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849Y1 -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849Y1
KR200370849Y1 KR20-2004-0026382U KR20040026382U KR200370849Y1 KR 200370849 Y1 KR200370849 Y1 KR 200370849Y1 KR 20040026382 U KR20040026382 U KR 20040026382U KR 200370849 Y1 KR200370849 Y1 KR 200370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ipe
rooftop
vent pip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4-0026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8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Abstract

본 고안은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옥상용 통기관과 연결되는 옥내배관의 상측으로 슬리브를 결합하고 상기 슬리브가 매립될 수 있도록 옥상슬라브를 구성하되, 상기 슬리브의 상측으로 통기관의 하단부를 끼움결합한 후 상기 통기관의 하부로부터 슬리브가 매립되어진 옥상슬라브의 상부면에 시트방수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방수의 상측으로 단열재 및 보호몰탈이 적층되도록 설치된 옥상통기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옥상용 통기관은 옥내배관과 긴밀하게 결합함으로서 방수하자율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시공시간의 절감 및 작업의 편의성등을 우수하게 제공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STRUCTURE TO ESTABLISH AIR PASSING TUBE FOR ROOFTOP}
본 고안은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옥상용 통기관을 옥내배관과 연결하여 옥상슬라브의 상측에 설치함에 있어 상기 통기관이 옥내배관과 긴밀하게 결합함으로서 방수하자율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시공시간의 절감 및 작업의 편의성등을 우수하게 하고자 고안해 낸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아파트나 대형건물들의 경우 환기 내지 공기정화등을 목적으로 옥상에 통기관을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바 종래에 사용되는 옥상용 통기관은 대부분 옥내배관의 상측으로 하여 옥상용 통기관을 설치하되, 상기 옥내배관과 옥상용 통기관이 결합 및 지지되는 옥상슬라브층에 지수판 슬리브 즉 방수용 슬리브를 옥상슬라브층에 먼저 매립한 상태에서 상기 통기관을 지수판 슬리브의 내측으로 설치한 후 상기 통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코킹콤파운드를 상기 지수판 슬리브의 내측과 통기관의 외측에 충진함으로서 옥상용 통기관이 설치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수판 슬리브를 제작 및 별도의 코킹콤파운드브 충진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상기와 같은 설치되는 코킹콤파운드내지 시트방수는 설치 및 관리상의 문제등으로 인하여 파손시 방수하자의 주요 원인으로 제공되는 문제점등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옥내배관과 결합되어지는 슬리브가 옥상슬라브에 매립되어지되 상기 슬리브의 상측으로 옥상용 통기관을 결합한 후 상기 통기관의 하부와 옥상슬라브의 상측면을 시트방수로 형성하고 상기 시트방수의 상측으로 단열재와 보호몰탈이 형성된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를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통기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 와셔를 상기 통기관의 하부에 결합한 후 상기 와셔를 슬라브의 상측에 용접고정된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통기관 12-하단부
14-외경 20-와셔
21-내경 30-슬리브
31-멤버 32-걸림환턱
50-옥내배관 51-상단부
60-옥상슬라브 61-시트방수
62-단열재 63-보호몰탈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옥내배관(50)과 연결되어지는 옥상용 통기관(1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옥내배관(50)의 상측으로 슬리브(30)를 결합하고 상기 슬리브(30)가 매립될 수 있도록 옥상슬라브(60)를 구성하되, 상기 슬리브(30)의 상측으로 통기관(10)의 하단부(12)를 끼움결합한 후 상기 통기관(10)의 하부로부터 슬리브(30)가 매립되어진 옥상슬라브(60)의 상부면에 시트방수(61)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방수(61)의 상측으로 단열재(62) 및 보호몰탈(63)이 적층되도록 설치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기관(10)의 하단부(12)에는 통기관(10)의 외경(14)과 동일한 내경(21)으로 형성된 와셔(20)를 결합하되, 상기 와셔(20)를 슬리브(30)의 상측으로 설치하여 상기 와셔(20)와 슬리브(30)가 용접고정된 것이며 상기 슬리브(30)의 하부 내주연에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멤버(31)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옥내배관(50)의 상단부(51)와 긴밀하게 끼움연결되며 상기 슬리브(3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걸림환턱(32)이 형성되어 옥상슬라브(60)와 긴밀하게 결합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옥상슬라브(60)에 매립되는 슬리브(30)의 상측으로 통기관(10)이 연결되고 하측으로 옥내배관(50)이 연결되는 것을 임의로 분리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통기관(10)의 상부는 45도 이상 절곡된 통상의 통기관(10)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통기관(10)의 상단부(11)에는 동망(13)을 체결함으로서 인화성물질의 유입등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통기관(10)의 하단부(12)는 슬리브(30)의 내측으로 결합하고 상기 슬리브(30) 상측에 도시된 와셔(20)는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것이나 편의상 동 도면에 도시된 것이고 상기 외측으로 걸림환턱(32)이 형성된 슬리브(30)는 상기 옥상슬라브(60)에 형성된 매립홀(4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순서는 슬리브(30)가 제공된 상태에서 옥상슬라브(60)가 제공되는 것이나 편의상 매립홀(40)을 슬리브(30)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슬리브(30)의 걸림환턱(32)이 매립홀(40)에 결합되어 슬리브(30)가 옥상슬라브(60)와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절개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옥내배관(50)의 상측으로 옥상용통기관(10)과 연결되어지도록 옥내배관(50)과 옥상용통기관(10) 사이에는 외측으로 걸림환턱(3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ㄱ'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멤버(31)가 환형상으로 형성된 슬리브(3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30)의 멤버(31)와 내주연 사이의 홈부에 옥내배관(50)의 상단부(51)를 끼움결합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옥내배관(50)이 슬리브(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30)의 상측으로 통기관(10)의 하단부를 결합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성된 상태에서 슬리브(30)의 외측으로 옥상슬라브(60)를 형성하여 상기 슬리브(30)가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옥상슬라브(60)와 슬리브(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통기관(10)의 하부 외주연과 옥상슬라브(60)의 상측을 시트방수(61)처리한 후 상측으로 단열재(62)와 보호몰탈(63)이 제공된 것이며 상기 벤딩된 통기관(10)의 상단부(11)에는 동망(13)이 설치구성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통기관(10)과 옥내배관(50)을 연결하는 슬리브(30)의 상측으로 와셔(20)를 제공하되 상기 와셔(20)의 내경(21)은 통기관(10)의 외경(14)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와셔(20)를 통기관(10)의 하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셔(20)를 슬리브(30)의 상측에 용접고정하여 긴밀하게 방수율을 상승시킨 것을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리브를 이용하여 옥내배관과 통기관을 긴밀하게 연결함으로서 방수하자율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지수판슬리브의 내측으로 코킹콤파운드를 충진할 필요가 없어 설치시에 소요되는 시공시간을 획일적으로 단축가능하여 시공비 절감 및 인력낭비를 방지하고 기타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인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옥내배관과 연결되어지는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옥내배관(50)의 상측으로 슬리브(30)를 결합하고 상기 슬리브(30)가 매립될 수 있도록 옥상슬라브(60)를 구성하되, 상기 슬리브(30)의 상측으로 통기관(10)의 하단부(12)를 끼움결합한 후 상기 통기관(10)의 하부로부터 슬리브(30)가 매립되어진 옥상슬라브(60)의 상부면에 시트방수(61)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방수(61)의 상측으로 단열재(62) 및 보호몰탈(63)이 적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10)의 하단부(12)에는 통기관(10)의 외경(14)과 동일한 내경(21)으로 형성된 와셔(20)를 결합하되, 상기 와셔(20)를 슬리브(30)의 상측으로 설치하여 상기 와셔(20)와 슬리브(30)가 용접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0)의 하부 내주연에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멤버(31)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옥내배관(50)의 상단부(51)와 긴밀하게 끼움연결되며 상기 슬리브(3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걸림환턱(32)이 형성되어 옥상슬라브(60)와 긴밀하게 결합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KR20-2004-0026382U 2004-09-14 2004-09-14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KR200370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82U KR200370849Y1 (ko) 2004-09-14 2004-09-14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82U KR200370849Y1 (ko) 2004-09-14 2004-09-14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001A Division KR100632770B1 (ko) 2004-09-13 2004-09-13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849Y1 true KR200370849Y1 (ko) 2004-12-23

Family

ID=4935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382U KR200370849Y1 (ko) 2004-09-14 2004-09-14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8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31B1 (ko) * 2015-08-20 2016-05-23 통일에스앤에스(주) 옥상에 설치하는 통기관과 그 제조방법
KR101691602B1 (ko) 2016-02-03 2016-12-30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상 설치용 통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31B1 (ko) * 2015-08-20 2016-05-23 통일에스앤에스(주) 옥상에 설치하는 통기관과 그 제조방법
KR101691602B1 (ko) 2016-02-03 2016-12-30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상 설치용 통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943B2 (en) Adjustable roof jack
KR101347079B1 (ko)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US5890960A (en) Venting system for structures using a ridge vent
US8763325B2 (en) Adjustable roof jack
US20130174502A1 (en) Adjustable roof jack
KR200370849Y1 (ko)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KR100632770B1 (ko)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US20230257996A1 (en) Sump drai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6463208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434401B2 (ja) ドレインの設置方法及びドレイン構造
JP5498713B2 (ja) 接続継ぎ手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の施工方法
JP3069313B2 (ja) 排水管接続用ソケット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100908622B1 (ko) 건축물의 슬라브 배수구장치
US4592676A (en) Arrangement for damming water and also for draining away the volume of water above a certain level in a vegetation-bearing stratum
CN102444241A (zh) 多功能伸缩缝装置
KR102125000B1 (ko)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JP2001193232A (ja) シート防水構造物の給排口周辺構造及び給排口部材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CN1865750A (zh) 防止管道周围漏水的防水配件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JP2005214247A (ja) 縦樋等の貫通部における防水構造
JP7462162B2 (ja) 樋接続部材
JP2001227121A (ja) シート防水構造物の開口周辺構造及び開口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