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211B1 -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211B1
KR102399211B1 KR1020210024439A KR20210024439A KR102399211B1 KR 102399211 B1 KR102399211 B1 KR 102399211B1 KR 1020210024439 A KR1020210024439 A KR 1020210024439A KR 20210024439 A KR20210024439 A KR 20210024439A KR 102399211 B1 KR102399211 B1 KR 10239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cuate
support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용
Original Assignee
박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용 filed Critical 박주용
Priority to KR102021002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mad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개의 상하수도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부가 수직압으로 인해 지지력을 잃고 휘어지거나 뒤틀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상하수도관; 상기 두 개의 상하수도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터파기한 지반의 표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와 체결되면서 상기 두 개의 상하수도관의 상기 연결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제2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하측 절반을 덮고 안착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 지지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연결부의 상측 절반을 덮고 안착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관 연결구조{WATER AND SEWAGE PIP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개의 상하수도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부가 수직압으로 인해 지지력을 잃고 휘어지거나 뒤틀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사용된 하수도 폐수를 원격지의 하수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 환경미화를 위해 지하에 매설되게 된다.
또한, 상하수도관은 콘크리트를 원재료 하여 만들어진 콘크리트 수도관(Hume pipe)이 널리 사용되며, 원거리에 하,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일정한 지름과 길이로 제작된 복수개의 상하수도관이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이 안착 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고, 이곳에 상기 상하수도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다시 매립하게 된다.
종래에는 단순히 땅을 파서 그곳에 상하수도관을 매립한 후 다시 흙을 덮는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심지의 경우에는 상하수도관의 주변부에 위치되는 토사를 다져 토사들 간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상하수도관이 매설된 지면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함으로써, 지반침하 및 붕괴로 인한 상하수도관의 파손 위험이 최소화 되었다.
따라서 상하수도관이 매설되게 시공함에 있어서 별도의 보강공사 없이도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상하수도관의 안정성에도 별문제는 없다.
하지만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 또는 일시적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도로 횡단지역에서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상하수도관은 수직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극히 취약하므로 상하수도관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시 상하수도관이 쉽게 휘거나 뒤틀리면서 그 일부의 파손 및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94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7668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수 개의 개의 상하수도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부가 수직압으로 인해 지지력을 잃고 휘어지거나 뒤틀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 연결구조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상하수도관; 상기 두 개의 상하수도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터파기한 지반의 표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와 체결되면서 상기 두 개의 상하수도관의 상기 연결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제2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하측 절반을 덮고 안착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 지지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연결부의 상측 절반을 덮고 안착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2 완충부의 상부를 덮고 안착되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제1 체결 벽체; 및 상기 상부 덮개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제2 체결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 벽체 및 상기 제2 체결 벽체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볼트 삽입홈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 탄성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완충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기어는,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휠;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 탄성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완충부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수 개의 개의 상하수도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부가 수직압으로 인해 지지력을 잃고 휘어지거나 뒤틀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하부 지지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2의 상부 지지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 연결구조(1)는, 두 개의 상하수도관(11, 12), 제1 커버부(20), 제2 커버부(30), 제1 완충부(40) 및 제2 완충부(50)를 포함한다.
상하수도관(11, 12)은, 각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3)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 설치되며, 제1 커버부(20), 제2 커버부(30), 제1 완충부(40) 및 제2 완충부(50) 등에 의해 연결부(13)가 체결된다.
제1 커버부(20)는, 제2 커버부(30)와 대향하면서 두 개의 상하수도관(11, 12)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13)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터파기한 지반의 표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2 커버부(30)는, 제1 커버부(20)와 대향하면서 제1 커버부(20)와 체결되면서 두 개의 상하수도관(11, 12)의 연결부(13)의 상측을 감싸도록 조립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커버부(30)는, 상부 덮개(31), 제1 체결 벽체(32) 및 제2 체결 벽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31)는, 후술하는 제2 완충부(50)의 상부를 덮고 안착되며, 일측에 제1 체결 벽체(3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체결 벽체(33)가 형성된다.
제1 체결 벽체(32)는, 상부 덮개(31)의 일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커버부(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21a)을 통해 삽입된 뒤 체결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제2 체결 벽체(33)는, 상부 덮개(3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커버부(2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21b)을 통해 삽입된 뒤 체결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벽체(32) 및 제2 체결 벽체(33)는,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2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볼트(B)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볼트(B)가 삽입되기 위한 볼트 삽입홈(C)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 삽입홈(C)은, 제1 체결 벽체(32) 및 제2 체결 벽체(33)의 제1 삽입홈(21a)과 제2 삽입홈(21b)에서의 삽입 정도에 대응하여 다양한 높이에서 체결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3cm 내지 10cm 등)으로 단을 형성하며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부(20)는, 체결 볼트(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벽을 따라 관통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완충부(40)는, 연결부(13)의 상부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13)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공간(41)을 형성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제1 커버부(20)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부(20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13)의 하측 절반을 덮고 안착된다.
제2 완충부(50)는, 연결부(13)의 하부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13)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공간(51)을 형성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제2 커버부(30)의 내측 천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 지지 탄성부(10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완충부(40)와 대향하면서 연결부(13)의 상측 절반을 덮고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 연결구조(1)는, 다수 개의 개의 상하수도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상하수도관의 연결부(13)를 제1 완충부(40)와 제2 완충부(50)를 이용하여 밀착시킨 뒤, 제1 커버부(20)와 제2 커버부(30)로 체결시킴으로써, 연결부(13)가 수직압으로 인해 지지력을 잃고 휘어지거나 뒤틀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하부 지지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 탄성부(2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230), 제2 지지 플레이트(2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2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완충부(40)의 하측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측면 절곡 프레임(230)이 형성되며, 1 측면 지지 프레임(2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2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220a)을 형성하며, 제1 상부 경사면(220a)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의 제1 하부 경사면(25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측면 절곡 프레임(23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의 절곡 프레임 바디(221), 수직 지지 바아(2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2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은, 절곡 프레임 바디(221), 수직 지지 바아(2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223)을 포함한다.
절곡 프레임 바디(221)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제1 렉기어(256)가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220a)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 바아(222)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수직 지지 바아(22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2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절곡 프레임 바디(2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221a)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223)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완충 스프링(223)은,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 바아(222)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절곡 프레임 바디(221)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측면 절곡 프레임(230)은,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230a)을 형성하며, 제2 상부 경사면(230a)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의 제2 하부 경사면(26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제2 지지 플레이트(24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2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커버부(2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은,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2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240)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1 상부 경사면(220a)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25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2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1 하부 경사면(250a)이 제1 상부 경사면(220a)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 바디(251), 바디 상부 지지대(252), 제1 스프링(253), 제2 스프링(254), 제3 스프링(255), 제1 렉기어(256), 제2 렉기어(2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258)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은, 지지 프레임 바디(251), 바디 상부 지지대(252), 제1 스프링(253), 제2 스프링(254), 제3 스프링(255), 제1 렉기어(256), 제2 렉기어(2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2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바디(251)는, 제2 지지 플레이트(24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241)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하부 경사면(250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251)는, 상부 슬라이딩홈(24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부 슬라이딩홈(24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상부 지지대(252)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21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 프레임 바디(2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2511)에 삽입 설치되어 제1 스프링(253)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상부 지지대(252)는, 하부 슬라이딩홈(21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하부 슬라이딩홈(2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프링(253)은, 상부 지지홈(251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252)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바디 상부 지지대(252)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스프링(254)은, 상부 슬라이딩홈(24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 바디(251)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제3 스프링(255)은, 하부 슬라이딩홈(21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252)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즉, 제2 스프링(254)과 제3 스프링(255)은, 지지 프레임 바디(251)과 바디 상부 지지대(25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측 방향, 즉 제2 상부 경사면(230a)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이 상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을 극복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을 통해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제1 렉기어(256)는, 간격 지지 기어(258)를 사이에 두고 제2 렉기어(257)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상부 경사면(22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2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렉기어(257)는, 간격 지지 기어(258)를 사이에 두고 제1 렉기어(256)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하부 경사면(25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2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 기어(258)는, 제1 렉기어(256)와 제2 렉기어(2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2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렉기어(256) 및 제2 렉기어(257)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2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어(258)는, 기어 본체(2581), 제1 가이드 휠(2582) 및 제2 가이드 휠(258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본체(2581)는, 제1 렉기어(256)와 제2 렉기어(2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1 가이드 휠(2582)이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가이드 휠(2583)이 연결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휠(258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258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2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렉기어(2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2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L1)에 안착된다.
제2 가이드 휠(258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258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2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제1 렉기어(2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L3) 제3 슬라이딩 유도홈(L3)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2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L4)에 안착된다.
즉, 간격 지지 기어(258)는, 절곡 프레임 바디(2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렉기어(256)와 제2 렉기어(257)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251)를 이동시키거나, 지지 프레임 바디(251)가 각 스프링(254, 255)들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절곡 프레임 바디(2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 프레임(26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25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2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240)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2 상부 경사면(230a)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26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2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2 하부 경사면(260a)이 제2 상부 경사면(23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 탄성부(200)는, 제1 완충부(40)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거나 제1 완충부(40)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제1 완충부(40)에 의한 연결부(13)의 밀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부(13)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상부 지지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 탄성부(100)는, 받침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및 회동형 완충부(1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1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커버부(30)의 내측 천장면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완충부(5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회동형 완충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130)는, 받침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제2 커버부(30)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1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1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1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 제2 아치형 지지대(132), 제3 아치형 지지대(1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1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1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제2 커버부(30)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1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1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1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1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 지지 탄성부(100)는, 상측에 안착되는 제2 커버부(30)가 외력에 의해 흔들려 회동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흔들림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완충부(50)에 의한 연결부(13)의 밀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부(13)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1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140)은, 단부 안착 공간(1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1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1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135)는, 단부 안착 공간(1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1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1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1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1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1 고정 블록(1341), 제2 고정 블록(1342) 및 슬라이딩 블록(1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1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1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1342)은, 제1 고정 블록(1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1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1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131)가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1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1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1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1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1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1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1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134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 커버부(30)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1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1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1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10: 상하수도관
20: 제1 커버부
30: 제2 커버부
40: 제1 완충부
50: 제2 완충부

Claims (8)

  1.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상하수도관;상기 두 개의 상하수도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터파기한 지반의 표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커버부;상기 제1 커버부와 체결되면서 상기 두 개의 상하수도관의 상기 연결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제2 커버부;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하측 절반을 덮고 안착되는 제1 완충부; 및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 지지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연결부의 상측 절반을 덮고 안착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 탄성부는,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완충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커버부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하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탄성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완충부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2 커버부의 내측 천장면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_"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20210024439A 2021-02-23 2021-02-23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239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39A KR102399211B1 (ko) 2021-02-23 2021-02-23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39A KR102399211B1 (ko) 2021-02-23 2021-02-23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211B1 true KR102399211B1 (ko) 2022-05-18

Family

ID=8180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439A KR102399211B1 (ko) 2021-02-23 2021-02-23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90B1 (ko) * 2022-08-24 2023-02-27 (주)디아이엔지니어링 상하수도관로의 침하방지 및 내진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83Y1 (ko) * 2005-11-21 2006-03-03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593414B1 (ko) *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619403B1 (ko) 2005-11-24 2006-09-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676680B1 (ko) 2005-10-25 2007-02-01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1702990B1 (ko) * 2016-05-30 2017-02-10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80B1 (ko) 2005-10-25 2007-02-01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9783Y1 (ko) * 2005-11-21 2006-03-03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619403B1 (ko) 2005-11-24 2006-09-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593414B1 (ko) *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1702990B1 (ko) * 2016-05-30 2017-02-10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90B1 (ko) * 2022-08-24 2023-02-27 (주)디아이엔지니어링 상하수도관로의 침하방지 및 내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211B1 (ko)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N210529885U (zh) 市政管网开槽埋管结构
JP5779734B1 (ja) 衝撃吸収体
KR102156926B1 (ko) 전동식 토류판 개폐 구조
CN106253190A (zh) 电缆沟结构、电缆敷设结构及电缆敷设方法
KR102261191B1 (ko) 가설 흙막이 구조체
KR101828501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CN104358263B (zh) 在既有综合管廊下部的基坑支护方法
CN107795758A (zh) 一种管道地质灾害防护装置及其安装使用方法
CN102979317B (zh) 具有双向滚轴隔震支座的建筑物移位就位方法
KR102281507B1 (ko) 방수 구조 시공 방법
KR102057248B1 (ko) 하수관로 지지구조
CN210262553U (zh) 一种具有防沉降功能的公路路基
JP2006233666A (ja) 偏土圧を受ける建物の基礎構造
KR102490856B1 (ko) 토공사용 흙막이 벽체
KR102388669B1 (ko)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사 방법
JP2017008689A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装置
CN211143822U (zh) 一种建筑隔震加固的托换结构
JP4463568B2 (ja) 軟弱地盤の補強工法
JPH08184064A (ja) 建築物の基礎構造
KR102300692B1 (ko)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JP2010077639A (ja) 大型土のうと棒状補強材を併用した被災盛土の急速復旧工法
KR102216802B1 (ko) 최상단 수평빔에 가해지는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20190028167A (ko) 지중 구조물 하중 분산장치
KR102445309B1 (ko)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