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62U -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62U
KR20170000662U KR2020150005359U KR20150005359U KR20170000662U KR 20170000662 U KR20170000662 U KR 20170000662U KR 2020150005359 U KR2020150005359 U KR 2020150005359U KR 20150005359 U KR20150005359 U KR 20150005359U KR 20170000662 U KR20170000662 U KR 201700006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air
flange
connecting flange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803Y1 (ko
Inventor
박원중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디.에스.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150005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0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부터 에어덕트를 이루는 수직배기관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매립된 상태로부터 매립구멍과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SLEEVE FOR AIR DUCT HAVING FLANGE}
본 고안은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부터 에어덕트를 이루는 수직배기관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매립된 상태로부터 매립구멍과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주방 또는 욕실에서 발생되는 폐기나 악취를 정상적으로 배기하기 위해 에어덕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덕트는 건축물 시공시 각 층에 슬리브가 매립 설치되고, 그 슬리브의 상,하부에 수직배기관이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6271호에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외 같은 종래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별도의 슬리브고정밴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와 그 슬리브가 매립된 콘크리트층의 매립구멍 간이 원활하게 밀폐되지 못하면서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6271호(2014.11.28.)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부터 에어덕트를 이루는 수직배기관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매립된 상태로부터 매립구멍과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체결플랜지가 구비되는 수직배기관이 연결되어 에어덕트를 이루는 슬리브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케이싱; 링 형태를 이루어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플랜지가 결속되는 연결플랜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랜지가 고정되는 한 쌍의 가압턱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층은,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매립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플랜지가 상기 콘크리트층의 상,하부면에 접하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매립구멍 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연결플랜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강링은, 상,하단부 사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플랜지는, 양측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제1,2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은, 양측단부가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에 상기 한 쌍의 가압턱이 형성된 상태로부터 상기 보강링의 양측단부를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공간부를 넓힘에 따라 그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가압턱은,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연결플랜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와 가압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부터 별도의 슬리브고정밴드의 사용 없이 에어덕트를 이루는 수직배기관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층에 매립된 상태로부터 매립구멍과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음으로써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연결부와 수직배기관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연결부와 수직배기관 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에서 연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이하 "이하 에어덕트용 슬리브"라 한다)(1)는 건축물(100)의 콘크리트층(110)에 매립되며, 수직배기관(210)이 연결되어 에어덕트(200)를 이루는 슬리브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콘크리트층(110)에 매립되는 케이싱(10),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케이싱(10)의 상,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연결플랜지(21)를 포함하는 한 쌍의 연결부(20) 및 상기 케이싱(10)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가 고정 연결되는 한 쌍의 가압턱(30)을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을 이루는 아파트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층(110)은 그 건축물(100)의 각 층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200)는 상기 건축물(100)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배기관(210)이 각 콘크리트층(110)에 구비되는 에어덕트용 슬리브(1)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수직배기관(210)은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상기 연결플랜지(21)와 결속되는 체결플랜지(21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플랜지(211)는 상기 연결플랜지(21)와 대응되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220)에 의해 그 연결플랜지(21)에 결속된다.
상기 체결플랜지(211)는 상기 수직배기관(210)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링 형태로 형성되어 그 수직배기관(210)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플랜지(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수직배기관(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편, 그 양단부가 볼트, 너트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그 수직배기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11)가 단수 또는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는 상기 케이싱(10)이 상기 콘크리트층(110)에 매립된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플랜지(21)가 그 콘크리트층(110)의 상,하부면에 위치되면서 별도의 슬리브고정밴드 없이 상기 수직배기관(210)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플랜지(21)는 내경이 상기 가압턱(30)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외경이 그 가압턱(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턱(30)은 상기 케이싱(10)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가 그 케이싱(10)의 외측으로 결합된 상태로부터 절곡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는 상기 한 쌍의 가압턱(30)과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가압 접합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플랜지(21)와 상기 가압턱(30)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부터 외부의 다른 가압 접합장치를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일정 위치를 가압함으로써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접합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플랜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가 상기 한 쌍의 가압턱(30)에 고정 연결되면서 상기 콘크리트층(110)의 상,하부면에 접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케이싱(10) 간에 형성되는 틈새와 함께 상기 케이싱(10)과 매립구멍(120) 간을 밀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층(110)은 상기 케이싱(10)의 외측으로 매립구멍(120)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는 상기 연결플랜지(21)가 상기 콘크리트층(110)의 상,하부면에 접하면서 상기 매립구멍(120)을 이루는 상,하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연결플랜지(2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외측을 감싸는 보강링(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링(22)은 상기 케이싱(11)과 함께 상기 콘크리트층(110)으로 매립되며, 상,하단부 사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11)에 형성되는 상기 보강리브(11)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상기 케이싱(11)과 접촉되는 단부가 좁아지므로 인해 그 케이싱(11)과의 용접이나 가압 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과 접촉되는 상기 보강링(22)의 단부는 양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플랜지(21)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21)는 양측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제1,2공간부(23,24)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링(22)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부(23)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25)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강링(22)은 양측단부가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상기 제3공간부(25)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링(22)은 양측단부를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양측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고, 그 벌어진 상태로부터 양측단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양단부가 인접하도록 좁혀진다.
이때의, 상기 연결플랜지(21)는 상기 제1,2공간부(23,24)에 의해 등분되면서 상기 보강링(22)의 양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함께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형태를 이룬다.
이는, 상기 케이싱(10)의 양단부에 상기 한 쌍의 가압턱(30)이 형성된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가 상기 케이싱(10)의 상,하부에 결합된 후에는 용접이나 가압 접합 등에 의해 그 케이싱(10)이나 상기 가압턱(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덕트용 슬리브(1)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수직배기관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매립구멍(120)과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에어덕트용 슬리브 10 : 케이싱
11 : 보강리브 20 : 연결부
21 : 연결플랜지 22 : 보강링
23 : 제1공간부 24 : 제2공간부
25 : 제3공간부 30 : 가압턱
100 : 건축물 110 : 콘크리트층
120 : 매립구멍 200 : 에어덕트
210 : 수직배기관 211 : 체결플랜지
220 : 체결구

Claims (5)

  1. 건축물의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체결플랜지가 구비되는 수직배기관이 연결되어 에어덕트를 이루는 슬리브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케이싱;
    링 형태를 이루어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플랜지가 결속되는 연결플랜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랜지가 고정되는 한 쌍의 가압턱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층은,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매립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플랜지가 상기 콘크리트층의 상,하부면에 접하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매립구멍 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연결플랜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은,
    상,하단부 사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는,
    양측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제1,2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은,
    양측단부가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에 상기 한 쌍의 가압턱이 형성된 상태로부터 상기 보강링의 양측단부를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공간부를 넓힘에 따라 그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턱은,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연결플랜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와 가압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20150005359U 2015-08-11 2015-08-11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0483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59U KR200483803Y1 (ko) 2015-08-11 2015-08-11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59U KR200483803Y1 (ko) 2015-08-11 2015-08-11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62U true KR20170000662U (ko) 2017-02-22
KR200483803Y1 KR200483803Y1 (ko) 2017-06-28

Family

ID=5826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59U KR200483803Y1 (ko) 2015-08-11 2015-08-11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03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490U (ja) * 1983-06-08 1984-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伸縮継手
KR100636633B1 (ko) * 2006-08-25 2006-10-20 (주)대양기연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200430182Y1 (ko) * 2006-08-24 2006-11-03 이병무 입상형 에어덕트용 고정지지구
KR100819949B1 (ko) * 2007-09-07 2008-04-0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덕트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20110075455A (ko) * 2009-12-28 2011-07-06 (주)대교테크 건축물의 환기 덕트 매설용 슬리브
KR101176887B1 (ko) * 2010-04-30 2012-08-24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101179962B1 (ko) * 2011-05-24 2012-09-07 (주)유넷트코리아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101466271B1 (ko) 2014-05-02 2014-11-28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490U (ja) * 1983-06-08 1984-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伸縮継手
KR200430182Y1 (ko) * 2006-08-24 2006-11-03 이병무 입상형 에어덕트용 고정지지구
KR100636633B1 (ko) * 2006-08-25 2006-10-20 (주)대양기연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100819949B1 (ko) * 2007-09-07 2008-04-0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덕트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20110075455A (ko) * 2009-12-28 2011-07-06 (주)대교테크 건축물의 환기 덕트 매설용 슬리브
KR101176887B1 (ko) * 2010-04-30 2012-08-24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101179962B1 (ko) * 2011-05-24 2012-09-07 (주)유넷트코리아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101466271B1 (ko) 2014-05-02 2014-11-28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03Y1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863B1 (ko) 방화부를 갖는 밀봉체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466271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EP1394450B8 (en) Metal packing
JP2007056536A (ja) 排水配管構造及び排水集合管及び排水管用耐火性付属部材
KR20150065458A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KR200389191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101426894B1 (ko)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200483803Y1 (ko)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JP4950774B2 (ja) 排水通気用管継手
US20140265323A1 (en) Joint device for corrugated pipe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KR200481627Y1 (ko) 역비딩이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JP2007056538A (ja) 排水管
KR101109368B1 (ko) 에어 덕트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JP4878071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耐火性付属部材
KR101521172B1 (ko) 공동주택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KR20180110568A (ko) 플렉시블 조인트
US8505981B2 (en) Gasket-less vent pipe coupling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457298Y1 (ko) 배관용 기밀 슬리브
KR200479751Y1 (ko)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JP4682679B2 (ja) 管路接続構造
KR100736556B1 (ko)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