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271B1 -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271B1
KR101466271B1 KR1020140053242A KR20140053242A KR101466271B1 KR 101466271 B1 KR101466271 B1 KR 101466271B1 KR 1020140053242 A KR1020140053242 A KR 1020140053242A KR 20140053242 A KR20140053242 A KR 20140053242A KR 101466271 B1 KR101466271 B1 KR 10146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sleeve
vertical exhaust
vertic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270A (ko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각 층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를 수직배기관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을 슬리브고정밴드와 관지지구를 이용하여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와 함께 체결 연결함으로써 슬리브와 이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 사이의 틈새인 방화구획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부가적으로 사용되던 수직배기관, 내화충진재, V밴드 등의 자재를 절감하며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연결부 누출방지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지지구(50)는 하중분산부(51)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5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밀착시키고 상기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의 체결공(511)에 다수의 체결볼트(56)를 체결함으로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가압 밀착시켜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를 누출없이 연통되도록 결합시키고, 수평부(11)와 수직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11)는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는 상,하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슬리브고정밴드(10)를 1개의 슬리브(20)마다 구비하여;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체결볼트(56)를 관통시켜 결합시 슬리브고정밴드(10)의 제2 체결공(111)에 대응되어 결합되므로 견고하게 체결되며, 상기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에 하나 이상의 홈부(14,54)를 형성하고 이에 안착되어 압착시 변형되면서 홈부(14,54)를 밀폐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Exhaust Pipe in Dry-type Air duct System}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층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를 수직배기관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을 슬리브고정밴드와 관지지구를 이용하여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와 함께 체결 연결함으로써 슬리브와 이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 사이의 틈새인 방화구획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부가적으로 사용되던 수직배기관, 내화충진재, V밴드 등의 자재를 절감하며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연결부 누출방지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아파트, 다세대, 다가구와 같은 다층 공동주택에는 각 세대별 주방과 욕실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배기가스를 배출하고자 다수의 수직배기관(130)을 바닥 슬랩 콘크리트(A)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하고 각 세대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유입하여 수직배기관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용 실링부재(160)과 무동력 배기휀(16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Dry-type air duct system)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01)은 주택의 평균수명을 20~30년으로 규정할 경우 주방 및 욕실의 고온 다습한 배기가스에 의한 부식을 고려하여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하여 수직배기관을 제작하여 이용하는데, 1400~2800mm 정도의 길이와 0.5~0.6t의 두께를 갖는 재료를 절단후 원형으로 가공하여 스팟용접(SPOT WELDING)으로 제작하게 되면 힘이 없고 형상을 계속 유지할 수 없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일정두께만큼 겹쳐 시임접합방법(SEAM WELDING)으로 제작되는 원형 스파이럴 덕트(SPIRAL DUC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파이럴 덕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크기의 덕트를 관구경의 제한이 없이 튼튼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a는 종래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01)의 수직배기관은 일측에 새들(SADDLE)이 형성된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과, 원형 중공관 형상의 하부 수직배기관(130b2,103c2)으로 구성되며, 바닥 슬랩 콘크리트(A)를 관통하도록 매립된 슬리브(120a,120b)를 통하여 하층(下層)으로부터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단을 들어올려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부를 관지지구(150)를 이용하여 압착하고 슬리브(120a)에 안착시켜 위치를 고정하고 본층(本層)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하단을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단에 맞추어 올려놓는 모습이고, 도 2b는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단 플랜지부와 본층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하단 플랜지부를 V밴드(14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본층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상단에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을 안착하는 모습이고, 도 2c는 본층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플랜지부와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의 플랜지부를 V밴드(14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의 상단에 상층(上層) 하부 수직배기관(130c2)의 하단을 올려놓는 모습이며, 도 2d는 상기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의 상단과 상층 하부 수직배기관(130c2)의 하단을 V밴드(14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서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의 상단이 슬리브(120a,120b)를 관통하여야 하기 때문에, 슬리브(120a,120b)의 관경은 통상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의 플랜지부가 관통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의 관경이 200mm인 경우 10mm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면 220mm이고, 슬리브(120a,120b)의 관경은 230mm인 것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120a,120b)와 수직배기관(130)의 내,외주면 사이 틈새는 양측에 15mm 정도의 큰 틈새가 발생되어 방화시 하층의 유독가스와 화염이 상층으로 유도되는 통로로 사용되기에 충분하여 층간 방화구획으로 구분하고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메움재를 이용하여 틈새를 밀폐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고 있는데 틈새가 워낙 넓어 메움재로 사용된 실란트 또는 충진재로도 온전한 밀폐가 용이치 않고 작업자로 하여금 상당히 불편한 작업을 요구하며 상술한 별도의 고가(高價) 부자재로 인한 설비 원가 상승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근래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120b)의 내측에 받침턱(122)을 형성하여 스파이럴 수직배기관(130c2)의 하단을 안착시킬 수 있는 슬리브(120b)가 개시되었는데, 슬리브(120b)의 상,하부에 삽입되는 수직배기관(130b1,130c2)과 슬리브(120b) 사이의 틈새가 전혀 없는 것처럼 밀착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작업현장에서 채택되고 있는 스파이럴 수직배기관(130)은 제작구조상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시임 접합부가 양측에 10mm의 돌출부인 락심(LOCK SEAM)이 형성되므로, 스파이럴 수직배기관(1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120a,120b)에 밀착될 수 없으며, 수직배기관(130)과 슬리브(120a,120b) 사이에는 나선 형태의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것을 무시하고 밀폐하지 않으면 화재시 유독가스와 화기가 그대로 상층으로 전달되는 문제점과 나선형 틈새를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로 메움하는 작업은 일반적인 메움보다 더 불편하고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근래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다수의 V밴드(14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연결되어 많은 부품의 수직배기관(130)과 V밴드(140)를 사용하고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량이 많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인건비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과, 방화구획 밀폐를 위한 틈새가 넓어 많은 량의 고가(高價)의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를 사용함으로 자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층고(層高)가 설계대로 일정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부 및 하부 수직배기관(130a1,130b1,130b2,130c2)을 일괄 제작하게 되면, 실제 현장에서 층고(層高)가 각 층마다 많게는 20~30mm 차이가 있는데 오차에 대하여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므로 미리 제작해온 하부 수직배기관(130b2,130c2)을 사용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수정작업을 하거나 공장에서 다시 제작하여 운반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받침턱(122)이 형성된 슬리브(120b)는, 슬리브(20) 내에 삽입되었을 뿐 견고하게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를 사용하였다고 하더라도 시공후 장기간 사용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회전되거나 움직임을 통해 틈새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틈새를 통해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나 화염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20b)에 삽입되는 삽입되는 수직배기관(130b1,130c2)의 길이만큼 자재가 낭비되는 것이므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각 층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를 수직배기관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을 슬리브고정밴드와 관지지구를 이용하여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와 함께 체결 연결함으로써 슬리브와 이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 사이의 틈새인 방화구획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부가적으로 사용되던 수직배기관, 내화충진재, V밴드 등의 자재를 절감하며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연결부 누출방지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층의 슬랩 콘크리트를 수직 관통하도록 매립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고 상,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고 상,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둘 이상의 스파이럴 수직배기관과, 상기 수직배기관의 하중을 각 층에 분산토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중분산부(51)와 상기 하중분산부(51)의 내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수직배기관 접촉부(52)와 상기 하중분산부(51)와 수직배기관 접촉부(52)의 절개부를 체결하는 볼트(54)로 이루어지는 관지지구를 포함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지지구(50)는 하중분산부(51)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5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밀착시키고 상기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의 체결공(511)에 다수의 체결볼트(56)를 체결함으로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가압 밀착시켜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를 누출없이 연통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대응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내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리브(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평부(11)와 수직부(12)의 절개부를 체결하는 제2 볼트(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11)는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는 상,하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슬리브고정밴드(10)를 1개의 슬리브(20)마다 구비하여;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체결볼트(56)를 관통시켜 결합시 슬리브고정밴드(10)의 제2 체결공(111)에 대응되어 결합되므로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와 이에 대응되는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는, 상호 접촉면에 내열 및 내화 실란트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와 이에 대응되는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는,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14,54)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14,54)에 안착되어 압착시 변형되면서 홈부(14,54)를 밀폐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각 층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를 수직배기관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을 슬리브고정밴드와 관지지구를 이용하여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와 함께 체결 연결함으로써 슬리브와 이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 사이의 틈새인 방화구획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부가적으로 사용되던 수직배기관, 내화충진재, V밴드 등의 자재를 절감하며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연결부 누출방지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을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시공순서를 보이는 개략도
도 3 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 는 근래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5 는 시방서에서 발췌된 스파이럴 수직배기관의 규격
도 6 은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슬리브 및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보이는 실시예1의 요부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실시예2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슬리브 및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보이는 실시예2의 요부 확대도
도 10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실시예3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슬리브 및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보이는 실시예3의 요부 확대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의 관경이 동일하여 수직배기관(30)이 슬리브(20)를 관통하지 않고 슬리브(20)의 상,하단에 체결됨으로써 슬리브(20)와 관통되는 수직배기관(3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인 방화구획(防火區劃)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슬리브(20)를 수직배기관(30)의 일부로 사용함으로써 방화구획 밀폐에 사용되는 고가(高價)의 자재절감 및 작업공정이 줄고,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의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견고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슬리브(20)를 수직배기관(30)의 일부로 사용함으로써 삽입되던 길이만큼의 수직배기관(30)의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1)
먼저, 본 발명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과 관지지구(50)와 체결볼트(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리브(20)는, 각 층의 슬랩 콘크리트(A)를 수직 관통하도록 매립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고 상,하단에 슬리브 플랜지부(21a,21b)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슬리브(20)를 통하여 수직배기관(30)이 관통될 수 없어 종래의 슬리브(20)와 차별화 된다.
또한, 상기 수직배기관(30)은, 상기 슬리브(20)를 통하여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고 상,하단에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가 형성되며, 슬리브(20)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스파이럴 시임접합에 의하여 제작된 스파이럴 덕트이다.
또한, 상기 관지지구(50)는, 상기 수직배기관(30)의 하중을 각 층에 분산토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링형 하중분산부(51)와 상기 하중분산부(51)의 내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링형 수직배기관 접촉부(52)와 상기 하중분산부(51)와 수직배기관(30)의 절개부를 체결하는 볼트(5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관지지구(50)는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중분산부(51)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5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은, 각 층의 층고(層高)에 따라 제작된 수직배기관(30)을 현장에 운반하여 설치시 수직배기관(3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에 밀착되도록 볼트(54)를 조여 본 발명의 관지지구(50)를 결합시킨다. 상기 수직배기관(30)은, 층고에 맞추어 제작된 1개의 수직배기관(30)을 사용하거나 2개를 이용하여 층고에 맞추어 V밴드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슬리브(20)와 접하게 될 수직배기관(30)의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내열 및 내화 소재의 실란트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의 도포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관지지구(50)가 결합된 수직배기관의 상,하단부를 매립된 슬리브(20)에 밀착시켜 축심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킨 뒤,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511)을 통하여 체결볼트(56)를 결합시켜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가 슬리브(20)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볼트(56)는 체결공(511)을 통하여 견고히 관지지구(50)를 고정하게 되고 슬랩 콘크리트(A)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하중분산부(51)가 슬리브(20)를 향하여 압착되면서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가 압착되면서 밀착결합된다.
본 발명은 슬리브(20)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30)이 없어지고 슬리브(20)를 수직배기관(30)의 일부로 사용함으로써 슬리브(20)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30)과의 틈새인 방화구획이 원천적으로 제거되고 이를 메우기 위한 공정 및 고가(高價)의 메움제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종래 삽입되던 수직배기관(30)의 길이만큼의 자재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이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고정 및 누출없는 결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을 통해 슬랩 콘크리트(A)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체결볼트(56)가 타작업 중 충격이나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제대로 체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도 8 및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에서는 통상 0.5~0.6t를 갖는 슬리브(20)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폭 10mm의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보완하는 슬리브고정밴드(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는 폭이 10mm로 좁아 가스 누출을 더 온전히 차단하고 관지지구(50)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면 바람직하나, 두께가 0.5~0.6t인 슬리브(20)의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2배 정도로 늘리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기술력과 장비와 비용이 과다하게 필요하고 이렇게 넓힌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도 두께가 너무 얇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보완할 수 있는 1.6t 정도의 두께를 갖는 슬리브고정밴드(10)를 제작하여, 2개를 슬리브 상,하부 플랜지부(21a,21b)에 각각 밀착되도록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고정밴드(10)는, 상기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대응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내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리브(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평부(11)와 수직부(12)의 절개부를 체결하는 제2 볼트(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11)는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는 상,하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각각 밀착되도록 제2 볼트(13)를 조여 결합됨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슬리브고정밴드(10)를 이용하여 슬리브 상,하부 플랜지부(20a,20b)에 대응되도록 각각 밀착시켜 결합시킨뒤 슬랩 콘크리트(A) 타설 전에 설치하여 슬랩 콘크리트 타설시 슬리브(20)와 함께 매립시킨다.
이 때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는 슬랩 콘크리트(A)의 상면과 저면에 노출되도록 매립시킨다.
다음, 실시예1과 동일하게 운반된 수직배기관(30)의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에 관지지구(50)를 결합하고, 상기 관지지구(50)가 결합된 수직배기관(30)을 슬리브(20)의 상,하부 플랜지부(20a,20b)에 밀착시키되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에 내열 및 내화 실란트를 선택적으로 도포하고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의 축심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을 슬리브(20)의 제2 체결공(111)에 일치되도록 잘 맞춘 뒤 다수의 체결볼트(56)를 이용하여 체결하는데, 이와 동시에 밀착된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 플랜지부(21a,21b)가 상호 압착되면서 가스 누출없도록 연통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56)가 체결공(511)과 제2 체결공(111)을 통해 체결되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강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1,2에서 개시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의해서도 가스 누출없이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의 연결이 가능하나, 보다 안전을 기하기 위해서 실시예3을 개시한다.
도 10 및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는 실시예2에 개시된 관지지구(50)와 슬리브고정밴드(10)에 상호 밀착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홈부(14,54)를 형성하고 이에 링형 실링부재(60)를 결합하여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의 연결시 가스 누출을 온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시예2와 모든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는,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14,54)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14,54)에 안착되어 압착시 변형되면서 홈부(14,54)를 밀폐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60)를 결합한다.
상기 링형 실링부재(60)의 단면형상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하며, 탄소질 결합계를 갖는 내화혼합물, 탄소결합 알루미나 내화재, 알루미나, 그래파이트, 실리카-알루미나와 같은 내열 및 내화 성질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하거나 외면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실시예3은, 현장으로 운반된 수직배기관(30)의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에 관지지구(50)를 밀착 체결하고, 슬리브(20)의 슬리브고정밴드(10)의 홈부(14) 또는 관지지구(50)의 홈부(54)에 링형 실링부재(60)를 결합시킨 뒤 상기 관지지구(50)가 결합된 수직배기관(30)을 슬리브고정밴드(10) 위에 올려 밀착시킨다.
이 때, 링형 실링부재(60)가 관지지구(50)의 홈부(54) 또는 슬리브고정밴드(10)의 홈부(14)에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도록 안착시키며,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과 슬리브고정밴드(10)의 제2 체결공(111)이 일치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다수의 체결볼트(56)를 이용하여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과 슬리브고정밴드(10)의 제2 체결공(111)을 관통하여 결합시켜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가 압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하중분산부(51)의 홈부(54)와 수평부(11)의 홈부(14)에 결합된 링형 실링부재(60)는 압착에 의해 변형되면서 홈부(14,54)를 밀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각 층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직배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를 수직배기관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을 슬리브고정밴드와 관지지구를 이용하여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와 함께 체결 연결함으로써 슬리브와 이를 관통하는 수직배기관 사이의 틈새인 방화구획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부가적으로 사용되던 수직배기관, 내화충진재, V밴드 등의 자재를 절감하며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연결부 누출방지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슬랩 콘크리트 1: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10: 슬리브고정밴드 11: 수평부
111: 제2 체결공 12: 수직부
13: 제2 볼트 14: 홈부
20: 슬리브 21a,21b: 슬리브 상,하부 플랜지부
30: 수직배기관 31a,31b: 수직배기관 상,하부 플랜지부
40: V밴드 50: 관지지구
51: 하중분산부 511: 체결공
52: 수직배기관 접촉부 53: 볼트
54: 홈부 56: 체결볼트 60: 링형 실링부재

Claims (4)

  1. 삭제
  2. 각 층의 슬랩 콘크리트를 수직 관통하도록 매립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고 상,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고 상,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둘 이상의 스파이럴 수직배기관과, 상기 수직배기관의 하중을 각 층에 분산토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링형 하중분산부(51)와 상기 하중분산부(51)의 내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링형 수직배기관 접촉부(52)와 상기 하중분산부(51)와 수직배기관 접촉부(52)의 절개부를 체결하는 볼트(54)로 이루어지는 관지지구를 포함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지지구(50)는 하중분산부(51)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5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대응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내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리브(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평부(11)와 수직부(12)의 절개부를 체결하는 제2 볼트(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11)는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는 상,하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슬리브고정밴드(10)를 1개의 슬리브(20)마다 구비하여;
    상기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밀착시키고 상기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의 체결공(511)에 다수의 체결볼트(56)를 체결함으로 수직배기관 플랜지부(31a,31b)와 슬리브 플랜지부(21a,21b)를 가압 밀착시켜 수직배기관(30)과 슬리브(20)를 누출없이 연통되도록 결합시키되, 상기 관지지구(50)의 체결공(511)에 체결볼트(56)를 관통시켜 결합시 슬리브고정밴드(10)의 제2 체결공(111)에 대응되어 결합되므로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는, 상호 접촉면에 내열 및 내화 실란트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구(50)의 하중분산부(51)와 이에 대응되는 슬리브고정밴드(10)의 수평부(11)는,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14,54)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14,54)에 안착되어 압착시 변형되면서 홈부(14,54)를 밀폐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링형 실링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20140053242A 2014-05-02 2014-05-02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1466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242A KR101466271B1 (ko) 2014-05-02 2014-05-02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242A KR101466271B1 (ko) 2014-05-02 2014-05-02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270A KR20140092270A (ko) 2014-07-23
KR101466271B1 true KR101466271B1 (ko) 2014-11-28

Family

ID=5173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242A KR101466271B1 (ko) 2014-05-02 2014-05-02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2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751Y1 (ko) * 2015-06-24 2016-03-04 주식회사 우석에어벤처시스템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KR200481627Y1 (ko) 2016-03-14 2016-10-25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역비딩이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170000662U (ko) 2015-08-11 2017-02-22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220089496A (ko) 2020-12-21 2022-06-28 박성례 내화 충전재 일체형 방화 연결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73B1 (ko) 2014-10-14 2016-03-11 (주)상신엔지니어링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522564B1 (ko) * 2014-10-30 2015-05-27 (주)대양기연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KR101667210B1 (ko) * 2014-12-18 2016-10-19 주식회사 제일테크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1616040B1 (ko) * 2015-12-17 2016-04-27 재우이엔지(주) 배기덕트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94B2 (ja) * 1989-12-26 1995-01-30 大日本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コルゲート管の継手構造
KR100636633B1 (ko) * 2006-08-25 2006-10-20 (주)대양기연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20090129601A (ko) * 2008-06-13 2009-12-17 현광환 원형관 연결구조
KR20100087759A (ko) * 2008-01-23 2010-08-05 니혼칸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랜지 커플링 및 금속관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94B2 (ja) * 1989-12-26 1995-01-30 大日本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コルゲート管の継手構造
KR100636633B1 (ko) * 2006-08-25 2006-10-20 (주)대양기연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20100087759A (ko) * 2008-01-23 2010-08-05 니혼칸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랜지 커플링 및 금속관 결합 구조
KR20090129601A (ko) * 2008-06-13 2009-12-17 현광환 원형관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751Y1 (ko) * 2015-06-24 2016-03-04 주식회사 우석에어벤처시스템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KR20170000662U (ko) 2015-08-11 2017-02-22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0481627Y1 (ko) 2016-03-14 2016-10-25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역비딩이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220089496A (ko) 2020-12-21 2022-06-28 박성례 내화 충전재 일체형 방화 연결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270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1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MX2007009451A (es) Abrazadera para tuberia con reborde central con junta.
KR101426894B1 (ko)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RU115861U1 (ru) Узел 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70059269A (ko) 진공단열배관용 자켓 슬리브 유닛
KR101529144B1 (ko)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US112369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urnace sealing
KR101160510B1 (ko) 반도체 배기덕트의 길이 조정용 어댑터
CA2817985E (en) Pipe arrangement and process
KR20090129601A (ko) 원형관 연결구조
KR200457298Y1 (ko) 배관용 기밀 슬리브
KR101801301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US9285066B2 (en) Positive pressure pipe coupling
KR101737582B1 (ko)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JP2019128039A (ja) フロアまたは壁を貫通するパイプのためのベローズシール
KR200202349Y1 (ko) 파이프 커버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KR200479751Y1 (ko)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JP7291393B2 (ja) 制流体設置構造及び制流体設置方法
KR20200137094A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KR102449830B1 (ko)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KR101442657B1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직결식 내화 소켓 및 상기 내화 소켓을 이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CN211715978U (zh) 一种燃气管道输配对接固定结构
US10294660B2 (en) Line leadthrough for the leadthrough of lines through a component
KR200483803Y1 (ko)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