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776B1 -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776B1
KR101748776B1 KR1020160117523A KR20160117523A KR101748776B1 KR 101748776 B1 KR101748776 B1 KR 101748776B1 KR 1020160117523 A KR1020160117523 A KR 1020160117523A KR 20160117523 A KR20160117523 A KR 20160117523A KR 101748776 B1 KR101748776 B1 KR 10174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housing
sealing memb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흥
Original Assignee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6011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침하방지용 받침구조물이 설치되어 하수도관이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하방지구조물은 하수도관의 설치방향을 따라 연속/반복 설치되도록 연결홈과, 이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부 양측에 서로 연통되는 제1,2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방 상면에는 운반용 견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홈의 상부는 경사각(a)이 형성되며, 경사각(a)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연결돌기를 형성한 다수개의 받침플레이트; 및 이 받침플레이트들의 연결부위 상부에 삽입/결합되도록 하부에 받침플레이트를 연속/반복되게 설치할 때 서로 연통된 제1,2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수도관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호형의 홈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수도관은 내측으로 하수도관이 슬립/이동되며, 단부 외주면에 일주하여 걸림돌조를 형성한 관상 중공의 연결관체와; 저부가 개방되고 내측으로 제1공간을 이루며, 그 일측에 연결관체의 걸림돌조와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턱부,걸림홈부 및 제2공간을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한 하우징과; 하우징내 제1공간에 위치하여 연결관체와 하수도관사이에서 누설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밀착/내설되며,연결관체내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유체압력으로 가압되는 제3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연결관체에 밀봉/접촉하도록 밀착날개를 형성하고, 요철부를 형성한 실링부재와; 실링부재를 가압/조절하도록 하우징에 수직/설치되는 조절볼트; 및 조절볼트와 실링부재사이에 삽입축으로 연결된 판체를 형성한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Portion Anti-settlement Apparatus for use of drain pipe of softground}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천변과 같은 연약지반이나 침출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구간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의 침하방지구조물을 설치하여 하수도관의 하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도관과 하수도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관체(조인트부분의 연결부분이며,이하,연결관체라고 함)에서 침하에 따라 하수도관의 전,후 슬립 및 소정 각도에서의 회전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도관의 침하시 슬립,회전으로 완충시켜 하수도관의 파손 및 침하방지 수단의 붕괴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1)에 기초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그 기초콘크리트(2) 위에 다수의 하수관(3)을 연결 설치하게 되는 바, 기초콘크리트(2)가 지반(1)이 연약한 부위에 설치될 경우에는 연약 지반이 침하하여 하수관(3)의 이음부가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하고, 이 누수된 부분으로 지반(1)의 토사가 침투하여 하수관(3)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0598769호에서는 지하수관 그리고 전기통신관 등의 다수의 하수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서 하수도관를 매설하는 구조를 제공하였다. 이렇게 연결 설치되는 관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땅을 소정의 깊이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하고, 관과 관이 수평한 상태에서 이음부(이하 연결관체라고도 함)가 긴밀하게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바닥면을 고르게 굴삭작업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굴삭된 홀에 다수의 관을 연결하여서 전술한 하수도관 및 전기통신하수관로 등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수도관 그리고 전기통신관 등을 매설할 경우, 관이 매설되어지는 홀 바닥면이 고르지 못해 관과 관의 수평유지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관 받침구조를 구현하지만 관이 매설된 지점의 지반 약화로 부등침하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흄관은 물론 PVC관의 이음새의 이탈과 관 크랙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점은 대부분 막지 못한다.
일정한 깊이의 지하에 매설되는 도관등의 매설작업은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도관을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연결관체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고, 이곳에 도관 구조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매몰하므로써 매설 작업을 완료하지만,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하수도관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는 토사를 다져 토사들간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도관이 매설된 지면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하므로써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인한 하수도관의 파손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우수가 지하의 일정 장소에서 오랫동안 정체되거나 특정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침식시키므로써 도관을 지지하는 기반이 붕괴되거나 약화되어 도관의 일부분이 내려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도관의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휨 등이 발생되면서 도관의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되며, 이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된 부분으로 누수 및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지반 약화가 의심되는 부분에서는 침하방지수단들을 강구하고 있으나, 대부분 하수도관의 하측에 별도의 받침수단을 마련하고 있을 뿐 하수도관 자체의 침하방지수단은 전혀 강구되어 있지 않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위에서 제안한 하수도관의 하측 지반의 침하방지수단에 더하여 하수도관의 연결구조를 새롭게 마련하여 어떠한 지반침하가 이루어지더라도 하수도관에 가해지는 전,후,좌,우의 슬립 및 회전에 의하여 이를 완충,흡수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완충,흡수 장치가 그동안 알려진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지반침하 방지구조물(등록특허 10-0598769호)등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 방지방식에서 하수도관자체의 침하 충격을 전,후 혹은 좌,우로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는,
상기 침하방지구조물은 하수도관의 설치방향을 따라 연속/반복 설치되도록 연결홈과, 이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부 양측에 서로 연통되는 제1, 2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방 상면에는 운반용 견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홈의 상부에는 그 내부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각(a)이 형성되며, 경사각(a)에 대응하는 동일한 경사면을 연결돌기에 형성한 다수개의 받침플레이트와; 이 받침플레이트들의 연결부위 상부에 삽입/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연속/반복되게 설치시 서로 연통된 제1, 2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안착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하수도관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호형(弧形)의 홈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도관은,
내측으로 하수도관이 슬립/이동되며, 단부 외주면에 일주하여 걸림돌조를 형성한 관상 중공의 연결관체와; 저부가 개방되고 내측으로 제1공간을 이루며, 그 일측에 연결관체의 걸림돌조와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턱부,걸림홈부 및 제2공간을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 제1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하수도관사이에서 누설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밀착/내설되며, 상기 연결관체내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유체압력으로 가압되는 제3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연결관체에 밀봉/접촉하도록 밀착날개를 형성하고, 요철부를 형성한 실링부재와; 이 실링부재를 가압/조절하도록 하우징에 수직/설치되는 조절볼트; 및 조절볼트와 실링부재사이에 삽입축으로 연결된 판체를 형성한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로서 달성된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위에서 제안한 하수도관의 하측 지반의 침하방지수단에 더하여 하수도관의 연결구조를 새롭게 마련하여 어떠한 지반침하가 이루어지더라도 하수도관에 가해지는 전,후,좌,우의 슬립 및 회전에 의하여 이를 완충,흡수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동안 알려진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지반침하 방지구조물(등록특허 10-0598769호)등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 방지방식에서 하수도관자체의 침하 충격을 전,후 혹은 좌,우로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삭제
도 1은 종래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를 개선한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전체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하수도관을 생략한 받침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개략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방지장치 이음부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제2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제2방향 요부확대도이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2a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개선된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전체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하수도관을 생략한 침하방지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는 콘크리트 하수도관의 침하방지구조물(100)을 가지며, 연속반복된 연결관계를 갖도록 시공되는 하수도관(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수도관(10)의 설치방향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연속/반복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플레이트(110)와, 상기 하수도관(10)이 안착됨과 아울러 안착된 하수도관(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110)는 설치방향을 따라 연속/반복 설치되도록 전방측에는 연결홈(111)을 형성하고, 후방측에는 연결돌기(113)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홈(111)은 그 상부에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의 내부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각(a)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13)는 그 상부에 상기 연결홈(111)에 용이하게 삽입/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각(a)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경사면(114)이 형성된다. 상부 양측에 서로 연통되는 제1,2결합홈(115a,115b)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방 상면에는 받침플레이트(110)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용 견인고리(117)를 형성한다.
또한, 받침플레이트(110)의 상부 양측에는 제1결함홈(115a)과 제2결합홈(115b)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 전/후방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11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크레인(미도시)등과 같은 운반장비에 결합하는 운반용 견인고리(117)가 마련된다.
안착플레이트(120)는 전체적으로 판상체의 형상을 갖으며, 그 하부에 안착돌기(121)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상기 하수도관(10)을 안착시 상기 하수도관(10)의 외주면과 면밀히 밀착될 수있도록 호형(弧形)의 홈(123)이 일체로 형성된다. 받침플레이트(110)들의 연결부위 상부에 삽입/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을 연속/반복되게 설치시 서로 연통된 제1, 2 결합홈(115a,115b)에 삽입/결합되는 안착돌기(121)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하수도관(1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호형(弧形)의 홈(123)이 형성된다.
삭제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이음부"가"부의 개략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이음부 "나"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이음부 "나"부 요부확대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이음부"가"부는, 크게 연결관체(200)와, 상기 연결관체(200)의 내측면으로 외주면이 슬립/접촉되면서 삽입되는 하수도관(10)에 연결되는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는 실링부재(220)과,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수직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조절하는 조절볼트(230)로 이루어진다.
연결관체(200)는 내측으로 하수도관(10)이 슬립/이동되며, 단부 외주면에 일주하여 걸림돌조(203)를 형성한 관상 중공의 원통형을 이룬다.
하우징(210)은 저부가 개방되고 내측으로 제1공간(211)을 이루며, 그 일측에 연결관체(200)의 걸림돌조(203)와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턱부,걸림홈부(214,215) 및 제2공간(213)을 형성한 연결부(212)를 형성한다.
실링부재(220)는 하우징(210)내 제1공간(211)에 위치하여 연결관체(200)와 하수도관(10)사이에서 누설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밀착/내설되며,연결관체(200)내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유체압력으로 가압되는 제3공간(222)을 형성하고, 동시에 연결관체(200)에 밀봉/접촉하도록 밀착날개(224)를 형성하고, 요철부(226)를 형성한다.
조절볼트(230)는 실링부재(220)를 가압/조절하도록 하우징(210)에 수직/설치된다.
가압플레이트(240)는 조절볼트(230)와 실링부재(220)사이에 삽입축(241)으로 연결된 판체(242)를 형성한다.
하우징(210)은 연결관체(200)의 양단에 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240)는 적어도 2개의 반원형조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도관의 침하방지구조물에 대한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다수개의 받침플레이트(110)들을 하수도관(10)의 연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연속/반복되게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의 연결돌기(113)는 그 다음 단계에 연결되는 받침플레이트(110)의 연결홈(111)에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홈(111)에는 경사각(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113)에는 경사면(1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113)를 연결홈(111)에 삽입/연결시 연결홈(111)의 입구측은 경사각(a)에 의하여 상/하로 높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연결돌기(113)의 단부는 경사각(a)에 대응하여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용이하게 삽입/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서로 접하도록 연속/반복되게 설치된 받침플레이트(110)는 그 상부에 형성된 제1,2결합홈(115a,115b)이 서로 연통되는 연결관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된 제1,2결합홈(115a,115b)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의 안착돌기(121)가 삽입/결합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연결관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도관의 침하방지구조물은 하천변과 같은 연약지반이나 침출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구간에서도 상기 하수도관의 하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구간에 설치되는 하수도관이 소정기간 경과 후 발생하는 하수도관의 붕괴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 2a 내지 도 2b는 개선된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전체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하수도관을 생략한 침하방지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 도 2a,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하수도관의 침하방지구조물(100)을 지면(S)에 시공하기 이해서는 먼저, 하수도관(10)을 매설하기 위한 지면굴착작업을 시행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굴착작업이 시행된 부위의 상면에 상기 받침플레이트(110)들을 서로 접하도록 연속/반복되게 설치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연속/반복되게 설치된 받침플레이트(110)들의 제1, 2 결합홈(115a,115b)에 안착플레이트(120)의 안착돌기(121)를 삽입/결합한다. 이후,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하수도관(10)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하수도관(10)을 안착시키면, 상기 하수도관(10)의 외주면은 상기 안착플레이트(120)의 호형 홈(123)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이 서로면밀한 밀착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하수도관(10)이 안착플레이트(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하수도관(10)의 삽입부(30)는 다수개의 안착플레이트(120)와 안착플레이트(120)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지면(S)에 매설되는 하수도관(10)의 하부에 서로 견고한 연결관계를 갖는 별도의 침하방지구조물(1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수도관(10)의 하부를 견고히 지지함과 동시에 하수도관의 시공 후 지면에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하수도관이 이탈하거나 붕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다음으로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의 이음부 "가"를 설명한다.
즉,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개략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방지장치 이음부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도 6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제2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이음부의 제2방향 요부확대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는 양단부 외주면에 일주하여 걸림돌조(203)를 형성한 관상 중공의 연결관체(200)와, 상기 연결관체(200)의 내측면으로 슬립/접촉되면서 관착되는 하수도관(10)와, 이들 하수도관(10)이 상기 연결관체(200) 내부로 이동함과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이동되도록 이들 사이를 밀봉/연결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내 제1공간(211)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체(200)와 하수도관(10) 사이에서 누설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밀착/내설되는 실링부재(220)와, 상기 실링부재(220)을 가압/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수직/설치되는 조절볼트(230)와, 가압플레이트(240)로 이루어진다.
삭제
본 발명은 연결관체(200)와 하우징(210)의 조립연결 구조만으로 연결부를 적용함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연결방식에 더하여 그 내부에 실링부재(220)을 가압하기 위한 조절볼트(230)만의 적용도 실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는 연결관체(200)와 실링부재(220) 및 조절볼트(230)를 구비한 하우징(210)의 걸림/연결방식에 더하여 제1공간(211) 내측에 가압플레이트(240)를 더 구비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압플레이트(240)는 상기 조절볼트(230) 하단에 접촉되는 삽입축(241)으로 연결되고 그 하방으로 판체(242)를 형성한다. 하우징(210)은 상기 연결관체(200)의 양단에 구현되며, 일측 단부에만 구현되는 구조로도 실시가능하다.
하우징(210)이 상기 연결관체(200)와 연결되는 조립구조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210)은 저부가 개방되고 내측으로 제1공간(211)을 이루며, 그 일측에 상기 연결관체(200)의 걸림돌조(203)와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홈부(215),걸림턱부(214) 및 제2공간(213)을 형성한 연결부(212)를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연결관체(200)의 상기 걸림돌조(203)는 연결관체(200)를 따라 간격을 두고 "ㄱ"형으로 꺾어진 스토퍼(20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10)은 저부에 실링부재(220)이 내삽되는 제1공간(211)과, 걸림돌조(203)가 위치하는 제2공간(213)을 형성하며, 상방으로는 상기 조절볼트(230)가 상,하동하면서 나사맞춤되도록 조임공간(216)을 형성한다. 조임공간(216)은 그 일부에 하우징(210)의 내저부 제1공간(211)과 관통되는 소정의 축공(도시생략)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220)은 연결관체(200) 내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압력으로 가압되는 제3공간(222)을 형성하며,실링부재(220)가 접촉하는 연결관체(200)와 하수도관(10)에 밀착하도록 양측으로 밀착날개(224)를 형성한다.
밀착날개(224)는 상기 제3공간(222)에 가해진 누설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밀착력을 갖는다. 아울러 실링부재(220)의 상면은 평면을 이루기도 하지만 상면에 요철부(226)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조절볼트(230)의 하단에 직접 접촉하거나 혹은 가압플레이트(240)의 판체(242)에 의하여 가압 될 때 슬립을 방지하여 접촉력을 밀접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는 연결관체(200)와 하우징(210)의 결합이 용접되지 않은 조립 연결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은 연결관체(200)에 형성된 걸림돌조(203)에 맞는 걸림홈부(215),걸림턱부(214)로서 연결하는 방식에 의하여 가능하며, 요돌조형의 연결부(212)는 결국 연결관체(200)와 하우징(210)간 상,하,좌,우 방향의 길이및 각도 조정이 가능한 완충공간을 보유하게 된다.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는 첨부 도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형슬립 작동과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이 동시에 작동되며, 특히, 연결관체와 배관부재사이에 용접없이 원형걸림돌조에 덮어씌워 조립하는 조립식의 슬립/회전 복합조인트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덮어씌우는 하우징과 연결관체의 결합은 하우징의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 후 용접하는 결합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210)을 먼저 연결관체(200)와 연결한 상태에서 현장 배관 상황에 따라 하수도관(10)의 내/외측으로 슬립이동이 가능하며, 설치상황에 따라서는 슬립과 동시에 약간의 굴곡이 있을 경우에도 하수도관(10)의 삽입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상기 연결관체(200)는 상기 조절볼트(230)를 구비한 적어도 1개의 호형 조각부재(215)로 연결되며, 가압플레이트(240)의 시점과 종점 사이에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간격(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압플레이트(240)는 2개의 반원형조각으로도 실시 가능하며, 4개 이상의 호형조각으로도 실시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수도관(10)이 슬립이동할 때 실링부재(220)의 제3공간(222)에는 연결관체(200)내 수압이 가해지면서 실링부재(220)의 양측 밀착날개(224)를 가압함으로서 밀착 유지되는 것이다.
연결관체(200)에 형성된 걸림돌조(203)에 맞는 걸림홈부(215),걸림턱부(214)로서 연결하는 방식에 의하여 요돌조형의 연결부(212)는 결국 연결관체(200)와 하우징(110)간 상,하,좌,우 방향의 길이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한 완충공간을 보유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단지 하수관의 하부에 받침수단만을 강구한 것과 달리 선형슬립 작동과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이 동시에 작동되며, 특히, 연결관체 사이에 용접없이 원형걸림돌조에 덮어씌워 조립하는 조립식의 슬립/회전 복합조인트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하우징(210)과 하수도관(10)이 연결된 상태에서 현장 배관 상황에 따라 연결관체(200)의 내/외측으로 하수도관(10) 슬립이동이 가능하며, 설치상황에 따라서는 슬립과 동시에 약간의 굴곡이 있을 경우에도 연결관체(200)의 삽입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는 작용도 발휘한다.
삭제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삭제
100:침하방지구조물, 110:받침플레이트, 111 : 연결홈,113:연결돌기,114:경사면, 117:견인고리,120:안착플레이트, 121:안착돌기, 123:홈, 10:하수도관, S:지면, a:경사각,10:하수도관,200:연결관체, 203:걸림돌조, 204:스토퍼, 210:하우징, 211,213:제1,제2공간,212:연결부, 214:걸림턱부, 215:걸림홈부, 220:실링부재, 222:제3공간, 230:조절볼트, 240:가압플레이트,

Claims (1)

  1. 콘크리트 하수도관의 침하방지구조물을 가지며, 연속반복된 연결,지지관계를 갖도록 설치되는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구조물은 하수도관의 설치방향을 따라 연속/반복 설치되도록 연결홈과, 이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부 양측에 서로 연통되는 제1,2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방 상면에는 운반용 견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홈의 상부에는 그 내부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각(a)이 형성되며, 이 경사각(a)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연결돌기에 형성한 다수개의 받침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들의 연결부위 상부에 삽입/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연속/반복되게 설치할 때 서로 연통된 제1,2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수도관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호형(弧形)의 홈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도관은,
    내측으로 하수도관이 슬립/이동되며, 단부 외주면에 일주하여 걸림돌조를 형성한 관상 중공의 연결관체;
    저부가 개방되고 내측으로 제1공간을 이루며, 그 일측에 연결관체의 걸림돌조와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턱부,걸림홈부 및 제2공간을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 제1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하수도관사이에서 누설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밀착/내설되며, 상기 연결관체내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유체압력으로 가압되는 제3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연결관체에 밀봉/접촉하도록 밀착날개를 형성하고, 요철부를 형성한 실링부재;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조절하도록 하우징에 수직/설치되는 조절볼트; 및
    상기 조절볼트와 실링부재사이에 삽입축으로 연결된 판체를 형성한 가압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관체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의 반원형조각이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연결관체 내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유체압력으로 가압되는 제3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20160117523A 2016-09-12 2016-09-12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174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23A KR101748776B1 (ko) 2016-09-12 2016-09-12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23A KR101748776B1 (ko) 2016-09-12 2016-09-12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776B1 true KR101748776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23A KR101748776B1 (ko) 2016-09-12 2016-09-12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668A (zh) * 2020-09-22 2020-12-18 齐力建设集团有限公司 市政道路防沉降检查井井盖及其快速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50A (ja) * 2001-04-09 2002-10-23 Suiken:Kk 管継ぎ手
KR100598769B1 (ko) * 2005-12-19 2006-07-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JP2010270847A (ja) * 2009-05-22 2010-12-02 Cosmo Koki Co Ltd 移動防止手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50A (ja) * 2001-04-09 2002-10-23 Suiken:Kk 管継ぎ手
KR100598769B1 (ko) * 2005-12-19 2006-07-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JP2010270847A (ja) * 2009-05-22 2010-12-02 Cosmo Koki Co Ltd 移動防止手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668A (zh) * 2020-09-22 2020-12-18 齐力建设集团有限公司 市政道路防沉降检查井井盖及其快速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37B2 (en) Self-drainage anchor cable system for slope prot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80060852A (ko)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KR101674117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KR100790547B1 (ko) 강관 추진 공법을 위한 추진기지 구축방법
JP3789127B1 (ja) 耐震構造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101807366B1 (ko) 논리턴밸브조립체 삽입유도관 일체형의 오버랩 원통부재와 이를 이용한 주열식 차수벽 시공방법
KR100673057B1 (ko) 지하 매설용 합성수지관체
KR102237058B1 (ko) 암반층 차수용 합성파일 차수벽체 시공방법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US5189861A (en) Sewer chimney coupling and method of building a sewer chimney
KR101872913B1 (ko) 어스 앵커용 차수 패커
KR100328473B1 (ko)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KR102101585B1 (ko) 하수관 침하 방지용 기초 저판
KR100564997B1 (ko)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JP2985063B2 (ja) ケーソンプレハブ人孔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CN110185477B (zh) 隧道支护结构与隧道支护施工方法
KR102191503B1 (ko) 상부 및 하부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0688617B1 (ko) 저면이 평탄한 하수관
JP4954830B2 (ja) 横穴掘進機における継ぎ足し装置
CN210484903U (zh) 一种水泥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