 밸브실의 철개고정 및 높이조절장치
KR101626278B1 (ko) 2015-08-17 2016-06-01 주식회사 퍼팩트 구배조절이 용이한 제수변보호통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315866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64B1 (ko) * 2010-10-18 2013-06-14 안재엽 밸브실의 철개고정 및 높이조절장치
KR101626278B1 (ko) 2015-08-17 2016-06-01 주식회사 퍼팩트 구배조절이 용이한 제수변보호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JP2007270547A (ja) 鋼管ポールの設置構造および設置方法
KR101491450B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KR100750345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100879615B1 (ko)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391463Y1 (ko) 조립식 맨홀
KR100967427B1 (ko) 커플러에 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맨홀
KR100750344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JP2017061803A (ja) 柱用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決め治具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KR101633729B1 (ko) 옹벽 구조
KR20190139578A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20040858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JP5534593B2 (ja) 鏝およびこの鏝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ならびに法面補強構造
KR20220006941A (ko) 관통슬라브 시공용 클램프구조체
KR100628528B1 (ko) 흙막이용 토류판 어셈블리
JP2009257006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402368B1 (ko) 구조물 고정용 앵커너트
KR100805967B1 (ko) 설치위치 조정형 집수정 결합구조
KR200318224Y1 (ko)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KR20200031771A (ko) 세트 앙카
JP3199417U (ja) 床スリーブ
JP2018025014A (ja) 排水ホッパー
JP2008138462A (ja) 壁パネル取付用下地金物の支持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