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224Y1 -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 Google Patents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224Y1
KR200318224Y1 KR20-2003-0009228U KR20030009228U KR200318224Y1 KR 200318224 Y1 KR200318224 Y1 KR 200318224Y1 KR 20030009228 U KR20030009228 U KR 20030009228U KR 200318224 Y1 KR200318224 Y1 KR 200318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fasteners
sewer
wir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대성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대성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3-0009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둘레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고정구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한 하수도관이 하수도관의 매설을 위해 소정크기로 절개한 절개지에 나열ㆍ배치되되; 하수도관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이상의 제1와이어가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편을 통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다른 고정구들과 계속해서 이어지면서 고정구들을 상호 단단히 결속시키고, 이 고정구들은, 중심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메인앵커바아와 메인앵커바아의 둘레부에 부착되면서 하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되는 하나이상의 서브앵커바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수도관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매립되는 앵커와, 제2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단단히 체결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Structure of safety for founding drain pipe}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생활하수 및 기타 폐수를 원거리에 있는 오폐수처리시설 등으로 이송하기 위해 하수도관이 지하에 매설된다. 하지만 상기 하수도관을 흐르는 하수는 높은 수압을 유지하지 않으므로, 하수도관은 상수관에 비해 비교적 내압성이 작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하수도관 간의 연결구조 또한 하수도관과 하수도관을 상호 맞대는 수준이어서 하수도관 간의 기밀성 및 고정성 또한 부실하였다.
한편, 지면으로 스며든 우수는 지하의 일정장소에서 오랫동안 정체되거나 특정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침식시키면서 상수도관을 지지하는 지반을 약화 및 붕괴시킬 수 있는데, 이는 이를 기반으로 매설된 하수도관에 대한 지지력 약화를 초래하여 하수도관이 부실한 설치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로인해 불균형적인 지지기반에 의한 하수도관의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하수도관 일부에서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부족한 하수도관 간의 연결관계 및 고정성을 보완함으로서, 부분적인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해 하수도관이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저지하는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따라 설치된 하수도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하수도관 20, 20` ; 고정수단
21 ; 고정체 21a ; 돌출부
21b ; 관통펀 21c ; 고정부재
22 ; 제1와이어
23 ; 앵커 23a ; 메인앵커바아
23b ; 서브앵커바아 23c ; 체결구
24 ; 제2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고정구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한 하수도관이 하수도관의 매설을 위해 소정크기로 절개한 절개지에 나열ㆍ배치되되; 하수도관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이상의 제1와이어가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편을 통해 연결되는방식으로 이웃하는 다른 고정구들과 계속해서 이어지면서 고정구들을 상호 단단히 결속시키고, 이 고정구들은, 중심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메인앵커바아와 메인앵커바아의 둘레부에 부착되면서 하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되는 하나이상의 서브앵커바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수도관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매립되는 앵커와, 제2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단단히 체결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따라 설치된 하수도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는, 하수도관을 매설하기 위해 소정크기로 지면을 절개한 절개지에 다수의 하수도관(10)들을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면서 배치시키는 한편, 하수도관(10)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고정구(21)와, 이 고정구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와이어(22), 하수도관(10)의 안착위치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매설되는 앵커(23) 및, 앵커(23)와 고정구(21)를 상호 단단히 연결하는 제2와이어(24)로 구성된 고정수단(20)을 통해, 상기 절개지에 설치된 하수도관(10)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구(21)는 하수도관(10)의 둘레면을 감싸듯 체결되면서 이웃하는 다른 고정구(21`)들과 제1와이어(22)를 매개로 단단히 연결되어 하수도관과 하수도관 간의 이음부위에서 하수도관(10)의 뒤틀림으로 인해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고정구(21)는 원통형 하수도관(10)의 둘레면에 상응하도록 일정한 곡면을 가지며, 제1와이어(22)가 끼워져 고정되는 관통편(21b)과, 제2와이어(24)가 연결ㆍ고정되는 연결부재(21c)가 구비되는 돌출부(21a)가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상기 관통편(21b)은 링형상으로 되어서 제1와이어(22)가 관통되어 끼워지고, 계속해서 제1와이어(22)는 이웃하는 다른 고정구(21`)의 관통편(21b)으로 끼워지면서, 하수도관(10)에 단단히 부착된 고정구(21, 21`)들이 제1와이어(22)를 매개로 단단히 결속된다. 따라서, 하수도관(10)의 뒤틀림이 최소화되고, 휨현상도 가능한한 억제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1와이어(22)는 단순히 관통편(21b)을 관통하는 방식을 통해 고정구(21, 21`)와 연결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관통편(21b)과 제1와이어(22) 사이에 매듭을 짓거나 접착제 또는 땜질 등 고정구(21, 21`)와 제1와이어(22)를 상호 단단히 연결ㆍ고정시키는 방식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앵커(23)는, 하수도관(10)의 고정위치를 고수하면서, 혹시 발생될지 모를 부분적인 지반붕괴로 인해 하수도관(1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21, 21`)들에 단단히 연결ㆍ고정된 제2와이어(24)가 연결되는 곳으로, 하단부에는 걸림턱을 갖는 헤드가 형성된 메인앵커바아(23a)와, 메인앵커바아(23a)의 둘레부에 부착되면서 메인앵커바아(23a)와 같이 헤드가 형성된 서브앵커바아(23b)로 이루어지며, 특히 서브앵커바아(23b)는 상방으로의 장력에 대해 보다 향상된 고정성을 지니도록 메인앵커바아(23a)를 중심으로 외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앵커(23)를 매설하기 위해서 메인앵커바아(23a)와 서브앵커바아(23b)를 직접 압입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앵커(23)를 내입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홈을 지면에 형성시켜 앵커(23)을 내입시킨 후, 상기 홈 안으로 토사를 재충진시켜 고정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이렇게 매설된 앵커(23)의 상단부에는 제2와이어(24)가 연결되는 체결구(23c)가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여 하수도관(10)의 둘레면에 체결된 고정구(21, 21`)에는 고정부재(21c)가 형성되어 제2와이어(24)를 매개로 앵커(23)와 고정구(21)가 단단히 연결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하수도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고정구가 와이어에 의해 상호 단단히 연결ㆍ고정되고, 우수한 고정력을 갖는 앵커에 의해 지지되면서 하수도관을 지지하는 지반의 부분적인 붕괴로 하수도관이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둘레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고정구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한 하수도관이 하수도관의 매설을 위해 소정크기로 절개한 절개지에 나열ㆍ배치되되; 하수도관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이상의 제1와이어가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편을 통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다른 고정구들과 계속해서 이어지면서 고정구들을 상호 단단히 결속시키고, 이 고정구들은, 중심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메인앵커바아와 메인앵커바아의 둘레부에 부착되면서 하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되는 하나이상의 서브앵커바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수도관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매립되는 앵커와, 제2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단단히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KR20-2003-0009228U 2003-03-27 2003-03-27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KR200318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28U KR200318224Y1 (ko) 2003-03-27 2003-03-27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28U KR200318224Y1 (ko) 2003-03-27 2003-03-27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224Y1 true KR200318224Y1 (ko) 2003-06-27

Family

ID=4940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28U KR200318224Y1 (ko) 2003-03-27 2003-03-27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2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10B1 (ko) 2018-05-18 2019-03-13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기능성 꽃심
KR20200077882A (ko) 2018-12-21 2020-07-01 유한회사 수호산업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KR102365670B1 (ko) 2021-07-23 2022-02-23 (주)파이프로 상수관 또는 하수관용 결합형 신축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10B1 (ko) 2018-05-18 2019-03-13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기능성 꽃심
KR20200077882A (ko) 2018-12-21 2020-07-01 유한회사 수호산업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KR102365670B1 (ko) 2021-07-23 2022-02-23 (주)파이프로 상수관 또는 하수관용 결합형 신축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07374A (ja) ワイヤロープアンカー
KR101067870B1 (ko)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설치구조 및 그 방법
KR200318224Y1 (ko) 하수도관의 매립 안전구조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KR100726738B1 (ko) 하수관 분기 구조물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US6017064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lateral openings in main pipelines and restraining apparatus for main and lateral pipe joints
KR20100033750A (ko) 전주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98886B1 (ko) 연약지반의 하수관 지지구조물
KR20070109710A (ko) Phc 말뚝의 두부보강을 통한 구조물의 양압력 방지구조
KR100564997B1 (ko)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750345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100657179B1 (ko) 저수심 상수도관 이음부 고정장치
KR100726755B1 (ko)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JP3863399B2 (ja) 高耐力アンカー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977524B1 (ko) 교량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89824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KR200318223Y1 (ko) 누수에 의한 하수도용 흄관의 매립지반 침식방지 구조물
KR20080104230A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200310140Y1 (ko) 지반침식 및 이탈방지기구를 갖춘 하수도관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101390514B1 (ko) 부력 방지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