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68Y1 -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68Y1
KR200371268Y1 KR20-2004-0029214U KR20040029214U KR200371268Y1 KR 200371268 Y1 KR200371268 Y1 KR 200371268Y1 KR 20040029214 U KR20040029214 U KR 20040029214U KR 200371268 Y1 KR200371268 Y1 KR 200371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xhaust pipe
duct unit
flexible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이엔지
Priority to KR20-2004-0029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속에 수직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플렉시블 관(10)이 연결된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20) 조립체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이 연결되어지는 연결구(21b)가 원주면의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진 상기 플렉시블 관(10)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와; 상기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는지니고, 그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23a)와; 상기 두 덕트 유니트(21a)(23a)의 연결시 두 덕트의 접속부위의 둘레를 포위하여 밴딩함과 동시에 그 표면에 긴밀히 압착되도록 신축성을 지니는 실링부재(32)를 구비하는 밴드형 커플러(30a)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첫째,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에 플렉시블 관(10)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21b)를 무용접으로 일체형으로 마련한 점과, 둘째 각각의 덕트 유니트(21)(23)의 양끝단의 둘레를 밴딩하여 체결하고, 체결과 동시에 기밀상태를 유지 할 수 있으며, 셋째 덕트 유니트(21a)(23a)들의 조립시 밴드형 커플러(30a)에 덕트의 체결깊이를 조절하여 조립함으로서 플렉시블 관 연결구(21b)의 위치와 덕트 유니트의 조립을 손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Air Duct Assembly}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속에 부설된 수직 배기관에 실내(화장실, 주방 등)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플렉시블 관과, 연이어 연결하여 배기관을 연장시키는 덕트 유니트 및 덕트 유니트들을 연결 및 체결시키기 위한 밴드형 커플러로 구성된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배기관을 구성하는 덕트 유니트의 연결부위를 기밀되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배기관의 조립작업시 발생되는 다양한 조립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수직 배기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도 1에는 지하 주차장에 공기를 송풍시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플렉시블 관(10)에 부착된 젯트형 에어토출구가 예시되어 있다. 플렉시블관(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배기관(20)과 연결되어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실내로 송풍시키는 통로역활을 한다.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장치의 일 예로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기관(20)을 건물의 벽체속에 설치하고, 그 배기관(20)에 플렉시블 관(10)을 연결한다, 수직 배기관(20)은 그 상측에는 자연풍에 의해 회전되는 팬(1)이 설치되어져 자연풍에 의해 팬의 회전하면 수직 배기관(20)의 내부공기를 빨아내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환기 시스템(흡기 및 배기 시스템)은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신축할 때 각 세대별로 모두 환기시설을 설치하게 되는데, 대부분 건물신축시 건물의 벽체속에는 수직 배기관, 상·하수도, 가스관 및 전기배관 등이 함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플렉시블 관(10)을 수직 배기관(20)에 연결함에 있어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기관(20)에 플렉시블 관(10)을 바로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직 배기관(20)의 표면에 플렉시블 관 연결구(22)를 부설하여 이 연결구(22)에 플렉시블 관(10)를 연결한다.
그와 같은 이유는 수직 배기관(20)의 제조는 길이가 긴 띠형 금속판을 사선방향으로 말아 서로 겹치는 테두리면을 컬링(Curling)공법으로 접합시켜 길이가 길고 속이 빈 튜브(Tube)형상의 관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튜브형상의 관은 제작공정상 플렉시블 관 접속을 위한 연결구(22)를 동시에 제작할 수 없다.
길게 제작된 튜브형상의 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덕트의 표면에 플렉시블 관 연결구(22)를 별도로 부착시킨 뒤 조립작업과정에서 그 연결구(22)에 플렉시블 관(10)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관 연결구(22) 부착작업은 연결구(22)의 외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구멍을 뚫고, 그 구멍속에서 외측으로 연결구(22)를 관통시킨 뒤 구멍 가장자리와 연결구(22)의 테두리(22a)부분을 서로 맞댄 뒤 대략 3∼4군데를 스폿트 용접하여 부착한다.(철판 두께가 얇아 전체 용접시 구멍이 발생될 수 있어 부분적으로 3∼4군데만 용접함)
따라서, 연결구(22)를 덕트에 부착하기 위한 용접작업과 용접후 용접부위가 부식되지 않도록 방청제 도포작업이 수반되어 제조공정이 길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22)의 둘레에 용접되지 않은 부분에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어져 배기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수직 배기관(20)은 조립작업시 다수의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23)를 연결하여 길이가 긴 수직배기관을 설치하는데, 수직배기관의 특정위치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플렉시블 관(10)을 수직배기관에 연결해야 하는 경우 플렉시블 관(10) 연결용 연결구(22)를 구비한 덕트 유니트(21)를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23)들 사이에 연결한 뒤 연결구(22)에 플렉시블 관(10)을 연결시킨다.
이때 각각의 덕트 유니트(21)(23)를 연결시킴에 있어 두 덕트들의 접속부위에 V형 커플러(30)로 채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두 덕트(21)(23)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두 덕트가 접해지는 부위에 대략 "ㄱ"자 형상의 플렌지(31)를 마련하여 두 플렌지가 서로 포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V형 커플러(30)가 그 둘레에 체결되지만덕트 제작시 형성되는 이음매(컬링부위)가 원주면 보다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V형 커플러(30)와 플렌지(31)사이에서 누기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서로 연결되는 두 덕트의 직경이 서로 다르거나, 두 덕트의 중심축선이 일치하지 않거나 혹은 수직 배기관의 덕트를 어는 한 지점에서 설치각도가 굴절되도록 설치해야하는 경우, 서로 포개진 두 플렌지(31)가 이격되거나 틈새가 벌어져 V형 커플러(30)를 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누기현상이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통상, 덕트 유니트(21)(23)는 모두 동일한 사이즈로 일괄 제작되어 이들을 연결하기 때문에 수직 배기관의 설치길이는 덕트유니트(21)(23)의 연결갯수×덕트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관 연결용 연결구의 위치가 너무 높거나 낮게 조립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덕트 유니트(21)에 부착된 연결구(22)의 설치높이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기존의 수직배기관 설치하는 조립예를 보면 현장에서 수직배기관의 조립작업시 연결구(21b)가 서로 연결되는 두 덕트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 병목형 덕트를 별도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덕트를 조립하고, 두 덕트의 중심축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덕트의 연결부위를 변형시켜 조립하며, 수직 배기관의 설치각도를 굴절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지점의 굴절각도에 맞는 굴절각을 지닌 별도의 덕트를 맞춤 제작하여 이를 통해 조립하는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결국, 수직배기관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은 배기관의 설치작업시 덕트 직경이 좁아지거나 혹은 넓어지는 경우와 벽체속에 존재하는 예상치 못한 장애물(철근이나콘크리트 구조물)및 덕트의 설치각도의 변경 등 다양한 종류의 설치환경의 변화인자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기관의 설치 및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기가 지연되어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직 배기관의 연결 조립작업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관의 설치작업시 발생하는 다양한 덕트의 설치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수직 배기관을 조립할 수 있고, 덕트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기현상을 방지하여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중에 하나는 첫째, 배기관의 설치작업시 발생하는 다양한 덕트의 설치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수직 배기관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둘째 플렉시블 관 연결용 연결구를 구비한 덕트 유니트에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체로 구성한 것에 있으며, 셋째, 덕트 유니트의 연결부위를 기밀되게 체결하고, 연결부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연결의 위치를 적정위치에 용이하게 놓이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구현수단으로서는;
건물의 벽체속에 수직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플렉시블 관이 연결된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 조립체에 있어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플렉시블 관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원주면의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진 상기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와;
상기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는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와;
상기 두 덕트 유니트의 연결시 두 양단부 원주면을 밴딩함과 동시에 긴밀히 압착되도록 신축성을 지니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밴드형 커플러의 구성을 통해 구현되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관을 시공하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젯(Jet)형 환풍기의 설치예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건물의 내벽에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3a은 종래의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의 플렉시블 관의 조립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조립상태의 종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관의 조립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조립상태의 종 단면도,
도 5(a), (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관 연결구의 바람직한 설치예를 예시한 정면 및 평단면도,
도 6(a),(b),(c)은 수직 배기관의 설치작업시 발생하는 다양한 설치환경변화에 따른 일예들을 예시한 도면으로, 도 6의 (a)는 연결되어지는 두 덕트 유니트의 중심축선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수직 배기관의 설치시 특정 지점의 덕트가 굴절되게 설치하는 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6의(c)는 서로 연결되어질 두 덕트 유니트의 외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플렉시블 관
21, 21a;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
21b, 22; 연결구
23, 23a: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
20: 수직 배기관 30;V형 커플러
30a; 밴드형 커플러 31;플렌지
32: 실링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도 3a에는 본 고안에 도 3a와 유사한 도면으로, 플렉시블 관(10)과 연결되는 연결구(21b)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와, 수직 배기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23a) 및 위 두 덕트 유니트(21a)(23a)가 서로 체결되도록 연결시키는 밴드형 커플러(30a)를 예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4a에 도시된 수직 배기관(20)의 조립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플렉시블 관(10)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에는 원주면에 소정의 직경을 지니는 연결구(21b)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구(21b)는 덕트의 표면에 펀칭컷터로 작은 구멍을 뚫고, 그 구멍속에 하측방향으로 외경이 커지는 확장해머를 유압장치로 상측으로 잡아당겨 작은 구멍을 확장시켜 형성한 것으로, 덕트 유니트(21a)와 일체로 마련되어 연결구(21b)의 부착에 따른 누기현상이 근본적으로 발생되지 않는다. 위 연결구(21b)의 외경은 플렉시블 관(10)의 내경과 같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직접 플렉시블 관(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23a)는 상기한 플렉시블 관(10) 연결용 덕트 유니트(21)의 내외경 및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밴드형 커플러(30a)는 상기한 두 덕트 유니트(21a)(23a)의 원주면을 동시에 둘러쌓아 기밀상태가 되도록 체결시키는 요소로서, 덕트의 원주를 둘러싸는 밴드형으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있어 두 덕트(21a)(23a)의 접속부위의 원주면을 동시에 체결시킬 수 있으며, 그 내측면에는 덕트의 연결부위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내면에 고무재와 같이 신축성을 지닌 실링부재(32)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두 덕트 유니트(21a)(23a)가 밴드형 커플러(30a)를 통해 체결할 때 위 덕트 유니트(21a)(23a)간의 접속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연결구(21b)의 높이를 소망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고, 두 덕트의 연결부위에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실링부재가 신축적으로 압착되어 배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b의 A, B부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덕트 유니트(21a)(23a)들 사이의 간격을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플렉시블 관(10)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를 설치할 때 높이조절용 맞춤 덕트를 제작하지 않더라도 수직 배기관(2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덕트 유니트(21a)에 일체로 마련된 연결구(21b)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연결구(21b)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1b)를 덕트 유니트(21a)의 중심에 설치하여 무방하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축선이 상기한 덕트 유니트(21a)의 중심선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오염된 공기가 수직 배기관(20)을 수직으로 상승되어 배출되어질 때 연결구(21b)로 유입되어지는 공기와 충돌하여 수직 상승기류의 흐름에 저항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밴드형 커플러(30a)는 그 내면에 부착된 실링부재(32)를 통해 덕트조립시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여 두 덕트를 기밀되도록 연결 및 체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지는 두 덕트 유니트(23a) 의 중심축선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링부재(32)의 신축성에 의해 두 덕트 유니트(23a)의 원주면을 신축적으로 압착하여 그 연결부위에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두 덕트 유니트(23a)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기관의 설치시 특정 지점에서 덕트를 굴절되도록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별도로 특수한 굴절형 덕트를 제작하지 않더라도 실링부재(32)의 신축성에 의해 두 덕트 유니트(23a)을 신축적으로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어 그 연결부위에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질 두 덕트 유니트(23a)의외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실링부재(32)의 신축성에 의해 작은 직경의 덕트 원주면에 밀착된 실링부재(32)의 압축변형률보다 큰 직경의 덕트에 접해진 실링부재의 압축변형이 더 크게 변형될 뿐 두 덕트 유니트(23a)의 연결부위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서로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배기관의 설치작업시 별도의 맞춤형 덕트를 제작하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구성으로서 다양하게 발생되는 설치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수직 배기관을 조립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 조립체는 건물의 내벽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배기관을 설치함에 있어, 플렉시블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용접없이 덕트 유니트와 일체로 마련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무누기에 의해 배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덕트들을 연결할 때 덕트의 체결깊이를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플렉시블 관을 연결하기 접합한 위치에 연결구를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높낮이 조절용 덕트를 만드는 번거로움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밴드형 커플러의 실링부재에 의해 배기관의 설치환경변황에 대응하여 충분한 기밀성을 유지 및 체결시킬 수 있어 덕트의 연결부위에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건물의 벽체속에 수직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플렉시블 관(10)이 연결된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20) 조립체에 있어서,
    누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플렉시블 관 연결을 위한 연결구(21b)가 원주면의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진 상기 플렉시블 관(10)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와;
    상기 플렉시블 관 연결용 덕트 유니트(21a)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는지니고, 그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길이 연장용 덕트 유니트(23a)와;
    상기 두 덕트 유니트(21a)(23a)의 연결시 두 덕트의 접속부위의 둘레를 포위하여 밴딩함과 동시에 그 표면에 긴밀히 압착되도록 신축성을 지니는 실링부재(32)를 구비하는 밴드형 커플러(3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1b)는 상기 수직 배기관(20)의 중심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수직 배기관 조립체.
KR20-2004-0029214U 2004-10-15 2004-10-15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KR200371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214U KR200371268Y1 (ko) 2004-10-15 2004-10-15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214U KR200371268Y1 (ko) 2004-10-15 2004-10-15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68Y1 true KR200371268Y1 (ko) 2004-12-30

Family

ID=4944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214U KR200371268Y1 (ko) 2004-10-15 2004-10-15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73B1 (ko) 2006-05-11 2007-05-09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라인형 에어 컨트롤 포트 챔버
CN111720898A (zh) * 2020-04-15 2020-09-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接头组件、进排风组件及整体式空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73B1 (ko) 2006-05-11 2007-05-09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라인형 에어 컨트롤 포트 챔버
CN111720898A (zh) * 2020-04-15 2020-09-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接头组件、进排风组件及整体式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1195A1 (en) Coupling for direct venting system
US20100108052A1 (en) Ceiling support box with outside air inlet
EP0994287B2 (en) Composite sleeve-shaped sealing means
KR200371268Y1 (ko) 흡배기용 배기관 조립체
US9644841B2 (en) Chimney duct
US20060249142A1 (en) Pipe coupling for a venting system
EP1134476A1 (en) Bend for discharging plants
KR20110075788A (ko) 덕트용 클램프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CN216948806U (zh) 一种地下室用防水穿墙套管结构
CN213391023U (zh) 一种代替传统排气道的组合式排气道
CN220318714U (zh) 一种带格栅的金属短管
KR100564878B1 (ko) 무코킹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352645Y1 (ko) 건물 외벽에 장착되는 가스 입상관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CN210421172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检测井
CN204084955U (zh) 蒸发器及空调室内机
CN219530094U (zh) 基于空间受限的通风管道安装结构
CN209839362U (zh) 扁管
JPH04258589A (ja) ガス屋内配管の敷設方法
KR200370849Y1 (ko)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KR20080051390A (ko) 매립형 에어컨 배관연결구조
KR200373383Y1 (ko) 스파이럴덕트 연결용 후렌지부재
KR20000056358A (ko) 이중관을 이용한 배기가스 배출방법
KR20040105893A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