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615B1 -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615B1
KR100879615B1 KR1020070075611A KR20070075611A KR100879615B1 KR 100879615 B1 KR100879615 B1 KR 100879615B1 KR 1020070075611 A KR1020070075611 A KR 1020070075611A KR 20070075611 A KR20070075611 A KR 20070075611A KR 100879615 B1 KR100879615 B1 KR 10087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ixing
leveling
vertica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겸
Original Assignee
대광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공영(주) filed Critical 대광공영(주)
Priority to KR102007007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베이스판의 조립이 용이하고 베이스판에 가공되는 구멍의 수를 크게 감소시켜 베이스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사각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에 일체로 설치되고 베이스판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막대와, 수직막대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베이스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벨링너트와, 수직막대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베이스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너트와, 수직막대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콘트리트에 매입되어 수직막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지지너트를 포함하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를 제공한다.
크레인, 레일, 베이스판, 앵커볼트, 고정, 너트, 수나사, 구멍

Description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Clamping Device of Base Plate for Rail of Crane and Clamp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베이스판에 대응하도록 일체로 구성하여 베이스판의 고정 및 레벨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제철소, 항만 등에서는 아주 큰 중량물을 취급하므로, 대형 크레인을 사용한다.
종래 대형 크레인은 일정한 궤간을 갖는 레일 궤도 위를 운전하며, 레일 궤도는 콘크리트 기초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에 고정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2)은 콘크리트(3)에 매입 설치되는 "J"형 앵커볼트(4)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대형 크레인으로부터 레일(9)로 전달되는 큰 하중을 콘크리트(3)에 균등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판(2)에는 "J"형 앵커볼트(4)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판(2)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3)에 레벨링볼트(6) 를 설치하고, 베이스판(2)에는 레벨링볼트(6)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종래 베이스판(2)의 고정시에는 "J"형 앵커볼트(4) 및 레벨링볼트(6)를 콘크리트(3) 타설 전에 베이스판(2)의 구멍 간격에 대응하여 고정시키고, 콘크리트(3)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 돌출된 앵커볼트(4) 및 레벨링볼트(6)를 베이스판(2)의 각 구멍에 삽입하고 너트(5)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에서 베이스판(2)과 콘크리트(3) 사이의 공간에는 몰탈(8)이 충진된다.
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베이스판의 구멍 간격에 대응하여 콘크리트에 천공기로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 매입용 구멍을 형성하고, "J"형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를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매입 고정시키고, 베이스판을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과정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종래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1개씩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J"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를 정확한 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이 어렵고, 고정된 위치 및 자세가 콘크리트 타설중에 변동될 가능성이 많으며, 이로 인하여 베이스판의 구멍에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를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지고, 일부 위치가 변동된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를 조립하기 위하여 베이스판에 새롭게 구멍을 형성할 필요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콘크리트 타설시에 균일한 타설을 위하여 진동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의 위치 변동이 더욱 심해진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후에 천공기로 앵커볼트 및 레벨링볼트를 매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천공하는 작업의 어려움으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에 배근되는 많은 양의 철근때문에 "J"형 앵커볼트를 매입하기 위한 깊이 있는 천공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의 경우에 있어서, 베이스판에는 앵커볼트와 레벨링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많은 수의 구멍이 형성되므로, 대형 크레인의 무거운 하중을 레일로부터 전달받아 콘크리트에 균등하게 분산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의 전체적인 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내구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개 이상의 베이스판에 대응되는 수의 앵커볼트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레벨링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베이스판의 조립이 용이하고 베이스판에 가공되는 구멍의 수를 크게 감소시켜 베이스판의 강도를 향상시킨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개 이상의 베이스판에 대응되는 수의 앵커볼트가 일체로 구성된 고정구를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레벨링너트를 이용하여 베이스판의 수평을 맞추면서 조립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판의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는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사각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막대와, 상기 수직막대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베이스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벨링너트와, 상기 수직막대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베이스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양끝부분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수직막대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콘트리트에 매입되어 수직막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지지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은 사각고리형상의 연결부재에 일체로 복수의 수직막대가 고정 설치된 고정구를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 레벨링너트를 서로의 수평위치를 맞추어 각각의 수직막대에 나사결합하고, 베이스판에 형성된 각 고정구멍에 상기 복수의 수직막대를 각각 삽입하여 베이스판을 상기 레벨링너트 위에 위치시키고, 고정너트를 각각의 수직막대에 나사결합하여 베이스판을 레벨링너트와의 사이에 고정시키고, 베이스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에 몰탈을 충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의하면, 수직막대를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매입되므로, 설치되는 위치나 자세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베이스판의 조립작업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의하면, 수직막대 하나로 종래 앵커볼트와 레벨링볼트의 기능을 모두 담당하므로,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구멍의 수가 크게 감소하고, 베이스판의 강도가 향상되며, 베이스판의 실제 면적이 증가되어 콘크리트에 대한 지압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의하면, 레벨링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하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의하면, 수직형상의 수직막대를 사용하므로, 종래 "J"형 앵커볼트에 비하여 철근의 배근에 대한 간섭이 적게 발생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요철돌기)에 의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 응력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에 의하면, 수직막대의 하단부에 지지너트를 체결하므로, 콘크리트의 인발저항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의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12)와, 상기 연결부재(12)에 일체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막대(14)와, 상기 수직막대(14)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레벨링너트(16)와, 상기 수직막대(14)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너트(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20)에는 상기 수직막대(14)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구멍(22)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20)에 형성되는 고정구멍(22)을 서로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사각고리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12)의 폭과 길이는 상기 고정구멍(22)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여 설정하며, 베이스판(20)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구멍(22)의 최내측 접선을 서로 연결하는 선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베이스판(20)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구멍(22)의 최외측 접선을 서로 연결하는 선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연결부재(12)가 고정구멍(22)의 최내측 접선을 서로 연결하는 선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막대(14)를 연결부재(12)의 바깥쪽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다.
또 상기 연결부재(12)가 고정구멍(22)의 최외측 접선을 서로 연결하는 선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막대(14)를 연결부재(12)의 안쪽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양끝부분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3)를 설치한다.
상기 연결부재(12) 및 보강부재(13)는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원형 또는 다각형 봉, "ㄴ"형상 앵글, 철근, 띠 형상 판재 등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재(12) 및 보강부재(1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단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연결부재(12) 및 보강부재(13)를 2단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수직막대(14)의 수직 자세가 콘크리트 타설 중에 변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막대(14)의 외주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나사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수나사는 수직막대(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레벨링너트(16)와 고정너트(18)가 체결되는 상단부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수나사를 수직막대(14)의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하단부와 상단부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수직막대(12)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면, 콘크리트에 매입될 경우 콘크리트의 부착 응력이 증대된다.
상기 수직막대(14)는 직선형상(수직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수직막대(14)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막대(14)는 상기 연결부재(12)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끈이나 와이어 등으로 묶어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직막대(14)는 상기 베이스판(20)에 형성되는 고정구멍(22)의 위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열하여 연결부재(12)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레벨링너트(16)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막대(14)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상기 레벨링너트(16)는 베이스판(20)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베이스판(20)의 설치되는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즉 각 수직막대(14)에 나사결합되는 레벨링너트(16)의 결합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판(20)의 수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너트(1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20)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수직막대(14)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벨링너트(16)와 고정너트(18) 사이에 베이스판(20)이 위치하게 되며, 고정너트(18)를 나사결합하여 조여줌에 따라 베이스판(20)이 확고하게 수직막대(14)와 일체로 고정된다.
또 상기 수직막대(14)의 하단부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리트(3)에 매입되어 수직막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각각 지지너트(19)를 나사결합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막대(14)의 하단부에 지지너트(19)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면, 끝단으로부터 상부로 45°각도로 인발력이 발생하므로, 수직막대(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에 의한 부착력에 더해져 콘크리트(3)와의 인발부착력은 종래 "J"형 앵커볼트에 비하여 크게 증대되고,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고리형상의 연결부재(12)에 일체로 복 수의 수직막대(14)가 고정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해당되는 위치(베이스판(2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고정구는 콘크리트(3)를 타설하기 위하여 배근된 철근에 수직막대(14)나 연결부재(12)를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끈이나 와이어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연결부재(12)가 매설되도록 타설하고 양생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직막대(14)에 레벨링너트(16)를 서로의 수평위치를 맞추어 각각 나사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판(20)에 형성된 각 고정구멍(22)에 콘크리트(3) 위쪽으로 돌출된 상기 복수의 수직막대(14)에 각각 삽입하여 베이스판(20)을 상기 레벨링너트(16) 위에 접한 상태로 위치시킨다.
상기 베이스판(20)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수직막대(14)에 상기 고정너트(18)를 각각 나사결합한다.
상기에서 고정너트(18)를 수직막대(14)에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베이스판(20)은 레벨링너트(16)와 고정너트(18)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판(20)과 콘크리트(3) 사이의 공간에 몰탈(8)을 충진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판(20)이 콘크리트(3)에 고정 설치되면, 상기 베이스판(20)에 크레인용 레일(9)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 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베이스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4)

  1.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여 베이스판의 테두리를 따라 사각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1단 또는 2단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막대와,
    상기 수직막대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베이스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벨링너트와,
    상기 수직막대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베이스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양끝부분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막대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콘트리트에 매입되어 수직막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지지너트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4. 사각고리형상의 연결부재에 일체로 복수의 수직막대가 고정 설치된 고정구를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 레벨링너트를 서로의 수평위치를 맞추어 각각의 수직막대에 나사결합하고,
    베이스판에 형성된 각 고정구멍에 상기 복수의 수직막대를 각각 삽입하여 베이스판을 상기 레벨링너트 위에 위치시키고,
    고정너트를 각각의 수직막대에 나사결합하여 베이스판을 레벨링너트와의 사이에 고정시키고,
    베이스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에 몰탈을 충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방법.
KR1020070075611A 2007-07-27 2007-07-27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KR10087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611A KR100879615B1 (ko) 2007-07-27 2007-07-27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611A KR100879615B1 (ko) 2007-07-27 2007-07-27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615B1 true KR100879615B1 (ko) 2009-01-21

Family

ID=4048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611A KR100879615B1 (ko) 2007-07-27 2007-07-27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6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7546A (zh) * 2011-07-28 2013-01-30 苏州中材建设有限公司 堆取料机轨道固定结构
CN103771265A (zh) * 2014-01-16 2014-05-07 山东杭萧钢构有限公司 地轨固定装置
KR101439701B1 (ko) 2012-12-27 2014-09-12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레일 및 그 제작방법
CN104609300A (zh) * 2015-02-02 2015-05-13 宏华海洋油气装备(江苏)有限公司 万吨级可移动门式起重机的轨道结构
CN106395620A (zh) * 2016-06-29 2017-02-15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可移动式起重机轨道
KR20190062904A (ko) * 2017-11-29 2019-06-07 (주)홍주산업 크레인의 지면 결박장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5663A (ja) * 1994-02-03 1995-08-15 Tsubakimoto Chain Co 軌道吊下構造
JPH09278354A (ja) * 1996-04-11 1997-10-28 Nishi Nippon Kensetsu Kk クレーンレールの締結装置および敷設工法
KR200359400Y1 (ko) 2004-05-06 2004-08-21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5663A (ja) * 1994-02-03 1995-08-15 Tsubakimoto Chain Co 軌道吊下構造
JPH09278354A (ja) * 1996-04-11 1997-10-28 Nishi Nippon Kensetsu Kk クレーンレールの締結装置および敷設工法
KR200359400Y1 (ko) 2004-05-06 2004-08-21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7546A (zh) * 2011-07-28 2013-01-30 苏州中材建设有限公司 堆取料机轨道固定结构
KR101439701B1 (ko) 2012-12-27 2014-09-12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레일 및 그 제작방법
CN103771265A (zh) * 2014-01-16 2014-05-07 山东杭萧钢构有限公司 地轨固定装置
CN104609300A (zh) * 2015-02-02 2015-05-13 宏华海洋油气装备(江苏)有限公司 万吨级可移动门式起重机的轨道结构
CN104609300B (zh) * 2015-02-02 2017-02-22 宏华海洋油气装备(江苏)有限公司 万吨级可移动门式起重机的轨道结构
CN106395620A (zh) * 2016-06-29 2017-02-15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可移动式起重机轨道
KR20190062904A (ko) * 2017-11-29 2019-06-07 (주)홍주산업 크레인의 지면 결박장치 시공방법
KR102006649B1 (ko) * 2017-11-29 2019-08-02 (주)홍주산업 크레인의 지면 결박장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615B1 (ko)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CN104234070A (zh) 一种钢结构与基础预埋连接结构及施工方法
KR200392532Y1 (ko) 대심도 기둥 철근망 조립 및 거치를 위한 지그
CN111962690A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201284485Y (zh) 地脚螺栓的固定装置
CN204059391U (zh) 一种钢结构与基础预埋连接结构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CN106284402A (zh) 地脚套筒螺栓安装工具及地脚套筒螺栓的预埋施工方法
KR200201561Y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KR10112613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 조립체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CN212104167U (zh) 一种用于变电站gis设备的装配式预制混凝土支墩结构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KR20110038972A (ko) 받침블럭 고정장치
JP5534593B2 (ja) 鏝およびこの鏝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ならびに法面補強構造
JP2002332645A (ja) 地上走行クレ−ンレ−ル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の敷設方法
KR200418001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JP2009293198A (ja) 柱脚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6920422U (zh) 一种便携式地脚螺栓预埋定位装置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CN216949300U (zh) 一种地坪防空鼓结构
JP2020159153A (ja) 壁つなぎ取付金物と該金物を用いた仮設足場の接続構造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CN216108608U (zh) 预埋件固定组合装置
KR100306028B1 (ko) 강관말뚝 머리부와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