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326A -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326A
KR20040028326A KR1020020059478A KR20020059478A KR20040028326A KR 20040028326 A KR20040028326 A KR 20040028326A KR 1020020059478 A KR1020020059478 A KR 1020020059478A KR 20020059478 A KR20020059478 A KR 20020059478A KR 20040028326 A KR20040028326 A KR 20040028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hannel
snr
data
channel
nois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326A/ko
Publication of KR2004002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2Reducing cross-talk, e.g. by compens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T(Discrete Multi-Tone) 방식 디지털 가입자 회선(xDSL, Digital Subscriber Line) 전송 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적합하게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를 재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단 및 수신단을 구비한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이 초기화 후에도 전송채널의 왜곡 현상을 보상하는 인자를 갱신하는 제 1단계, 수신단이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를 점검하는 제 2단계와, 점검 결과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라 변경된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의해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원단누화(FEXT: Far End Cross Talk), 근단누화(NEXT: Near End Cross Talk)와 같이 예측이 어려운 잡음 요인에 의해 전송채널 환경이 변하더라도 데이터의 손실없이 전송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A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Variable Channel Characteristics of xDSL having the Form of DMT and a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DMT(Discrete Multi-Tone) 방식 디지털 가입자 회선(xDSL, Digital Subscriber Line) 전송 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적합하게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를 재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DSL은 구리 전화선을 통하여 가정이나 기업에 고속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이다. xDSL에는 ADSL(Asynchronous DSL), VDSL(Very High Bit Rate DSL), SDSL(Symmetric DSL), IDSL(ISDN DSL)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가 있다. xDSL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해 특별한 변복조가 필요한데 대표적인 방식으로 CAP(CArrierless Amplitude/Phase)방식과 DMT방식이 있다. DMT방식은 할당된 대역폭을 256개의 소대역으로 나누고 각 소대역마다 독립적으로 데이터를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현재 ADSL모뎀에 대하여 DMT 방식이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DMT방식 ADSL에서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국 즉, 중앙국(Central Office)측 ADSL 모뎀과 가입자(Remote Terminal)측 ADSL 모뎀이 연결되면 G.992.1표준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초기화 과정이 진행된다. 초기화 과정에서는 연결된 전송 채널의 특성을 분석하여 각 소대역별로 데이터 비트 할당수를 계산하고, 이퀄라이저(equalizer) 계수 및 전송채널의 지연값을 계산한다. 전송 채널의 특성은 감쇠 및 지연에 의한 왜곡특성과, 잡음에 의한 잡음특성을 포함한다. 이퀄라이저 계수 및 전송채널의 지연값은 채널의 왜곡특성을 보상하는 인자이다. 초기화가 완료되면 각 소대역별로 계산된 비트 할당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며, 계산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지연값을 이용하여 채널왜곡 영향을 받고 수신된 데이터를 보상하게 된다.
그러나 다양한 전송 채널 환경에서 채널 특성은 누화(cross talk)현상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폭으로 변할 수 있다. 특히 도 1과 같이, 전송 선로가 하나로 묶여 있으나 데이터들이 각각 여러 중앙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누화현상에 의해 전혀 예측하지 못한 전송채널 특성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전송 중에 전송채널 환경이 악화될 경우, 종래의 ADSL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전송채널 환경 변화에 대처할 만한 수단으로 단지 비트 스와핑(bit swapping) 또는 재 초기화 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비트 스와핑은 전송 품질 보장에 한계가 있고 데이터 손실을 초래한다. 재 초기화 방법 역시, 사용자의 접속을 강제로 끊고 다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상당히 긴 시간동안 잃어버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전술한 전송채널 환경이 초기에 비해 악화되는 경우와 반대로, 초기화 과정을 통해 파악된 채널 특성이 열악하여 낮은 전송 속도를 가지고 제한된 통신을 할 수 밖에 없었으나, 초기화 후 시간이 지나면서 타 사용자들이 접속을 종료하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채널 환경이 좋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개선될 여지가 있음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ADSL 데이터 전송방법을 이용할 경우, 전송채널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 전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송율을 가변하는 방법이 김재원 등이 발명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262934에 게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전파환경 악화 여부를 판단한 후 전파환경 악화시 소정의 프레임 동안 최대 전송율을 낮춘 후에, 낮추어진 최대 전송율의 음성량에 따라 전송율을 결정하여 최대의 송신 출력으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전파 환경의 변화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가변한다. 이 방법은 무선 전파 환경에 대해서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전송중에 지속적으로 DMT 방식 xDSL 전송채널의 환경 변화에 따른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를 점검하여 전송채널 환경이 변경된 경우로 판단되면 이에 적합한 소대역별 비트할당수를 구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가변적인 전송채널 환경하에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예측 불가능한 가변적인 전송채널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T방식 ADSL 수신단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T 방식 ADSL 수신단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아날로그 전단부12: 수신버퍼부
13: 동기부14: 이퀄라이저
15: 복조기16: 프레이머
17: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18: SNR 계산부
19: 비트 할당 테이블 저장부20: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단 및 수신단을 구비한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이 초기화후에도 상기 전송채널의 왜곡현상을 보상하는 인자를 갱신하는 제 1단계, 수신단이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를 점검하는 제 2단계와, 점검 결과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라 변경된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의해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데이터 전송 중에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가입자측에서 데이터를 전송받는 하향(downstream) 데이터 전송의 경우, 수신단 및 송신단은 각각 가입자측 모뎀과 중앙국측 모뎀에 해당한다. 반대로, 가입자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순방향(upstream) 데이터 전송시, 수신단 및 송신단은 각각 중앙국측 모뎀과 가입자측 모뎀에 해당한다.
전송채널의 왜곡영향을 받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보상하는 인자로 수신단에 구비된 이퀄라이저의 계수 및 전송채널의 지연값이 있다. 이 보상 인자는 수신되는 동기프레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전송채널의 특성변화를 점검하는 제 2단계는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 점검은 데이터 전송중에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를 점검하는 횟수를 i라 할 때, 수신되는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채널의 전대역에 대한 i번째(i=1,2,3…) 평균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를 계산한다. SNR(0)는 xDSL 초기화 단계에서 계산된 평균 신호대 잡음비이다. 다음 단계로 SNR(i)와 SNR(i-1)의 차이가 소정의 제 1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SNR(i)와 SNR(i-1)의 차이가 제 1임계치 이상이면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제 3단계는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면 송신단은 제어채널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사용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를 무시하고 모든 소대역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를 분석 신뢰도 측면에서 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형태가 바람직하다. 제 1단계에서 갱신된 인자 즉,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값으로 채널왜곡 영향을 받은 수신 데이터를 보상한다. 수신단이 4QAM 형태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랜덤(random)한 특성을 이용하여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고, 계산된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로부터 비트오류율(BER: Bit Error Rate)이 소정의 제 2임계치보다 작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대역별 비트할당수를 계산한다. 송신단은 변화된 전송채널 특성에 적합하도록 계산된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T방식 ADSL 수신단의 기능 블럭도이다.
아날로그 전단부(11)는 전송 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수신 버퍼부(12)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동기부(13)는 수신 데이터들의 프레임 시작 지점을 동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조기(15)는 주파수 영역의 수신데이터들을 시간 영역의 수신 비트 스트림으로 변화·복원시킨다. 프레이머(framer)(16)는 시간 영역으로 복원된 수신 비트 스트림에 대해 에러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시킨다. 또한 부가비트(overhead bit)를 추출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한다.
이퀄라이저(14)는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17)에서 계산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값으로 수신 데이터들의 채널 왜곡 현상을 보상한다.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17)는 초기화 단계에서 채널 왜곡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보상하기에 적절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신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채널 왜곡특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지연 시간을 계산하여 갱신한다.
SNR 계산부(18)는 초기화 단계에서 수신되는 동기 프레임의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신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구한다. 또한 전송채널 특성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송신단에서 보내오는 4QAM 형태의 랜덤 데이터로부터 소대역별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여 그 값을 제어부(20)에 전달한다.
비트 할당 테이블 저장부(19)는 소대역별 비트할당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두개의 테이블을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테이블은 현재 반영되고 있는 비트할당 테이블을 저장하며, 다른 테이블은 채널 특성 변화에 따라 새롭게 갱신될 소대역별 비트 할당량을 저장한다.
제어부(20)는 수신된 동기프레임에 대해 SNR 계산부(18)에서 계산한 평균 신호대 잡음비 값을 토대로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 추이를 관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17)가 어느 시점에 갱신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 값을 이퀄라이저(14)로 반영할 것인지를 판단 및 제어한다. 또한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송신단에 SNR 측정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소대역별로 측정된 신호대 잡음비 값을 토대로 비트오류율이 특정치보다 작은 비트 할당수를 구해 수신단의 비트할당 테이블 저장부(19)와 송신단의 비트할당 테이블에 전달한다. 그리하여 어느 시점에서 어떠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복조기(15)에 반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송신단에 SNR 측정 모드 전환 요구 전달 및 비트 할당 테이블 전달을 위해 제어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데, AOC(ADSL Overhead Control)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흐름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T 방식 ADSL 수신단의 동작 흐름도이다.
전화국측 ADSL 모뎀과 가입자측 ADSL 모뎀이 연결되면 C.992.1표준에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초기화 과정이 진행된다(S101). 4QAM 형태로 수신되는 랜덤한 데이터로부터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을 계산한다. 역시 4QAM 형태로 수신되는 동기 프레임 신호로부터 평균 신호대 잡음비,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값을 계산한다.
초기화 과정이 끝나면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가 결정되고, 결정된 전송속도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S102). 데이터 전송 중에 초기화 과정을 통해 계산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 값을 이용하여 채널왜곡 영향을 받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보상한다.
다음 단계로, 수신 버퍼부(12)로부터 동기 프레임을 입력받아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17)는 이퀄라이저 트레이닝, 즉 수신되는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 값을 지속적으로 계산하여 갱신한다(S103). 이과정은 데이터 전송과 별도로 진행된다. 즉, 이퀄라이저 트레이닝 중에도 데이터는 현재의 비트할당 테이블에 의해 계속하여 수신된다. 갱신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 값은 수신단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데이터 프레임 동기용으로 사용되는 동기 프레임은 17msec마다 69번째 프레임으로 전송되며, 수신단에서는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 동기를 맞추거나 유지하게 된다. 동기 프레임은 송수신단이 미리 알고 있는 패턴으로서 주기적으로 수신된다. 따라서,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신호대 잡음비나 이퀄라이저 계수, 채널 지연 값을 계산해 낼 수 있다. 신호대 잡음비 값은 채널의 잡음 환경을 나타냄과 동시에 왜곡 특성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채널의 특성 변화 추이를 관찰하기에 적절한 요소이다.
다음 단계로, SNR 계산부(18)는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채널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구한다(S104). DMT방식의 대역은 256개의 소대역들의 집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 소대역들의 신호대 잡음비로부터 전대역에 대한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구한다. 1개의 동기 프레임에 대해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구할 수도 있지만,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 감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동기 프레임에 대해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로, 제어부(20)는 SNR 계산부(18)가 계산한 i번째(i=1,2,3…) 평균 신호대 잡음비 SNR(i)와 SNR(i-1)의 차이가 소정의 제 1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5). 만약 SNR(i)와 SNR(i-1)의 차이가 제 1임계치 이상이면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SNR(i) - SNR(i-1) 값이 양인 경우는 전송채널의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를 뜻하고, 음인 경우는 전송채널의 특성이 개선되는 경우를 뜻한다. 예를 들어 6개의 연속되는 동기 프레임들에 대한 평균 신호대 잡음비가 초기화 과정을 통해 측정된 평균 신호대 잡음비에 비해 3dB 이상 크면 전송채널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3dB 이상 작으면 전송채널 특성이 개선되는 경우이다. SNR(i)와 SNR(i-1)의 차이가 3dB 만큼 난다는 것은 평균적으로 1개의 비트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뜻한다.
다음 단계로, 채널 특성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면, 제어부(20)는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국 즉, 송신단 측에 SNR측정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며, 이 요구를 인식한 송신단은 현재 전송 중이던 비트 할당 테이블의 내용을 무시하고, 전 소대역에 대해 4QAM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106). 즉, 소대역별로 4QAM, 16QAM, 64QAM, 256QAM등 다양한 QAM 형태로 전송하던 데이터를 4QAM 형태로 통일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QAM형태만 변경될 뿐이므로 데이터의 전송은 중단없이 계속 진행된다. 또한 제어부(20)는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17)에 의해 갱신된 이퀄라이저 계수 및 채널 지연값이 이퀄라이저(14)에 반영되도록 한다. 이퀄라이저(14)는 갱신된 이퀄라이저 계수로 기존의 이퀄라이저 계수를 대체함으로써 수신되는 데이터의 왜곡을 보상한다. 또한, 갱신된 채널 지연 값을 이용해 수신 데이터의 버퍼 포인터(buffer pointer)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왜곡을 보상함과 동시에 프레임 동기를 유지시킨다. 만약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면 다시 이퀄라이저 트레이닝 단계(S103)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로, SNR 계산부(18)는 4QAM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들이 나타내는 랜덤한 특성을 이용하여 각 소대역별로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기시작한다(S107).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는 단계(S104)에서는 동기 프레임에 대해 신호대 잡음비를 구하는 반면, 본 단계(S107)에서는 4QAM형태로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에 대해 신호대 잡음비를 구한다. 신호대 잡음비 계산을 위해 송신단에서는 수신단과 약속된 시간내에 일정한 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보낸다. 제어부(20)는 각 소대역별로 계산된 신호대 잡음비를 이용하여 비트오류율이 소정의 제 2임계치 예를 들면, 데이터 신뢰도 측면에서 적절한 값인 10-7보다 작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대역별 비트할당수를 계산한다.
계산된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는 수신단의 비트 할당 테이블 저장부(19)에 저장되고, 이 값은 또한 송신단에 통보된다(S108).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신단과 송신단은 변화된 채널 특성에 맞는 새로운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비하게 되고, 특정시간이 경과하면 송신단에서는 새로이 구비된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수신단의 복조기(15)는 이와 동일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신 데이터를 복조하게 된다. 이후 다시 이퀄라이저 트레이닝 단계(S103)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DMT방식의 ADSL 전송채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DMT방식의 다른 xDSL모뎀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DSP칩을 이용하여 구현된 xDSL모뎀에 대해 하드웨어 변경없이 DSP코드의 업그레이드만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가입자측 모뎀과 중앙국측 모뎀의 DSP칩에 내장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운용환경에 따라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단누화(FEXT: Far End Cross Talk), 근단누화(NEXT: Near End Cross Talk)와 같이 예측이 어려운 잡음 요인에 의해 전송채널 환경이 변하더라도 데이터의 손실없이 전송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3)

  1. 송신단 및 수신단을 구비한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초기화 후에도 전송채널의 왜곡현상을 보상하는 인자를 갱신하는 제 1단계;
    상기 수신단이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를 점검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 점검 결과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라 변경된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의해 상기 송신단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DMT 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는 상기 수신단에 구비된 이퀄라이저의 계수 및 상기 전송채널의 지연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 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를 점검하는 횟수를 i(i=1,2,3…)라 할 때, 수신되는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채널의 전대역에 대한 평균 신호대 잡음비인 SNR(i)를 계산하는 단계;
    SNR(0)를 xDSL 초기화 단계에서 상기 동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채널의 전대역에 대한 평균 신호대 잡음비라 할 때, 상기 SNR(i)와 SNR(i-1)의 차이가 제 1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SNR(i)와 상기 SNR(i-1)의 차이가 제 1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항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수신단이 제어채널을 통해 SNR측정모드 요구 신호를 상기 송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은 상기 SNR측정모드 요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소대역 전체에 대해 상기 데이터를 소정의 동일한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은 상기 인자로 상기 전송채널의 왜곡현상을 보상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이 상기 소정의 동일한 형태로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랜덤한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로부터 비트오류율이 제 2임계치보다 작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소대역별 비트할당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계산된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임계치는 3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는 단계는 연속하는 복수의 동기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임계치는 1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동일한 형태는 4Q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은 DMT방식 ADSL 전송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 전송시, 상기 수신단은 가입자측 모뎀이고 상기 송신단은 중앙국측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향 데이터 전송시, 상기 수신단은 중앙국측 모뎀이고 상기 송신단은 가입자측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12. 송신단 및 수신단을 구비한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에 구비되어 초기화 후에도 전송채널의 왜곡현상을 보상하는 인자를 갱신하는 이퀄라이저 트레이닝부;
    상기 수신단에 구비되어 동기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채널의 전대역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는 SNR계산부; 및
    상기 SNR계산부가 계산한 신호대 잡음비로부터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단에 SNR측정모드 요구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SNR계산부는 상기 요구신호에 따라 소정의 QAM 형태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대역별 신호대 잡음비로부터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를 계산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T 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
  13. 상기 소대역별 비트 할당수를 저장하는 비트할당 테이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DMT 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020059478A 2002-09-30 2002-09-30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40028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78A KR20040028326A (ko) 2002-09-30 2002-09-30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78A KR20040028326A (ko) 2002-09-30 2002-09-30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326A true KR20040028326A (ko) 2004-04-03

Family

ID=3733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478A KR20040028326A (ko) 2002-09-30 2002-09-30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3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368B1 (ko) * 2009-01-21 2012-01-30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에어 덕트
KR20120012460A (ko) * 2009-04-27 2012-02-09 이카노스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Dmt 모뎀들에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368B1 (ko) * 2009-01-21 2012-01-30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에어 덕트
KR20120012460A (ko) * 2009-04-27 2012-02-09 이카노스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Dmt 모뎀들에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591B2 (en) Method and multi-carrier transceiver with stored application profiles for supporting multiple applications
US7295621B2 (en) Communication start-up with variant spectral density mask
JP3692044B2 (ja) Tcm−isdnクロストーク環境下におけるadslトランシーバのための等化器訓練
JP2005278150A5 (ko)
CA2392932A1 (en) Bit allocation method in a multicarrier system
US20020080867A1 (en) Robust signaling techniques in multicarrier systems
EP1990965A1 (en) Multicarrier system with stored application profiles for supporting multiple applications
EP20620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channel robustness in a multi-tone transceiver
KR100476896B1 (ko) 티씨엠-아이에스디엔 라인과 공존하는 디지털 가입자라인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US87056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recovery in XDSL transceivers
EP14378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isruption in a DSL environment caused by a POTS transient event
WO200201136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loop and rate dependent power cutback
KR20040028326A (ko) DMT방식 xDSL 전송채널의 특성 변화에 따른 데이터전송 방법 및 장치
JP4032055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731320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synchronize 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US7236532B2 (en) Method of initializing a communication system with different bandwidth receivers and transmitters
US2005016315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512172B1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
WO2002017584A2 (en) Bit swapping and dynamic rate adjustmen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in a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
KR100316782B1 (ko) 불연속 멀티 톤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
Bauer et al. Concepts for DMT transmission systems with dynamic carrier allocation
CA2354483A1 (en) A method for loop and rate dependent power cutback
WO2006092861A1 (ja) 回線終端装置および伝送制御方法
CA243602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loop and rate dependent power cut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