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633B1 -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633B1
KR100636633B1 KR1020060081192A KR20060081192A KR100636633B1 KR 100636633 B1 KR100636633 B1 KR 100636633B1 KR 1020060081192 A KR1020060081192 A KR 1020060081192A KR 20060081192 A KR20060081192 A KR 20060081192A KR 100636633 B1 KR100636633 B1 KR 10063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duct
fastening
plate
cu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
Original Assignee
(주)대양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기연 filed Critical (주)대양기연
Priority to KR102006008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설치가 간편하고 공수가 효율적인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물 내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 일측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퍼지는 한편,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과 동일한 지점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체결부 반대 지점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지지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 고정구, 배기팬, 슬리브, 앵글가이더, 절개홈

Description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MOUNTING MEANS OF DRY AIR DUCT}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 고정구가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구 110 ... 체결판
111 ... 절단홈 120 ... 지지판
121 ... 결합공 122 ... 절개홈
123 ... 체결부 123a ... 체결공
본 발명은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설치가 간편하고 공수가 효율적인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시공되고 있는 주방환기 및 욕실환기 방식은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에 의해서 통로로 구획되는 것이고, 상기 통로를 통해서 지상층으로 자연 환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로를 통해서 주방측과 욕실측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이 자연적으로 배기되도록 되었으나,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크랙 및 건물 노후화로 인한 자연 배기가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는 악취 등이 자연적으로 배기되지 않음에 따라 각 세대로 냄새가 역류되어 공기가 혼탁해지는 현상을 보여왔다.
이를 위해 상기 악취 등이 정상적으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주방측과 욕실측의 측방 선상에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 바,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피브이시(PVC) 소재나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한 에어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여 옥탑에서 자연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덕트는 주방 및 욕실 등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부식이 방지되는 것이고, 상기 부식이 방지됨에 따라 한번 시공이 완료되면 건축물이 존재하는 한 반영구적으로 설치되게 되는 것이며, 건축물이 노후화 되더라도 주방 및 욕실 등의 악취 배기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직하방향으로 입상덕트(1)가 설치되고, 상기 입상덕트(1)에 연결됨과 아울러 주방 또는 욕실 측의 플랙시블덕트(3)에 고정되도록 새들(5)이 설치되며, 상기 입상덕 트(1)의 최상층은 배기용타공판(7)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용타공판(7)의 상부에는 배기팬(9)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입상덕트(1)는 각각의 개체(관)들이 연결밴드(11) 또는 커플링에 의해서 연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입상덕트(1)가 통과하는 층간부분(콘크리트층)은 슬리브(13)의 안내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13)를 통과한 입상덕트(1)는 앵글가이더(15) 및 유밴드(17)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앵글가이더(15)와 유밴드(17)는 입상덕트(1)의 직하중을 각층 바닥에 분산시킴과 아울러 입상덕트(1)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입상덕트(1)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슬리브(13)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입상덕트(1)의 측방 양쪽 바닥에 앵글가이더(15) 고정용 앙카홈을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앙카홈에 앙카를 고정함과 동시에 앵글가이더(15)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앵글가이더(15)에 대응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입상덕트(1)가 수용되어 인장되도록 하는 유밴드(17)를 앵글가이더(15)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앵글가이더(15)에 유밴드(17)를 통해 고정 지지되는 입상덕트(1)는 직하방향으로의 하중이 바닥층으로 분산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앵글가이더(15)와 유밴드(17) 및 입상덕트(1) 사이의 여유 공간은 백업제(Back-up) 충진후 코킹 마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고정구조는, 바닥층에 앙카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앙카에 앵글가이더(15)를 설치하고, 상기 앵글가이더(15)에 유밴드(17)를 이용하여 입상덕트(1)를 지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입상덕트(1)의 시공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해진 공간에서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어야 하는 공간 활용 측면에서 앙카작업 및 앵글가이더(15)의 고정 설치 공간이 추가적으로 배정되어야 하므로 공간적인 낭비가 발생되는 단점도 있음은 물론 하부 층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덕트의 미세한 공간을 따라 위층으로 연기 및 화염 등이 올라가 화재로 인한 상부층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설치가 간편하고 공수가 효율적인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내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 일측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111)이 형성된 체결판(110)과; 상기 체결판(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퍼지는 한편,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111)과 동일한 지점에 체결부(123)가 형성되고, 체결부(123) 반대 지점에 절개홈(122)이 형성되어 지지판(12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0)의 절개홈(122)은 외측으로 개구된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100)는 크게 체결판(110)과 지지판(1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체결판(110)은 원형고리 형상인 한편, 납작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띠 일측에는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개된 절단홈(111)이 형성된다. 이는 체결판의 내측면이 입상덕트 외주면과 면접되도록 일측부를 절개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구(100)는 얇은 판형의 금속재를 사출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무게가 낮은 반면, 지지판(12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판(110)의 세로보강구조로 인해 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123)를 일측에만 형성하는 단일구조써,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공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체결판(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퍼지는 한편,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에, 상기 절단홈(111)과 동일한 지점에 체결부(123)가 형성되어 몸체가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된 지지판(12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지지판(120)의 외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고, 돌출된 면상 중앙에는 체결공(123a)이 마련된다. 이는 분할된 체결부(123)를 벌려 띠형상의 링고리를 개방한 후 입상덕트(1)의 외경과 체결판(110)의 내경이 면접되게 결합한 뒤, 상기 체결부(123)를 오무려 결합할 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 결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120)의 체결부(123)는 지지판(12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상향으로 돌출되고, 이때 체결부(123)의 내측벽은 체결판(110)의 절단홈(111)과 이격되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입상덕트(1)를 붙잡고 있는 체결판(110)이 입상덕트(1)를 조임하는 것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수축 및 확장되도록 유도하는 반면, 지지판(120)이 바닥체에 고정되어 입상덕트(1)의 세로 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고르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120)의 면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부(123)에 의해 조임된 입상덕트(1)의 좌,우 유동방지를 위해 바닥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120)의 절개홈(122)은 외측으로 개구된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상덕트(1)를 내측에 수용하며 고정하는 고정구(100)가 상,하로 장방향을 갖으며 형성된 긴 입상덕트(1)를 고정하기 위해, 위에서 상기 고정구(100)를 씌우는게 아니라 수갑을 채우듯 높이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이는 체결부(123)와 절단홈(111)을 벌려 끼우게 되는 바, 이때 벌려진 양단부가 절개홈(122)의 브이 각 만큼 보다 넓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직하방향으로 입상덕트(1)가 설치되고, 상기 입상덕트(1)에 연결됨과 아울러 주방 또는 욕실 측의 플랙시블덕트(3)에 고정되도록 새들(5)이 설치되며, 상기 입상덕트(1)의 최상층은 배기용타공판(7)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용타공판(7)의 상부에는 배기팬(9)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상덕트(1)는 각각의 개체(관)들이 연결밴드(11) 또는 커플링에 의해서 연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입상덕트(1)가 통과하는 층간부분(콘크리트층)은 슬리브(13)의 안내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13)를 통과한 입상덕트(1)는 상술한 고정구(100) 의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00)는 납작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판(110)과, 상기 체결판(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퍼지는 한편,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지지판(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판(110)의 일측에는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개된 절단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절단홈과 체결부는 동일 지점을 기준으로 양분할 되어 상기 고정구의 양단부를 벌려 입상덕트에 끼울 수 있게 형성된다.
이렇게 분할된 체결부(123)와 절단홈(111)을 벌려 띠형상의 링고리를 개방한 후 입상덕트(1)의 외경과 체결판(110)의 내경이 면접되게 결합한 뒤, 상기 체결부(123)를 다시 오무려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임 체결함으로써 상기 입상덕트(1)는 일단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0)의 면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되어 형성된 다수개 의 결합공(121)이 형성되는 바, 이는 체결판(110)에 의해 조임된 입상덕트(1)의 좌,우 유동방지를 위해 바닥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120)의 절개홈(122)은 외측으로 개구된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상덕트(1)를 내측에 수용하며 고정하는 고정구(100)가 상,하로 장방향을 갖으며 형성된 긴 입상덕트(1)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100)를 위에서 씌우는게 아니라 수갑을 채우듯 높이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 하는 것으로, 특히 체결부(123)와 절단홈(111)을 벌려 끼우게 되는 바, 이때 벌려진 양단부가 절개홈(122)의 브이 각 만큼 보다 넓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정구(100)는 입상덕트(1)의 직하중을 각층 바닥에 분산시킴과 아울러 입상덕트(1)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설치가 간편하고 공수가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 내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 일측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111)이 형성된 체결판(110)과;
    상기 체결판(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퍼지는 한편,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111)과 동일한 지점에 체결부(123)가 형성되고, 체결부(123) 반대 지점에 절개홈(122)이 형성되어 지지판(12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0)의 절개홈(122)은 외측으로 개구된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1020060081192A 2006-08-25 2006-08-25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10063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92A KR100636633B1 (ko) 2006-08-25 2006-08-25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92A KR100636633B1 (ko) 2006-08-25 2006-08-25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30U Division KR200400733Y1 (ko) 2005-08-31 2005-08-31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633B1 true KR100636633B1 (ko) 2006-10-20

Family

ID=3762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92A KR100636633B1 (ko) 2006-08-25 2006-08-25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6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06B1 (ko) 2007-12-06 2009-08-24 (주)대양기연 체결용 로커가 구비되는 공기 이송용 원형튜브의 고정용행거
KR101176887B1 (ko) 2010-04-30 2012-08-24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101466271B1 (ko) * 2014-05-02 2014-11-28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200479751Y1 (ko) * 2015-06-24 2016-03-04 주식회사 우석에어벤처시스템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KR20170000662U (ko) * 2015-08-11 2017-02-22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06B1 (ko) 2007-12-06 2009-08-24 (주)대양기연 체결용 로커가 구비되는 공기 이송용 원형튜브의 고정용행거
KR101176887B1 (ko) 2010-04-30 2012-08-24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101466271B1 (ko) * 2014-05-02 2014-11-28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200479751Y1 (ko) * 2015-06-24 2016-03-04 주식회사 우석에어벤처시스템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KR20170000662U (ko) * 2015-08-11 2017-02-22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0483803Y1 (ko) * 2015-08-11 2017-06-28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633B1 (ko)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US20150240477A1 (en) Apparatus for securing insulation panels to a supporting structure and ceiling support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KR200400733Y1 (ko)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200400732Y1 (ko)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JP6141825B2 (ja) 30分防火の住宅床
KR20170004066U (ko) 드라이비트 구간별 시공 공법
US8464985B2 (en) Attachment device for elongated member
KR200400730Y1 (ko)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KR101176887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200430182Y1 (ko) 입상형 에어덕트용 고정지지구
CZ2015868A3 (cs) Obkladový stavební systém
JP2019152265A (ja) 配管用固定型支持脚
KR200377625Y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고정구조
KR100635929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밴드 일체형 고정지지부재
KR100514498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고정구조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US20130056600A1 (en) Blocking support hanger
JP6998137B2 (ja) 耐火建物構造および受け部材
JP6635534B1 (ja) 木造軸組工法住宅の遮熱断熱構造
JP2005282891A (ja) 横引きダクトのユニット工法
RU219558U1 (ru) Модуль инженер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KR100703617B1 (ko)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20130059004A (ko) 토출관 기반의 환풍기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풍기 설치 방법
KR200381012Y1 (ko) 덕트 고정부재
GB2428085A (en) Underfloor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