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17B1 -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17B1
KR101674117B1 KR1020160065052A KR20160065052A KR101674117B1 KR 101674117 B1 KR101674117 B1 KR 101674117B1 KR 1020160065052 A KR1020160065052 A KR 1020160065052A KR 20160065052 A KR20160065052 A KR 20160065052A KR 101674117 B1 KR101674117 B1 KR 10167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ting material
helical anchor
sewer pipe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현
윤상국
서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6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를 설치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한 다음, 터파기공의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의 상단에 하수도관 지지블록을 안착함과 아울러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에 시멘트몰탈에 의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하수도관 지지블록에 하수도관을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하수도관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하수도관 지지블록를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의 상단에 지지되는 상단지지브래킷에 복수개의 지지봉으로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하수도관의 침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ewerage pipe subsidence of smooth ground}
본 발명은 하수도 분야 관련 기술 중에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에 하수도관을 설치함으로써 하수도관의 침하는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관은 산업오폐수 및 생활오폐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수송하는 것으로서 오폐수처리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시설물이다.
역사적으로 BC 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인더스 문명의 유적인 '모헨다조로'에서 매우 발달한 하수도가 발견되었으며, BC 615년에 축조된 하수거의 유적이 오늘날까지 남아서 관광지의 하나가 되고 있다.
'모헨다조로의 하수도'는 거주지역에서 발생한 오폐수에 의한 폐단, 전염병의 확산, 식수의 오염, 악취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주지역에서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원격지의 방류지역에 이르는 하수관을 설치하여 거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하수관을 통해 방류지역으로 이송하여 방류한 것이다.
따라서 하수도관은 현대의 오폐수처리시설의 근원이 되는 것으로 하수도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수도관은 콘크리트를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성형 방법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강관으로 구성되는 형틀 내에 철근을 조립하고, 형틀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상태에서 형틀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성형된다.
종래의 통상적인 하수도관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상기 하수도관(10)은 관부(11)와 상기 관부(11)의 일단부(12)에 일체로 형성되어 관부(11)의 타단부(13)가 삽입되는 소켓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류측에 위치하는 하수도관의 타단부(13)을 하류측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소켓부(14)에 삽입하는 상태로 지중에 매설된다.
여기서 하수도관(10)이 매설된 지반이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수도관(10)이 침하하게 되어 하수도관(10)의 연결이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등에 의하여 누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누수는 연약지반을 더욱 취약하게 하여 하수도관(10)의 침하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98769호(2006.07.03. 등록)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하부에 침하방지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하수도관의 침하 및 붕괴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9403호(2006.08.25. 등록)는 하부면이 평평하여 지면에 닿는 면적이 크도록 형성하고, 그 상부측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수도관이 지반 내에 매설될 때 토사에 의하여 받는 하중이 작도록 하여 연약지반에서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 설치구조"(이하, '선행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연약지반에 설치한 경우 침하방지 구조물 자체도 침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하수도관의 침하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선행기술 2는 하부면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연약지반에 시공하였을 경우에는 침하현상의 방지 효과가 미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수도관을 연약지반에 설치함에 있어서 하수도관의 침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98769호(2006.07.03. 등록)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9403호(2006.08.25. 등록)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 설치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에 하수도관을 설치함으로써 하수도관의 침하는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하수도관의 양변을 따라 관입되어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포장두께만큼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과;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되는 관입공에 주입되어 경화된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와;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의 안쪽을 하수도관 매립 깊이로 굴착된 터파기공과; 상기 터파기공의 바닥에 관입되어 상단이 터파기공의 바닥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과;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된 관입공에 주입되어 경화된 관로바닥 그라우팅재와;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의 상단에 안착되어 하수도관을 지지하며 양변에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반원형 삽입홈과, 상기 반원형 삽입홈의 주위에 형성된 몰탈주입홈이 형성되는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상기 몰탈주입홈에 주입되어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를 결합하는 시멘트몰탈과;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의 상단 높이에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봉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단지지브래킷과; 상기 터파기공 내에 되메워져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하수도관 복개하는 되메움토양; 및 상기 되메움토양의 상부에 포설되는 포장;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에 의하면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를 설치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한 다음, 터파기공의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의 상단에 하수도관 지지블록을 안착함과 아울러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에 시멘트몰탈에 의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하수도관 지지블록에 하수도관을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하수도관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하수도관 지지블록을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의 상단에 지지되는 상단지지브래킷에 복수개의 지지봉으로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과 하수도관의 침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에 의하여 하수도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에 의하여 하수도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4는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과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의 관입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하수도관 지지블록을 하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상단지지브래킷을 하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종래 하수도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는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하수도관(10)의 양변(兩邊)을 따라 관입되어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포장두께만큼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과;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되는 관입공(H1)에 주입되어 경화된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와;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안쪽을 하수도관(20) 매립 깊이로 굴착된 터파기공(300)과; 상기 터파기공(300)의 바닥에 관입되어 상단이 터파기공(300)의 바닥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된 관입공(H2)에 주입되어 경화된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와;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에 안착되어 하수도관(10)을 지지하며 양변에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반원형 삽입홈(610)과, 상기 반원형 삽입홈(610)의 주위에 형성된 몰탈주입홈(620)이 형성되는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상기 몰탈주입홈(620)에 주입되어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를 결합하는 시멘트몰탈(700)과;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상단 높이에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지봉(800)과;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봉(800)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단지지브래킷(900)과; 상기 터파기공(300) 내에 되메워져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하수도관(10)을 복개하는 되메움토양(1000); 및 상기 되메움토양(1000)의 상부에 포설되는 포장(1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관로양변 파일본체(110)와, 나선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로양변 파일본체(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헬릭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로양변 파일본체(110)와 헬릭스(12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관로양변 파일본체(110)의 하단에는 지반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헤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헤드부(130)는 별도의 초경합금 재질의 비트를 가지는 헤드를 결합할 수도 있으며, 관로양변 파일본체(110)의 하단부를 45~60도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첨예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관입은 백호우(backhoe)에 장착된 유압회전장치를 이용한 통상적인 헬리컬앵커파일 관입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은 최초 상단에 유압회전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헤드(140)가 구비되는 것인데, 도면에서는 관입 후 두부(頭部) 정리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는 그라우팅용 시멘트 밀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는 관입공(H1)의 상단에서 주입되며 관입공(H1)의 내주면과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서 굴착된 토양과 혼합되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터파기공(300)은 통상적인 백호우(backhoe)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하수도관(10)이 매설될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외주면의 절반이 터파기공(300)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관로바닥 파일본체(410)와, 나선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로바닥 파일본체(4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헬릭스(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로바닥 파일본체(410)와 헬릭스(42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관로바닥 파일본체(410)의 하단에는 지반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헤드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헤드부(430)는 별도의 초경합금 재질의 비트를 가지는 헤드를 결합할 수도 있으며, 관로바닥 파일본체(410)의 하단부를 45~60도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첨예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의 관입은 백호우에 장착된 유압회전장치를 이용한 통상적인 헬리컬앵커파일 관입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은 최초 상단에 유압회전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헤드(440)가 구비되는 것인데, 도면에서는 관입 후 두부 정리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는 그라우팅용 시멘트 밀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는 관입공(H2)의 상단에서 주입되며 관입공(H2)의 내주면과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서 굴착된 토양과 혼합되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의 상면에는 하수도관(1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수도관 지지홈(630)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하수도관(10)은 관부(11)와 상기 관부(11)의 일단부(12)에 일체로 형성되어 관부(11)의 타단부(13)가 삽입되는 소켓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하수도관의 타단부(13)를 하류측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소켓부(14)에 삽입하는 상태로 시공된다.
따라서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의 하수도관 지지홈(630)은 하류측 하수도관(10)의 관부(11)의 일단부(1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지지홈(631)과, 하류측 하수도관(10)의 소켓부(14)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 지지홈(632) 및, 상류측 하수도관(10)의 관부(11)의 타단부(13)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3 지지홈(63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의 하면에는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면결합홈(640)이 형성되어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이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멘트몰탈(700)은 통상적인 시멘트몰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800)은 하단부를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에 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에 결합하거나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에 결합공(650)을 형성하고 지지봉(800)의 하단부에 나사부(810)를 형성하여 결합공(650)에 지지봉(800)의 하단부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나사부(810)에 너트(82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800)의 상단부에 나사부(830)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지지브래킷(900)에 결합공(910)을 형성하여 결합공(910)에 지지봉(800)의 상단부를 관통시키고 나사부(830)에 너트(84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브래킷(900)의 하면에는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 및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920)이 형성되어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 및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에 대한 상단지지브래킷(9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되메움토양(1000)은 터파기공(300)을 굴착한 토양을 사용하여 되메울 수도 있으나,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경우 굴착한 토양을 되메울 경우 지반이 취약한 상태로 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이 아닌 곳에서 채취한 토양을 사용하여 되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1100)은 시공장소에 따라 통상적인 자동차 도로나 인도 또는 산책로 등의 포장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 하수도관 지지블록(600), 시멘트몰탈(700), 지지봉(800), 상단지지브래킷(900)을 상류측 하수도관과 하류측 하수도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수도관(10)이 설치되는 하수관로 전체에 걸쳐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는 하수도관(10)이 매설되는 하수도관로의 양변을 따라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이 관입되고,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되는 관입공(H1)과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 사이에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안쪽을 하수도관(10)의 매립 깊이로 굴착된 터파기공(300)의 바닥에 상단이 터파기공(300)의 바닥에 위치하는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을 관입하고,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의 관입 과정에서 형성되는 관입공(H2)과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 사이에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를 주입하여 경화시킴과 아울러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에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을 안착시키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 상에 하수도관(10)을 지지함으로써 연약지반에 하수도관(10)을 매설하는 경우, 하수도관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의 반원형 삽입홈(610)에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반원형 삽입홈(610)의 주위에 형성된 몰탈주입홈(620)에 시멘트몰탈을 주입하여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외주면을 접합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하수도관(1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면결합홈(640)에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하수도관(10)을 지지하는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하수도관(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의 상면에는 하류측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관부(11)의 일단부(1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지지홈(631)과, 하류측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소켓부(14)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 지지홈(632) 및, 상류측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관부(11)의 타단부(13)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3 지지홈(633)을 가지는 하수도관 지지홈(6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수도관(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지지브래킷(900)을 구비하고,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상단지지브래킷(900)을 복수개의 지지봉(800)으로 연결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을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하수도관(10)의 침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는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를 설치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한 다음, 터파기공(300)의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에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을 안착함과 아울러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에 시멘트몰탈(700)에 의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에 하수도관(10)을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하수도관(1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을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상단지지브래킷(900)에 복수개의 지지봉(800)으로 지지함으로써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하수도관(10)의 침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수도관 11 : 관부
12 : 일단부 13 : 타단부
14 : 소켓부 100 :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
200 : 관로양변 그라우팅재 300 : 터파기공
400 :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 500 : 관로바닥 그라우팅재
600 : 하수도관 지지블록 700 : 시멘트몰탈
800 : 지지봉 900 : 상단지지브래킷
1000 : 되메움토양 1100 : 포장

Claims (1)

  1.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하수도관(10)의 양변(兩邊)을 따라 관입되어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포장두께만큼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과;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되는 관입공(H1)에 주입되어 경화된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와;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안쪽을 하수도관(20) 매립 깊이로 굴착된 터파기공(300)과; 상기 터파기공(300)의 바닥에 관입되어 상단이 터파기공(300)의 바닥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의 관입과정에서 형성된 관입공(H2)에 주입되어 경화된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와; 상기 관로바닥 헬리컬앵커파일(400)과 관로바닥 그라우팅재(500)의 상단에 안착되어 하수도관(10)을 지지하며 양변에 상기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반원형 삽입홈(610)과, 상기 반원형 삽입홈(610)의 주위에 형성된 몰탈주입홈(620)이 형성되는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상기 몰탈주입홈(620)에 주입되어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관로양변 그라우팅재(200)를 결합하는 시멘트몰탈(700)과;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상단 높이에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지봉(800)과; 상기 관로양변 헬리컬앵커파일(10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봉(800)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단지지브래킷(900)과; 상기 터파기공(300) 내에 되메워져 상기 하수도관 지지블록(600)과 하수도관(10)을 복개하는 되메움토양(1000); 및 상기 되메움토양(1000)의 상부에 포설되는 포장(11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KR1020160065052A 2016-05-26 2016-05-26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KR10167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52A KR101674117B1 (ko) 2016-05-26 2016-05-26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52A KR101674117B1 (ko) 2016-05-26 2016-05-26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117B1 true KR101674117B1 (ko) 2016-11-10

Family

ID=5748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052A KR101674117B1 (ko) 2016-05-26 2016-05-26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617A (zh) * 2019-07-05 2019-10-01 浙江海洋大学 一种软土地基加强结构
CN110644497A (zh) * 2019-09-18 2020-01-03 长安大学 一种软土地基深基坑支护装置
KR102186630B1 (ko) * 2020-08-18 2020-12-03 청원건설(주)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CN114517491A (zh) * 2022-02-21 2022-05-20 蒋水青 一种预制装配式管道基础及其装配方法
CN114718116A (zh) * 2021-01-05 2022-07-08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不良地质条件下市政管网施工支护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748A (ja) * 1997-08-29 1999-03-16 Dia Consultant:Kk 軟弱地盤における地下構造物周囲の構築体及びその構築工法
JP2001207452A (ja) * 2000-01-28 2001-08-03 Nkk Corp 管の埋設工法
KR100598769B1 (ko) 2005-12-19 2006-07-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0619403B1 (ko) 2005-11-24 2006-09-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JP2007023603A (ja) * 2005-07-15 2007-02-01 Shinmei Sangyo:Kk 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方法とその装置
KR100676681B1 (ko) * 2005-11-19 2007-02-01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748A (ja) * 1997-08-29 1999-03-16 Dia Consultant:Kk 軟弱地盤における地下構造物周囲の構築体及びその構築工法
JP2001207452A (ja) * 2000-01-28 2001-08-03 Nkk Corp 管の埋設工法
JP2007023603A (ja) * 2005-07-15 2007-02-01 Shinmei Sangyo:Kk 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方法とその装置
KR100676681B1 (ko) * 2005-11-19 2007-02-01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619403B1 (ko) 2005-11-24 2006-09-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598769B1 (ko) 2005-12-19 2006-07-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617A (zh) * 2019-07-05 2019-10-01 浙江海洋大学 一种软土地基加强结构
CN110644497A (zh) * 2019-09-18 2020-01-03 长安大学 一种软土地基深基坑支护装置
CN110644497B (zh) * 2019-09-18 2021-05-04 长安大学 一种软土地基深基坑支护装置
KR102186630B1 (ko) * 2020-08-18 2020-12-03 청원건설(주)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CN114718116A (zh) * 2021-01-05 2022-07-08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不良地质条件下市政管网施工支护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CN114517491A (zh) * 2022-02-21 2022-05-20 蒋水青 一种预制装配式管道基础及其装配方法
CN114517491B (zh) * 2022-02-21 2024-03-29 蒋水青 一种预制装配式管道基础及其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117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US10550537B2 (en) Self-drainage anchor cable system for slope prot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3046565B (zh) 超深岩基深基坑降排水方法
JP5882143B2 (ja) 地下構造物の浮上防止杭及び地下構造物の浮上防止工法
JP2007197989A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構造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KR101954105B1 (ko) 상하수도관로 침하방지구조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CN107724405A (zh) 一种地埋管施工中管地基降水施工方法
KR20100030293A (ko) 매설관의 매설방법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JP4705468B2 (ja) 抑止機能付集排水パイプ
KR200413256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JP2004278287A (ja) 透水性鋼管山留め式擁壁構造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524136B1 (ko) 트렌치와 배수재를 이용한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체 및그의 구축방법
JP2007132072A (ja) 浮上がり防止用マンホール
KR200414315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이음 구조
KR101577187B1 (ko) 상하수도관로 침하방지구조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100639253B1 (ko) 하수도 침하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