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617B1 -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617B1
KR100703617B1 KR1020070008647A KR20070008647A KR100703617B1 KR 100703617 B1 KR100703617 B1 KR 100703617B1 KR 1020070008647 A KR1020070008647 A KR 1020070008647A KR 20070008647 A KR20070008647 A KR 20070008647A KR 100703617 B1 KR100703617 B1 KR 10070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grill
ceiling
bolt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체결판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흡입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연결구와 대응되는 내측 상면에 볼트 체결대가 형성되어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는 닥트와;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천정 마감재에 고정되도록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닥트의 흡입 연결구와 상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되는 연결관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의 플렌지에 설치되는 그릴과; 상기 그릴의 볼트홀을 통해 상기 그릴 및 연결관을 관통하여 상기 닥트의 볼트 체결대에 체결되는 높이 조정 볼트;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닥트의 흡입 연결구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닥트와 연결관 및 그릴을 볼트로 고정하고, 이음관을 고정 밴드와 볼트를 이용하여 닥트 및 천정 마감재에 고정시킴으로써 연장관의 이음부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구브러지거나 비틀려 환풍 순환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축, 천정, 환풍, 닥트, 설치

Description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DUCT EQUIPMENT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건축 환풍순환시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닥트 120 : 연결관
130 : 그릴 140 : 높이 조정 볼트
150 : 고정 밴드
본 발명은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닥트와 연결관 및 그릴을 볼트로 고정하고, 이음관을 고정 밴드와 볼트를 이용하여 닥트 및 천정 마감재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지붕 상부 위치에 설치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와, 먼지 및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쾌적하게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환풍순환시설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환풍순환시설(10)은 실외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도록 실내와 실외를 연통하는 급기 닥트(11)와, 급기 닥트(11)에 연결되어 외기를 흡기하여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구(13)와, 상기 흡입되는 외기가 실내에 순환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실내와 실외를 연통하는 흡기 닥트(15)와, 흡기 닥트(15)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흡기구(17)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급기 닥트(11) 및 흡기 닥트(15)와 급기구(13) 및 흡기구(17)는 각각 연장관(19)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환풍순환시설은 연장관이 단순히 볼트나 밴드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연장관과 연결된 이음부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구브러지거나 비틀려 환풍 순환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닥트와 연결관 및 그릴을 볼트로 고정하고, 이음관을 고정 밴드와 볼트를 이용하여 닥트 및 천정 마감재에 고정시킴으로써 연장관의 이음부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구브러지거나 비틀려 환풍 순환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체결판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흡입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연결구와 대응되는 내측 상면에 볼트 체결대가 형성되어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는 닥트와;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천정 마감재에 고정되도록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닥트의 흡입 연결구와 상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되는 연결관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의 플렌지에 설치되는 그릴과; 상기 그릴의 볼트홀을 통해 상기 그릴 및 연결관을 관통하여 상기 닥트의 볼트 체결대에 체결되는 높이 조정 볼트;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닥트의 흡입 연결구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렌지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의 외주연에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에 상기 그릴이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닥트는 상기 흡입 연결구의 외주연에 기억자 형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단 내주연에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체결턱을 상기 흡입 연결구의 체결홈에 삽입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100)는, 닥트(110)와, 연결관(120)과, 그릴(130)과, 높이 조정 볼트(140)와, 고정 밴드(150)로 구성된다.
먼저, 닥트(110)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체결판(111)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흡입 연결구(113)가 형성되며, 흡입 연결구(113)와 대응되는 내측 상면에 볼트 체결대(115)가 형성되어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또한, 닥트(110)는 흡입 연결구(113)의 외주연에 기억자 형태의 체결홈(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120)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천정 마감재(3)에 고정되도록 하단에 플렌지(121)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재(123)가 부착되고, 닥트(110)의 흡입 연 결구(113)와 상단이 결합된다. 여기에서, 플렌지(121)는 내주연에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연결관(120)은 상단 내주연에 닥트(110)의 흡입 연결구(113)에 형성된 체결홈(117)에 체결되는 체결턱(125)이 돌출 형성되며, 체결턱(125)을 흡입 연결구(113)의 체결홈(117)에 삽입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그릴(13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볼트홀(131)이 형성되어 연결관(120)의 플렌지(121)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그릴(130)은 플렌지(121)의 외주연에 나사산(122)과 대응되는 나사홈(133)이 형성되며, 플렌지(121)에 결합된다.
또, 높이 조정 볼트(140)는 그릴(130)의 볼트홀(131)을 통해 그릴(130) 및 연결관(120)을 관통하여 닥트(110)의 볼트 체결대(115)에 체결된다.
한편, 고정 밴드(150)는 연결관(120)과 닥트(110)의 흡입 연결구(113)의 이음부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에 닥트(110)의 체결판(111)을 부착시키는데, 앵커(101)를 통해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에 삽입하여 닥트(110)를 고정시킨다. 이때, 앵커(101)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에 홀을 천공하여 앵커(101)를 삽입한 후 몰탈을 주입하여 앵커(101)를 고정시키거나 볼트 타입의 앵커(101)를 직접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의 홀에 체결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된다.
닥트(110)가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에 고정된 상태에서 닥트(110)의 흡입 연결구(113)에 연결관(120)을 설치한다. 이때, 연결관(120)의 체결턱(125)을 닥트(110)의 흡입 연결구(113)에 형성된 체결홈(117)에 삽입시킨 다음 회전시켜 고정시키고, 이음부에 고정 밴드(150)를 볼트(10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에 천정 마감재(3)를 설치한다.
천정 마감재(3)의 설치가 완료되면, 연결관(120)과 대응되는 위치의 천정 마감재(3)를 그릴(13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천공한 후, 연결관(120)의 플렌지(121)에 볼트(103)를 체결하여 천정 마감재(3)에 고정시킨다. 이때, 연결관(120)이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 마감재(3)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된다.
그런 다음, 그릴(130)에 형성된 나사홈(133)을 플렌지(121)의 나사산(122)에 체결하여 그릴(130)을 플렌지(121)에 결합 고정시킨다.
그리고, 높이 조정 볼트(140)를 그릴(130)의 볼트홀(131)을 통해 그릴(130) 및 연결관(120)을 관통시켜 닥트(110)의 볼트 체결대(115)에 체결시킨다.
따라서, 연결관(120)의 상하단을 닥트(110)와 천정 마감재(3)에 각각 고정시키고, 연결관(120)과 그릴(130)을 체결한 다음, 그릴(130)에 높이 조정 볼트(140)를 관통하여 닥트(110)에 고정시킴으로써 연결관(120)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에 따르면, 닥트와 연결관 및 그릴을 볼트로 고정하고, 이음관을 고정 밴드와 볼트를 이 용하여 닥트 및 천정 마감재에 고정시킴으로써 연장관의 이음부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구브러지거나 비틀려 환풍 순환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체결판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흡입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연결구와 대응되는 내측 상면에 볼트 체결대가 형성되어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는 닥트와;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천정 마감재에 고정되도록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닥트의 흡입 연결구와 상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되는 연결관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의 플렌지에 설치되는 그릴과;
    상기 그릴의 볼트홀을 통해 상기 그릴 및 연결관을 관통하여 상기 닥트의 볼트 체결대에 체결되는 높이 조정 볼트;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닥트의 흡입 연결구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의 외주연에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에 상기 그릴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천정 환풍순환 시설 닥트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닥트는,
    상기 흡입 연결구의 외주연에 기억자 형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단 내주연에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체결턱을 상기 흡입 연결구의 체결홈에 삽입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1020070008647A 2007-01-27 2007-01-27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10070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647A KR100703617B1 (ko) 2007-01-27 2007-01-27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647A KR100703617B1 (ko) 2007-01-27 2007-01-27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617B1 true KR100703617B1 (ko) 2007-04-09

Family

ID=3816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647A KR100703617B1 (ko) 2007-01-27 2007-01-27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25 황의교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342A (en) 1980-10-03 1982-04-15 Misawa Homes Co Ltd Ventilation device
JPH07324465A (ja) * 1994-06-02 1995-12-12 Misawa Homes Co Ltd 建物空調用ダクト構造およびダクト部材
KR20040017015A (ko) * 2002-08-20 2004-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KR200353956Y1 (ko) 2004-03-30 2004-06-23 손복영 천정 매입형 후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342A (en) 1980-10-03 1982-04-15 Misawa Homes Co Ltd Ventilation device
JPH07324465A (ja) * 1994-06-02 1995-12-12 Misawa Homes Co Ltd 建物空調用ダクト構造およびダクト部材
KR20040017015A (ko) * 2002-08-20 2004-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KR200353956Y1 (ko) 2004-03-30 2004-06-23 손복영 천정 매입형 후드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25 황의교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507A (en) Clothes dryer vent
US20100056038A1 (en) Static roof ventilator
KR20100036515A (ko) 실외기용 받침대
US1074591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bridge-free insulation assembly
KR20150005983A (ko)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KR100910615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717426B1 (ko)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KR100703617B1 (ko)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100636633B1 (ko) 건식 입상형 에어덕트의 고정구
JP2010164241A (ja) 住宅換気システム
KR200414327Y1 (ko) 디퓨저
KR200471258Y1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KR20100008096U (ko) 공기 조화 시스템
TWI577945B (zh) 氣流交換裝置
KR20090009663U (ko) 공동주택의 차음천장 시스템
KR100867939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천정용 브래킷
KR100990182B1 (ko) 환기팬 설치 구조 및 그 방법
KR200213982Y1 (ko) 지지대로 설치할 수 있는 분리형 에어컨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KR101355403B1 (ko) 조립식 환풍기 설치장치
KR100641382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외단열구조
KR20110115723A (ko)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US8267759B2 (en) Sub-duct and method of exhausting into a generally vertical main shaft
JP6346744B2 (ja) 目隠し板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