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981B1 -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981B1
KR100538981B1 KR1020050088541A KR20050088541A KR100538981B1 KR 100538981 B1 KR100538981 B1 KR 100538981B1 KR 1020050088541 A KR1020050088541 A KR 1020050088541A KR 20050088541 A KR20050088541 A KR 20050088541A KR 100538981 B1 KR100538981 B1 KR 10053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protective case
soft ground
found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8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외연에 그 상수도관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를 설치하여 상부하중으로 인해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수도관(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14) 및 하부기초블록(11)으로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단부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조립형성되며, 하부의 기초블록(11)의 하단에 연결공(13)이 형성되는 보호케이스(10)와; 상기 하부기초블록(11)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핀(12)에 일측 단부가 끼워지고, 그 일측이 조립되는 상부덮개(14)와 하부기초블록(11)의 접촉면에 개재되어 주변토양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네트론망(16)과;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내부에서의 상수도관(1)의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충진되는 충격흡수부(15)과; 상기 하부기초블록(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공(13)에 끼움결합되어 보호케이스(10)를 연결설치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17);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Waterworks pipe protection structure for soft ground installation}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상수도관을 보호하기 위한 상수도관의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외연에 그 상수도관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를 설치하여 상부하중으로 인해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수도관을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고, 이곳에 상기 상수도관 구조물을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매몰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수도관의 매설을 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땅을 파서 그곳에 상수도관(1)을 넣은 후 다시 땅을 덮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상수도관(1)의 주변부에 위치되는 토사를 다져 토사들 간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상수도관(1)이 매설된 지면 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함으로서,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한 상수도관(1)의 파손위험이 최소화되었다.
하지만,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과 같은 연약지반에서는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는 상수도관(1)을 매설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한 시공법은 상수도관(1)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횡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극히 미약하므로, 상수도관(1)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로도 상수도관(1)이 쉽게 휘거나 뒤틀리면서 그 일부의 파손 및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지하의 활용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도, 상수도관(1)의 매설지와 지하공사현장이 상호 간섭되어, 공사중의 실수로 인해 지반이 붕괴되는 사고가 잦아졌다.
이와 같이, 상수도관(1)을 지지하는 지반이 붕괴되거나 약화되어 상수도관(1)의 일부분이 침하되게 되면, 상수도관(1)의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상수도관(1)의 일부에 파손 및 크랙 등이 발생 될 수 있었고 더불어, 파손 및 크랙이 발생 된 부분으로 누수 및 오염물질의 유입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외연에 그 상수도관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를 설치하여 상부하중으로 인해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상수도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 및 하부기초블록으로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단부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조립형성되며, 하부의 기초블록의 하단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보호케이스와;
상기 하부기초블록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핀에 일측 단부가 끼워지고, 그 일측이 조립되는 상부덮개와 하부기초블록의 접촉면에 개재되어 주변토양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네트론망과;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부에서의 상수도관의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충진되는 충격흡수층과;
상기 하부기초블록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공에 끼움결합되어 보호케이스를 연결설치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즉,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외연에 그 상수도관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를 설치하므로서, 상부하중으로 인해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보호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조가 적용된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내부에 상수도관(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는 상부덮개(14) 및 하부기초블록(11)을 구비한다.
이어, 상기 하부기초블록(11)의 양측 상단부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핀(12)에는 주변토양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네트론망(16)을 끼움 결합하되, 그 일측이 조립되는 상부덮개(14)와 하부기초블록(11)의 접촉면에 개재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하부기초블록(11)의 내측에는 상수도관(1)을 안착시킨 다음, 그 주변에는 상수도관(1)이 상부하중으로 인한 침하 또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15)을 충진토록 한다.
이때, 충격흡수부(15)으로 사용되는 재질로는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상수도관(1)에 무리를 주지않고 지지할 수 있는 모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하부기초블록(11)의 상부에는 상부덮개(14)를 그 각각의 단부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끼움결합하여 보호케이스(10)를 조립형성한다.
이어, 상기 하부기초블록(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공(13)에는 연통되는 상수도관(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10)를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플레이트(17)를 끼움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에 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도관(1)의 외연에 상수도관(1)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10)를 감싸도록 설치하므로서, 연약지반에서의 상수도관(1)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상부하중 등의 외력에 의한 상수도관(1)의 변형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덮개(14) 및 하부기초블록(11)으로 조립되는 보호케이스(10) 양측의 토양에는 식생을 위한 네트론망(16)을 하부기초블록(11) 상부의 체결핀(12)에 끼움결합하여 주변 토양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서, 네트론망(16)이 주변 토양을 지지하게 됨은 물론, 그 네트론망(16)에 잔디 등의 식물의 씨가 뿌리를 내리면서 식생하게 되어 주변토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연약지반을 보강하게 된다.
또, 상부덮개(14) 및 하부기초블록(11)으로 조립되어 상수도관(1)을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0)의 내부에는 모래 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관(1)에 무리를 주지않는 충격흡수부(15)을 형성하므로서, 상부하중으로 인한 침하 또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상수도관(1)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외연에 그 상수도관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를 설치하므로서, 상부하중으로 인해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관의 변형이나 파손 등으로 인한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보호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조가 적용된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상수도관 10 : 보호케이스
11 : 하부기초블록 12 : 체결핀
13 : 연결공 14 : 상부덮개
15 : 충격흡수부 16 : 네트론망
17 : 연결플레이트

Claims (1)

  1. 내부에 상수도관(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14) 및 하부기초블록(11)으로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단부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조립형성되며, 하부의 기초블록(11)의 하단에 연결공(13)이 형성되는 보호케이스(10)와;
    상기 하부기초블록(11)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핀(12)에 일측 단부가 끼워지고, 그 일측이 조립되는 상부덮개(14)와 하부기초블록(11)의 접촉면에 개재되어 주변토양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네트론망(16)과;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내부에서의 상수도관(1)의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충진되는 충격흡수부(15)과;
    상기 하부기초블록(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공(13)에 끼움결합되어 보호케이스(10)를 연결설치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20050088541A 2005-09-23 2005-09-23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053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541A KR100538981B1 (ko) 2005-09-23 2005-09-23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541A KR100538981B1 (ko) 2005-09-23 2005-09-23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981B1 true KR100538981B1 (ko) 2005-12-26

Family

ID=3730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541A KR100538981B1 (ko) 2005-09-23 2005-09-23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14B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669213B1 (ko) * 2006-07-12 2007-01-16 (주)정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KR100748065B1 (ko) 2007-02-09 2007-08-09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상수도관의 레일식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14B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669213B1 (ko) * 2006-07-12 2007-01-16 (주)정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KR100748065B1 (ko) 2007-02-09 2007-08-09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상수도관의 레일식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414B1 (ko)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673542B1 (ko) 지중케이블 보호구조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0672009B1 (ko) 상수도관 접합부 고정 장치구조
KR200368757Y1 (ko) 상수도관의 보호장치
KR100947049B1 (ko)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KR100584659B1 (ko) 상수도관의 롤러식 보호 구조물
JP2010024751A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プレート
KR100650147B1 (ko) 건축물 지중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405269B1 (ko)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KR100593172B1 (ko) 상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100654249B1 (ko) 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200413253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KR100659397B1 (ko) 수평토압과 수직토압에 견디기 용이한 하수관 연결구조
KR200344163Y1 (ko) 상하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JP7077600B2 (ja) ドレーン杭および液状化対策工法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100566668B1 (ko) 도로 사면용 슬라이딩 보강구조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748065B1 (ko) 상수도관의 레일식 연결구조
KR102565209B1 (ko) 상하수도, 도시계획 도로, 매립장 지반에 매립된 침출수 배출용 관거 보강 방법 및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