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630B1 -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630B1
KR102186630B1 KR1020200103117A KR20200103117A KR102186630B1 KR 102186630 B1 KR102186630 B1 KR 102186630B1 KR 1020200103117 A KR1020200103117 A KR 1020200103117A KR 20200103117 A KR20200103117 A KR 20200103117A KR 102186630 B1 KR102186630 B1 KR 10218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ir
safety
sewa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영
Original Assignee
청원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원건설(주) filed Critical 청원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10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은 지면을 개착하는 단계와, 지중에 흙막이 벽을 구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을 보수하는 단계와, 상기 흙막이 벽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을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이 매립된 지면을 포장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Water and sewag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배관공사는 도로 등에 신규 배관을 매설하거나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을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 도로를 개착하여 신규 배관을 매설할 공간을 확보하거나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이 드러나도록 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착한 공간이 주변 토사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류판과 토류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신규 배관을 개착한 공간으로 넣거나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을 지상으로 옮기는 작업은 굴착기 등의 중장비를 활용하여 이루어지지만 배관을 옮기기 위해 배관에 고정밴드를 체결하고 중장비에 연결하는 작업이나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작업은 개착한 공간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야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사다리를 지상과 개착한 공간을 잇도록 설치하여 사다리를 통해 개착한 공간에 들어가는 것이 통상적이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없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확률이 높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개착한 공간에 위치한 배관을 보호하는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작업자가 배관 상부를 직접 밟아 이동하거나 작업이 이루어져 배관에 무리가 가고, 작업자의 실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884호(2020.1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장비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하고, 휴대할 수 있는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은 지면을 개착하는 단계와, 지중에 흙막이 벽을 구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을 보수하는 단계와, 상기 흙막이 벽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을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이 매립된 지면을 포장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중에 흙막이 벽을 구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는 안전장비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장비는 상기 흙막이 벽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상과 상기 작업공간을 오가도록 하는 안전사다리와, 상기 흙막이 벽 및 상기 안전사다리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상하수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하수도관의 상부를 오가도록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흙막이 벽은 상기 작업공간 내에 기립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벽체유닛과,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벽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사다리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다수의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벽체유닛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고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발판은 상기 상하수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너비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를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수도관의 측면을 보호하는 고정펜스와, 상기 제2 본체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상기 안전사다리의 상기 수평부재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과 인접한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에는 상기 고정펜스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펜스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펜스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의 측면을 보호하는 펜스부와, 상기 펜스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펜스를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수평부재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수평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 본체의 측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1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회전부에 의해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지지유닛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 본체와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에 의하면, 공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전장비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하고,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이 적용된 현장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이 적용된 현장에 안전장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전장비의 안전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전장비의 안전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안전장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이 적용된 현장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은 지면(20)을 개착하는 단계(S110),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 작업공간(40)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50)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50)을 보수하는 단계(S130), 흙막이 벽(30)을 해체하는 단계(S14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을 매립하는 단계(S15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이 매립된 지면(20)을 포장하는 단계(S160)를 구비할 수 있다.
흙막이 벽(30)은 작업공간(40)의 양측에 위치하는 토사가 작업공간(4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규 상하수도관(50)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50)을 보수하는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상하수도관(50)을 보수하는 작업은 기존 상하수도관(50)을 수리하거나 신규 상하수도관(50)으로 교체하는 작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작업공간(40)에 설치되는 안전장비(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이 적용된 현장에 안전장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은 지면(20)을 개착하는 단계(S110),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 작업공간(40)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50)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50)을 보수하는 단계(S130), 흙막이 벽(30)을 해체하는 단계(S14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을 매립하는 단계(S15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이 매립된 지면(20)을 포장하는 단계(S16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는 안전장비(10)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의 안전장비(10)는 흙막이 벽(30)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상과 작업공간(40)을 오가도록 하는 안전사다리(100)와, 흙막이 벽(30) 및 안전사다리(10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하수도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수도관(50)의 상부를 오가도록 하는 안전발판(2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흙막이 벽(30)은 작업공간(40) 내에 기립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벽체유닛(31)과, 한 쌍의 벽체유닛(31)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벽체유닛(31)을 지지하는 지지유닛(32)을 구비할 수 있다.
벽체유닛(31)은 작업공간(40)을 따라 다수가 연결되어 하나의 군 형태를 이루어 작업공간(40)의 양측에 위치한 토사가 작업공간(4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유닛(32)은 다수가 작업공간(40)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벽체유닛(31)을 지지함과 동시에 장력을 가해 벽체유닛(31)이 주변 토사에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안전사다리(100)는 흙막이 벽(30)의 벽체유닛(31)과 연결되고, 안전발판(200)은 흙막이 벽(30)의 지지유닛(32) 및 안전사다리(100)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흙막이 벽(30)의 벽체유닛(31)과 연결된 안전사다리(100)는 벽체유닛(31)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흙막이 벽(30)의 지지유닛(32) 및 안전사다리(100)와 연결되는 안전발판(200)도 안전사다리(100)와 마찬가지로 지지유닛(32) 및 안전사다리(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전사다리(10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지상과 작업공간(40)을 안전하게 오고 갈 수 있고, 안전발판(200)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상하수도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벽(30)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비(10)의 안전사다리(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전장비의 안전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은 지면(20)을 개착하는 단계(S110),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 작업공간(40)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50)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50)을 보수하는 단계(S130), 흙막이 벽(30)을 해체하는 단계(S14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을 매립하는 단계(S15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이 매립된 지면(20)을 포장하는 단계(S16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는 안전장비(10)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안전장비(10)는 흙막이 벽(30)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상과 작업공간(40)을 오가도록 하는 안전사다리(100)와, 흙막이 벽(30) 및 안전사다리(10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하수도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수도관(50)의 상부를 오가도록 하는 안전발판(2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사다리(100)는 한 쌍의 수직부재(111)와 다수의 수평부재(112)를 구비하는 제1 본체(110)와, 한 쌍의 수직부재(111)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120)와, 한 쌍의 수직부재(111)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돌기(1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본체(1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다리와 유사한 형태로 구비되고, 연결고리(120)는 한 쌍의 수직부재(111)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 본체(110)가 벽체유닛(31)의 상단에 걸림과 동시에 벽체유닛(3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돌기(130)는 한 쌍의 수직부재(111)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공간(40)의 바닥면에 삽입됨으로써 제1 본체(110)가 작업공간(40)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안전사다리(100)를 설치할 시에는 고정 돌기(130)를 작업공간(40)의 바닥면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후 연결고리(120)를 제1 본체(110)의 상단에 걸음으로써 안전사다리(100)를 벽체유닛(31)에 연결할 수 있고, 해체할 시에는 안전사다리(100)를 상 방향으로 들어올려 고정 돌기(130)가 작업공간(40)의 바닥면에서 빼면서 연결고리(120)가 제1 본체(110)의 상단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다리(100)를 벽체유닛(31)으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고리(120)와 고정 돌기(130)를 통해 안전사다리(100)를 벽체유닛(31)에 설치 및 해체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본체(11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벽체유닛(31)과 작업공간(40)의 바닥면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지상과 작업공간(40)을 안전하게 오고 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비(10)의 안전발판(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전장비의 안전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안전장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은 지면(20)을 개착하는 단계(S110),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 작업공간(40)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50)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50)을 보수하는 단계(S130), 흙막이 벽(30)을 해체하는 단계(S14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을 매립하는 단계(S150), 작업공간(40) 및 상하수도관(50)이 매립된 지면(20)을 포장하는 단계(S16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에 흙막이 벽(30)을 구축하여 작업공간(40)을 확보하는 단계(S120)는 안전장비(10)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안전장비(10)는 흙막이 벽(30)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상과 작업공간(40)을 오가도록 하는 안전사다리(100)와, 흙막이 벽(30) 및 안전사다리(10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하수도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수도관(50)의 상부를 오가도록 하는 안전발판(2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발판(200)은 상하수도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 본체(210)와, 제2 본체(210)의 너비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고정펜스(220)와, 제2 본체(210)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230)와, 제2 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2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본체(210)는 격자형태의 강재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하수도관(5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고정펜스(220)는 제2 본체(210)의 너비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제2 본체(210)를 작업공간(40)의 바닥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2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하수도관(50)의 측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펜스(220)는 제2 본체(210)에 형성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고정펜스(220)를 제2 본체(210)에 고정하는 삽입부(221)와, 삽입부(22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하수도관(50)의 측면을 보호하는 펜스부(222)와, 펜스부(222)의 하단에 구비되어 고정펜스(220)를 작업공간(40)에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221)는 일정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공간(211)도 삽입부(221)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펜스부(222)는 제2 본체(210)와 마찬가지로 격자형태의 강재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본체(210)를 용이하게 지지하고, 상하수도관(50)의 측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정부(223)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가 펜스부(222)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돌기(230)는 제2 본체(210)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벽체유닛(31)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안전사다리(100)의 수평부재(11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돌기(230)는 수평부재(112)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231)와, 제1 결합부(231)와 결합하여 제2 본체(210)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232)와, 제1 연결부(232)와 제2 본체(210)를 연결하는 제1 회전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31)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부재(112)의 상단에 얹혀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회전부(233)는 제1 연결부(232)와 제2 본체(210)를 연결하고 제1 연결부(232)가 수평부재(112)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제2 본체(210)의 측면과 맞대어지도록 제1 연결부(232)를 회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안전발판(200)을 안전사다리(100)와 결합할 시에는 제1 연결부(232)를 수평부재(112)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해체 후에는 제2 본체(210)의 측면과 맞대어지도록 회전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233)의 일단에는 안전발판(200)을 안전사다리(100)와 결합하기 위해 제1 연결부(232)를 수평부재(112)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해 제1 연결부(232)를 회전시킬 시 제1 연결부(232)가 제1 회전부(233)에 의해 90도 이상 등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234)가 구비되어 제1 결합돌기(230)가 수평부재(112)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돌기(240)는 제2 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2 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과 인접한 지지유닛(32)에 안전발판(200)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돌기(240)는 지지유닛(32)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241)와, 제2 결합부(241)와 연결되어 제2 본체(210)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242)와, 제2 연결부(242)와 제2 본체(210)를 연결하는 제2 회전부(2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41)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유닛(32)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회전부(243)는 제2 연결부(242)와 제2 본체(210)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242)가 지지유닛(32)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제2 본체(210)의 측면과 포개어지도록 제2 연결부(242)를 회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안전발판(200)을 지지유닛(32)과 결합할 시에는 제2 연결부(242)를 지지유닛(32)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해체 후에는 제2 본체(210)에 포개어지도록 회전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본체(210)를 통해 상하수도관(50)의 상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펜스(220)를 통해 상하수도관(50) 측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2 본체(210)를 용이하게 지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돌기(230)와 제2 결합돌기(240)를 통해 안전발판(200)을 지지유닛(32)과 안전사다리(100)에 설치 및 해체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해체 후에는 제2 본체(210)에 밀착시켜 돌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안전장비 20: 지면
30: 흙막이 벽 31: 벽체유닛
32: 지지유닛 40: 작업공간
50: 상하수도관 100: 안전사다리
110: 제1 본체 111: 수직부재
112: 수평부재 120: 연결고리
130: 고정 돌기 200: 안전발판
210: 제2 본체 211: 삽입공간
220: 고정펜스 221: 삽입부
222: 펜스부 223: 고정부
230: 제1 결합돌기 231: 제1 결합부
232: 제1 연결부 233: 제1 회전부
234: 회전방지부 240: 제2 결합돌기
241: 제2 결합부 242: 제2 연결부
243: 제2 회전부

Claims (3)

  1. 지면을 개착하는 단계와,
    지중에 흙막이 벽을 구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내에 신규 상하수도관을 설치하거나 기존 상하수도관을 보수하는 단계와,
    상기 흙막이 벽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을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이 매립된 지면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중에 흙막이 벽을 구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는 안전장비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장비는 상기 흙막이 벽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상과 상기 작업공간을 오가도록 하는 안전사다리와, 상기 흙막이 벽 및 상기 안전사다리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상하수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하수도관의 상부를 오가도록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흙막이 벽은 상기 작업공간 내에 기립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벽체유닛과,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벽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사다리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다수의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벽체유닛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고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발판은 상기 상하수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너비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를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수도관의 측면을 보호하는 고정펜스와, 상기 제2 본체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상기 안전사다리의 상기 수평부재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과 인접한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에는 상기 고정펜스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펜스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펜스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의 측면을 보호하는 펜스부와, 상기 펜스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펜스를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수평부재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수평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 본체의 측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1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회전부에 의해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지지유닛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 본체와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3. 삭제
KR1020200103117A 2020-08-18 2020-08-18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KR10218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17A KR102186630B1 (ko) 2020-08-18 2020-08-18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17A KR102186630B1 (ko) 2020-08-18 2020-08-18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630B1 true KR102186630B1 (ko) 2020-12-03

Family

ID=7377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17A KR102186630B1 (ko) 2020-08-18 2020-08-18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426A (zh) * 2021-08-25 2021-11-02 北方国际合作股份有限公司 一种室外排水管道施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84Y1 (ko) 2002-07-08 2002-11-13 주식회사 백두엔지니어링 상하수도 배관공사용 안전커버
KR20160059275A (ko) * 2014-11-18 2016-05-26 강경식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KR101674117B1 (ko) * 2016-05-26 2016-11-10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84Y1 (ko) 2002-07-08 2002-11-13 주식회사 백두엔지니어링 상하수도 배관공사용 안전커버
KR20160059275A (ko) * 2014-11-18 2016-05-26 강경식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KR101674117B1 (ko) * 2016-05-26 2016-11-10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426A (zh) * 2021-08-25 2021-11-02 北方国际合作股份有限公司 一种室外排水管道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58B2 (en) Anti-ram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748258B1 (ko)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KR101751496B1 (ko) 경량의 복공판과 받침대를 매개로 한 개착식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공법
KR101990349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CN109695247B (zh) 深基坑临边临时管线综合排布系统及施工方法
US7661908B1 (en) Trench shield with adjustable vertical panels
KR102186630B1 (ko)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KR20100070864A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JP2012036720A (ja) 覆工パネルを用いる開削式掘削構造及び開削式掘削施工方法
KR20160059275A (ko)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CN106401613B (zh) 隧洞钢架支护施工方法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US20050141970A1 (en) Earth retaining safety framework and system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0837340B1 (ko) 지하 구조물 강관용 보강 조립체
KR102031734B1 (ko) 사각형 차집 관거용 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수방법
KR100930001B1 (ko) 상하수도 정비를 위한 토압 지지용 버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59728B1 (ko) 건축물 흙막이 구조
KR100680247B1 (ko) 지하 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 및 부등침하 방지 장치
KR100659396B1 (ko)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상하수도관의 지지구조
JP2000213026A (ja) 排水管の設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05207Y1 (ko) 도로용 가시설 설치대 구조
KR200244690Y1 (ko) 강관 매설 작업용 작업자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