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680B1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680B1
KR100676680B1 KR1020050100491A KR20050100491A KR100676680B1 KR 100676680 B1 KR100676680 B1 KR 100676680B1 KR 1020050100491 A KR1020050100491 A KR 1020050100491A KR 20050100491 A KR20050100491 A KR 20050100491A KR 100676680 B1 KR100676680 B1 KR 10067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support
support rod
installation structur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10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하수도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및 매립할 때 상기 하수도관이 매립된 지반의 침하로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하수도관(10)의 외측 둘레면에 감싸여지고 단부에는 한 쌍의 연장판(61)이 마련된 연결링(60)과, 상기 연장판(61)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지지봉(50)이 용접 고정되며 상면에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된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을 지지하도록 암나사부(41)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로드(30)와, 상기 지지로드(3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통공(21)이 형성되고 하수도관(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저면은 기초 콘트리트(70)에 접촉되는 지지틀(20)과, 상기 지지틀(20)의 상부로 노출된 지지로드(3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32)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하수도관, 연결링, 지지틀, 지지로드

Description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HUME PIPE REINFORCE STRUCTURE}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한 하수도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침하방지용 하수도관의 매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수도관 20 : 지지틀
21 : 통공 30 : 지지로드
32 : 고정너트 40 : 지지판
41 : 암나사부 50 : 지지봉
51 : 지지너트 60 : 연결링
61 : 연장판 70 : 기초 콘트리트
71 : 고정홈
본 발명은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하수도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및 매립할 때 상기 하수도관이 매립된 지반의 침하로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하상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많은 양의 하상수를 공급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원재료하여 만들어진 콘크리트 수도관(Hume pipe)(이하 "하수도관"이라 한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수도관은 지하에 매설되는 것이며, 원거리에 하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복수개의 하수도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한 하수도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수도관(1)은 일정한 길이(L)와 내경(d) 및 외경(D)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성형되어 있되, 하수도관(1)의 일단에는 연결되는 또 다른 하수도관(1)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의 직경이 하수도관(1)의 외경(D)과 동일하도록 확장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하수도관(1)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먼저 지면을 굴삭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하수도관이 매설될 깊이와 폭으로 일정길이를 파내어 요입부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하수도관(1)이 매설될 요입부의 토사(3) 표면을 고른 다음 토사(3)의 표면에 기초 콘트리트(4)를 타설하고 복수개의 하수도관(1)이 계속적으로 서 로 연결되게 매립한다.
즉,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하수도관(1)중 하나의 하수도관(1)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부(2)에 또 다른 하수도관(1)의 타단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2)의 내부로 또 다른 하수도관(1)을 끼워 삽입한다.
이후 상기 하수도관(1)의 연결부인 확장부(2)의 외측 둘레면에 모래와 시멘트가 물에 의해 혼합되어 만들어진 몰타르(5)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4)와 하수도관(1) 사이의 공간에 지지대(6)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수도관(1)을 설치한 후 그 하수도관(1)과 기초 콘크리트(4)의 사이에 지지대(6)를 설치하게 되므로 상기 하수도관(1)과 기초 콘크리트(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였음은 물론, 지지대(6)의 상부에 하수도관(1)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연약지반에 설치된 경우 침하가 발생되면, 하수도관(1)과 지지대(6)가 분리되어 하수도관(1)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중에 매립되는 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그 하수도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결링을 설치하고, 그 연결링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하수도관의 외측에 설치하여 침하로 인한 하수도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본 발명의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는 하수도관의 외측 둘레면에 감싸여지고 단부에는 한 쌍의 연장판이 마련된 연결링과, 상기 연장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지지봉이 용접 고정 되며 상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도록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수도관의 외부에 설치되며 저면은 기초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상부로 노출된 지지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침하방지용 하수도관의 매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확장부(11)를 갖는 하수도관(10)의 외측 둘레면에 감싸여지는 연결링(60)이 마련되어 있되, 그 연결링(60)의 단부에는 한 쌍의 연장판(6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장판(61)의 중앙에는 끼움공(6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장판(61)의 사이는 지지판(4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지지판(40)의 중앙에는 끼움공(62)에 삽입되는 지지봉(50)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그 지지봉(50)의 단부에는 지지너트(51)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40)의 상면 중 앙에는 이후에 설명할 지지로드(30)가 결합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부(41)에는 양 단부에 숫나사부(31)가 형성된 지지로드(30)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지지로드(30)의 상단은 지지틀(2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21)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21)의 외부로 노출된 숫나사부(31)에는 고정너트(32)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틀(20)은 하수도관(10)의 양 측면 및 상부에 설치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틀(20)의 하단부는 기초 콘트리트(70)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초 콘트리트(70)에는 지지틀(2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7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수도관(10)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먼저 지면을 굴삭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하수도관(10)이 매설될 깊이와 폭으로 일정길이를 파내어 요입부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하수도관(10)이 매설될 요입부의 토사(80) 표면을 고른 다음 토사(80)의 표면에 기초 콘트리트(70)를 타설하되, 그 기초 콘트리트(70)에는 복수개의 고정홈(71)을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 콘트리트(70)의 상면에 복수개의 하수도관(10)이 계속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매립하되, 각 하수도관(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연결링(60)을 설치하고, 그 연결링(60)의 단부에 형성된 연장판(61)의 사이에 지지판(40)을 끼우되, 상기 지지판(40)에 용접 고정된 지지봉(50)을 연장판(61)에 형성된 끼움공(62) 에 삽입시킨 후 상기 지지봉(50)이 분리되지 않도록 그 지지봉(50)의 양단부에 지지너트(51)를 결합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40)의 상면에 형성된 암나사부(41)에는 지지로드(30)의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31)를 나사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수도관(10)의 상부에 위치되게 지지틀(20)을 안착시키되, 그 지지틀(20)에 형성된 안착홈(22)의 내부에 하수도관(10)이 수용되게 설치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지지틀(20)의 하단부는 기초 콘크리트(70)에 형성된 고정홈(7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틀(20)을 설치하면 그 지지틀(2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21)을 통하여 지지로드(30)의 상단이 노출되므로, 상기 지지로드(30)의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31)에 고정너트(32)를 나사 결합하면 하수도관(10)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정너트(32)의 결합 위치에 따라서 하수도관(10)의 고정위치가 조절되므로 상기 하수도관(10)의 수평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수도관(10)의 설치 및 연결작업이 완료된 후 하수도관(10)의 연결부인 확장부(11)의 외측 둘레면에 모래와 시멘트가 물에 의해 혼합되어 만들어진 몰타르(12)를 타설하고, 되메우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되는 하수도관에 연결링을 설치하고 그 연결링에 설치된 지지로드를 지지틀의 상측에서 고정시키게 되므로 하수도관의 설치위치(수평 또는 경사각도)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로드에 의해서 하수도관이 지지되므로 연약지반의 침하로 인한 하수도관의 매설위치 변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수도관(10)의 외측 둘레면에 감싸여지고 단부에는 한 쌍의 연장판(61)이 마련된 연결링(60)과;
    상기 연장판(61)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지지봉(50)이 용접 고정 되며 상면에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된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을 지지하도록 암나사부(41)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로드(30)와;
    상기 지지로드(3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통공(21)이 형성되고 하수도관(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저면은 기초 콘트리트(70)에 접촉되는 지지틀(20)과;
    상기 지지틀(20)의 상부로 노출된 지지로드(3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32);를 포함함을 특징을 하는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70)에는 지지틀(2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7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50)의 양 단부에는 지지너트(51)가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20050100491A 2005-10-25 2005-10-25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67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91A KR100676680B1 (ko) 2005-10-25 2005-10-25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91A KR100676680B1 (ko) 2005-10-25 2005-10-25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081U Division KR200407625Y1 (ko) 2005-11-02 2005-11-02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680B1 true KR100676680B1 (ko) 2007-02-01

Family

ID=3810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91A KR100676680B1 (ko) 2005-10-25 2005-10-25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801B1 (ko) * 2010-05-24 2011-04-07 준이앤씨(주) 관로 성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1051937B1 (ko) * 2010-06-15 2011-07-26 주식회사 지오테크 지하 매설물의 보호장치
KR101481817B1 (ko) * 2014-07-29 2015-01-13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침하방지를 위한 하수도관 지지구조
CN109356353A (zh) * 2018-11-28 2019-02-19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下沉式卫生间的地面基层安装结构
KR102399211B1 (ko) 2021-02-23 2022-05-18 박주용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801B1 (ko) * 2010-05-24 2011-04-07 준이앤씨(주) 관로 성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1051937B1 (ko) * 2010-06-15 2011-07-26 주식회사 지오테크 지하 매설물의 보호장치
KR101481817B1 (ko) * 2014-07-29 2015-01-13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침하방지를 위한 하수도관 지지구조
CN109356353A (zh) * 2018-11-28 2019-02-19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下沉式卫生间的地面基层安装结构
KR102399211B1 (ko) 2021-02-23 2022-05-18 박주용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1481817B1 (ko) 침하방지를 위한 하수도관 지지구조
KR101674117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KR100672009B1 (ko) 상수도관 접합부 고정 장치구조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0827009B1 (ko)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KR101633729B1 (ko) 옹벽 구조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KR100680247B1 (ko) 지하 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 및 부등침하 방지 장치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0726755B1 (ko)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KR100564997B1 (ko)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CN105888035A (zh) 整体装配式钢筋混凝土预制排水检查井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688617B1 (ko) 저면이 평탄한 하수관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200408192Y1 (ko) 지하 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 및 부등침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