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473B1 -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473B1
KR100328473B1 KR1019930012049A KR930012049A KR100328473B1 KR 100328473 B1 KR100328473 B1 KR 100328473B1 KR 1019930012049 A KR1019930012049 A KR 1019930012049A KR 930012049 A KR930012049 A KR 930012049A KR 100328473 B1 KR100328473 B1 KR 10032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age pipe
inlet
cement morta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167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경
Priority to KR101993001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473B1/ko
Publication of KR95000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을 접속시킬 때나 접속시킨 후에 나타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로 수평형, 수직형 보강대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외측관의 양측 부위에 연결용 시멘트 몰탈 투입구를 구멍형상이나 장방형 형상으로 천공한 뒤, 이에 시멘트 몰탈을 투입시켜 관과 관의 접속부위를 시멘트 몰탈에 의해봉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의 투입구로 철근골조를 삽입시킨 뒤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접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배수로관을 일자상으로 접속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T"형으로 배수로관을 접속시킬 때에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공을 하게되는 것인바, 강도가 높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이동 하중이나 집중하중을 극복할 수 있고, 수밀 유지가 완벽에 가깝도록 유지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외측관의 사이로 보강을 목적으로 설치되어지는 수평, 주직형 파형보강대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 배수로관을 상대방의 배수로관과 접속하는 데 있어서, 외측관의 요소요소에 투입구를 형성시킨 뒤 이에 시멘트 몰탈을 직접 투입시켜 양생시킴으로써 접속방법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의 투입구로 철근골조를 삽입 위치시킨 뒤 시멘트 몰탈을 투입함으로써 매우 튼튼하고 접속부위의 누수발생을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배수로관을 직선상으로 접속시키는 것은물론이고 시공여건에 따라서는 "T"자 형상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배수로관을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수밀성 및 견고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로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나선관이나 흄관인 경우 별도의 연결소켓이나 슬리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견고성이 취약하여 파손되는 일이 많았으며, 배수로관의 주위의 토양여건에 따라 작업조건이 매우 까다롭고 급기야는 작업조건이 변경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토양에 배수로관의 연결조립상태가 완벽하지 못한 경우에는 작은 양의누수가 계속되는 경우라도 토양의 강도가 매우 취약하게 되어 자체 중량을 못이긴배수관로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 등에 지하생수의 오염이 가중되어 온전한 식수로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며, 지하수가 역으로 유입되어 버리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 등을 초래하였으므로, 본인의 선발명 출원 제 92-5438호에 의하여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 등이 해결되었으나, 현장시공을 할 경우 시멘트 몰탈 작업을 배수로관 전체 구간을 투입토록 되어 있어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낮고, 또 시공 구간의 상황변화 등으로 추가공사로 분기관으로 "T"자 접속을 하는 경우 "T" 연결 접합이 어려운 점이있어 이의 효율적인 작업 및 보존을 위한 문제점을 단순화하는 방법출현이 요구되어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자체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고, 외부의 이동하중이나 일시적인 충격하중 등에 접속 부위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연결부위 만의 수밀유지를 완벽하게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관과 외측관의 사이로 수평형, 수직형 보강대를 형성시키고 있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외측관으로 투입구를구멍형상이나 장방형상으로 천공한 두 관의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투입시켜 관과 관의 접속부위를 시멘트 몰탈에 의해 봉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상기의 투입구로 철근골조들을 삽입시킨 뒤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접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수로관을 일자상으로 접속시키는 것은 뭍론이고 "T" 형으로 배수로관을 접속시킬 때에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공을 하면 본 발명이 제시하는 목적에 매우 적합하게 부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도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수로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 3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1도의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 5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 5도의 실시예시에 사용되는 철골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 2도의 실시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 8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 8도의 실시예시에 사용되는 철골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T"자 접속관으로 형성되는 실시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T"자 접속관으로 형성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T"자 접속관으로 결합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 제 14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관 2 - 내측관 3 - 수평형 파형보강대
4 - 투입구 5 - 고정용 철근 6 - 지지용 철근
7 - 결속구 8 - 외측 삽입공 9 - 내측 삽입공
11 - 외측관 12 - 내측관 13 - 수직형 파형보강대
14 - 투입구 15 - 고정용 철근 16 - 지지용 철근
17 - 연결용 칠사 18 - 거푸집 19 - 외측 삽입공
20 - 내측 삽입공 21 - 외측관 22 - 내측관
23 - 사각형 보강대 24 - 투입구 31 - 슬리브
32 - 지지대 33 - 패킹 34 - 고정용 너트
40 - 시멘트 몰탈 41 - 받침편 42 - 점착테이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단면도로서,
외측관(1)과 내측관(2)의 사이에는 수평형 파형 보강대(3)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측관(1)의 양측에는 시멘트 몰탈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4)가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내.외측관(1)(2)을 형성하고 있는 배수로관을 서로 직선상으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의 투입구(4)로 시멘트 몰탈을 투입하면 2개의 관이서로 접속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도 3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 도 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다만 내.외측관(12)(11)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보강대가 수직형 파형보강대(13)로이루어진 것이 다른 점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배수로관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접속방법이 나열되어 지는 바, 이러한 접속방법들을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먼저, 도 1과 같은 배수로관을 직선상으로 접속할 때에는 관과 관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접경부위에 접착테이프(42)를 부착하여 접속 틈새를 막은 다음 직접 투입구(4)로 시멘트 몰탈(40)을 투입시켜서 접속을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속부위의 강도유지를 위하여 이동하중이나 집중하중이 많이 미치는 지역의 배수로관을 접속할 때에는 도 7과 같은 철골을 삽입시켜 시멘트 몰탈(40)과 함께 타설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외측관(1)에 천공되어 있는 투입구(4)로 고정용 철근(5)을 삽입시킨 뒤,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용 철근(5)에는 지지용 철근(6)을 삽입하여 접촉부위를 결속부(7)에 의한 결속을 시킨다.
물론, 상기의 배수로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의 고정용 철근(5)이 내측관(12)과 외측관(11) 사이의 수평형 파형보강대(3) 사이사이의 공간을 관통하는 상태이므로 먼저 배수로관의 일측에 절단된 단면에서 철근을 삽입한 후 연결하는 타측의 단면에서 수평형 파형보강대(3)의 사이사이로 삽입시킨 뒤 지지용 철근(6)을 투입구 (4)로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상기의 투입구(4)로 시멘트몰탈(40)을 투입시키면 제 5도와 제 6도와 같은 견고한 상태의 접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접속부위를 시멘트 몰탈(40)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강도뿐만 아니라 수밀 유지가 매우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2
도 3과 같은 배수로관을 직선상으로 접속할 때에는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내.외측관 (12)(11)사이로 결합되어 있는 수직형 파형보강대(13)가 수직으로 입설되어 지기 때문에 철근골조의 삽입방법이 조금 상이하여지게 된다. 즉, 나선형으로 감겨져 설치되어 지는 수직형 파형보강대(13)의 사이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윈형사의 지지용 철근(16)은 장방형 투입구(14) 부위에서만 연결용 철사(17)를 결속하여 고정용 철근(15)으로 결속시키면 되는 것인 바, 이때 고정용 철근(15)은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구(14)의 외측, 그러니까 외측관(11)의 외주면과 밀착상대를 유지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지지용 철근(16)은 정확하게 수직형 파형보강대(13)의 사이사이로 위치되어 지는 것이고, 곧 이어서 실시되는 시멘트 몰탈(40)의 투입에 의해 접속부위를 메워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수로관의 접경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테이프(42)는 시멘트 몰탈 (40)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된 것이다.
실시예 3
외측관(21)과 내측관(22)의 사이에 사각형 보강대(23)를 형성하고 있는 도 11과 같은 배수로관에도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배수로관의 접속방법이 적용되어질 수 있는 바, 상기 외측관(21)의 양측 일부를 장방형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투입구(14)로 실시예 2와 같은 고정용 철근(15)과 지지용 철근(16) 그리고 연결용 철사(17)등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철근골조를 삽입한 뒤, 시멘트 몰탈 (40)을 투입구(14)로 투입시키면 도 11과 같은 접속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양쪽의 배수로관(21)을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받침판(41)은 배수로관의 회전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폐기되는 배수관의 조각인 것이다. 물론, 접착 테이프(42)는 관의 접경부의에 시멘트 몰탈(40)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프이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접속방법은 배수로관을 직선상으로 연결시킬 때 주로 사용되지만때로는 "T" 형상으로 접속할 때에는 주 배수로관의 외측관(11)과 내측관(12)에 외측삽입공(19)과 내측삽입공(20)을 천공하고, 내측삽입관(12')은 내측삽입공(20)으로 그리고 외측삽입관(11')은 외측삽입공(19)으로 삽입하고, 세로의 외측관(11) 상면을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14)에 시멘트 몰탈(40)이 투입되면서 경화되어 도 12와 같은 견고한 접속부위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의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보강대가 수평형 파형보강대(3)를 사용하고 있는 배수로관의 접속인 것이 상이한 것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상수도나 하수도 등과 같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외부의 이물질 등의 배수로관 내로 침투되지 못하게 하기 위하이 안출된 접속수단으로서 외측관(1)(11)과 내측관(2)(12)의 사이로 보강대가 형성되어있고, 이 보강대의 사이에는 보강고정용 철근(5)(15)이나 지지용 칠근(6)(16) 등이삽입된 상태로 시멘트 몰탈(40)이 투입되는 것은 상기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다만, 관과 관을 매우 매끄럽게 연결할 필요성이 있는 중요한 사안이므로 접속수단이약간은 복잡하여질 필요성이 있게 된다.
즉, "T"접속을 하기 전에 슬리브(31)를 내측 삽입공(9)(20)으로 삽입하여 접속되어지는 내측 삽입관(2)(12)과 연결을 시키고, 상기 슬리브(3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로 패킹(33)과 지지대(32) 그리고 고정용 너트(34)를 함께 결합하여 고정하면 내측관(2)(12)들의 결합이 매우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상태가 된다. 물론, 외측관(1)(11)은 외측삽입공(8)(19)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투입구(4)(14)로 시멘트 몰탈(40)을 투입하여 완성된접속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재 배수로관 및 그의 접속방법은 직성상의관접속은 물론이고, "T" 형의 관접속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며, 시멘트 몰탈과 철골에 의한 접속이므로 강도가 높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이동하중이나 집중하중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며, 시멘트 몰탈에 의한 접경부위의 봉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밀 유지가 완벽에 가깝도록 유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외측관(1)과 내측관(2)의 사이로 수평형 파형보강대(3)를 형성하고 있는 배수로관의 외측관(1)의 연결부위의 양측 요소에 여러 개의 투입구(4)를 천공하여 시멘트 몰탈(40)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외측관(11)과 내측관(12)의 사이로 수직형 파형보강대(13)를 형성하고 있는 배수로관의 외측관(11) 양측으로 장방형의 투입구(14)를 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로관의 외측관(1) 양측으로 천공되어 있는 여러 개의투입구(4)로 여러 개의 지지용 철근(6)을 삽입하여 동일하게 삽입되어지는 고정용철근(5)에 결속부(7)에 의한 결속 유지작용으로 시멘트 몰탈(40)의 충전시에 철근골조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형 파형보강대(3)를 내설하고 있는 외측관(1)과 내측관(2)에 외측 삽입공(19)과 내측삽입공(20)을 천공한 뒤 이에 접속되는 외측삽입관 (1')과 내측삽입관(2')을 삽입하여 투입구(4)로 시멘트 몰탈(40)을 투입함으로써 "T"형의 접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수직형 파형보강대(13)가 형성된 배수로관의 외측관(11) 양측에 장방형으로 천공되어 있는 투입구(14)로 여러 개의 지지용 철근(16)을 삽입하되, 연결용 철사(17)를 연결하여 투입구(14) 외측으로 위치되어 지는 고정용 철근(15)과 결속시키면 이들의 철골작용으로 시멘트 몰탈(40)의 충전시에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측관(11)과 내측관(12)에 외측삽입공(19)과 내측삽입공(20)을 천공한 뒤, 이에 접속되어지는 외측삽입관(11')과 내측삽입관 (12')을 삽입하여 투입구(14)로 시멘트 몰탈(40)을 주입함으로써 "T"형의 접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외측관(21)과 내측관(22) 사이의 수직형 파형보강대를 사각형 보강대(23)로 내설하고 있는 배수로관의 양쪽으로 장방형의 투입구(14)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투입구(14)를 통하여 여러 개의 지지용 철근(16)을 삽입하되, 연결용 철사(17)를 연결하여 투입구(14) 외측으로 위치되어지는 고정용 철근(15)과 결속시키면 이들의 철골작용으로 시멘트 몰탈(40)의 충전시에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KR1019930012049A 1993-06-30 1993-06-30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KR10032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049A KR100328473B1 (ko) 1993-06-30 1993-06-30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049A KR100328473B1 (ko) 1993-06-30 1993-06-30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167A KR950001167A (ko) 1995-01-03
KR100328473B1 true KR100328473B1 (ko) 2002-11-23

Family

ID=3747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049A KR100328473B1 (ko) 1993-06-30 1993-06-30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51B1 (ko) * 2010-09-03 2011-04-07 가창윤 강관 거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805B1 (ko) * 1993-11-19 2002-11-18 주식회사 삼영건설기술공사 합성수지재배수로관
KR100393554B1 (ko) * 2000-10-20 2003-08-09 최상민 다중관
KR100419384B1 (ko) * 2000-12-23 2004-03-04 씨엠엔지니어링(주) 배수로관용 보수 및 보강장치
KR20030083513A (ko) * 2002-04-23 2003-10-30 변무원 지중매설용 복층식 통수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51B1 (ko) * 2010-09-03 2011-04-07 가창윤 강관 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167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473B1 (ko)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CN210712934U (zh) 一种装配式综合管廊
KR100731173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0637048B1 (ko) 토목공사에서의 상,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345805B1 (ko) 합성수지재배수로관
KR200269769Y1 (ko) 콘크리트흄의 연결접속장치
KR20000002077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방법
KR200177905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JP4274898B2 (ja) 地下水流動保全工法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200298291Y1 (ko)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
KR100377690B1 (ko) 밸브실 시공 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JPH07127051A (ja) 連続地中壁施工用鉄筋篭の構造及びその建込み方法
KR200391844Y1 (ko) 암거 구조체
KR200381471Y1 (ko) 수로관 유니트
KR100518460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하수관용 보강 거푸집
KR200268564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200252804Y1 (ko) 배수관로용 보강 장치
KR20020095822A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KR100421462B1 (ko) 도로 공사용 u형 배수로관
KR100419384B1 (ko) 배수로관용 보수 및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