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991A -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991A
KR20190130991A KR1020190140137A KR20190140137A KR20190130991A KR 20190130991 A KR20190130991 A KR 20190130991A KR 1020190140137 A KR1020190140137 A KR 1020190140137A KR 20190140137 A KR20190140137 A KR 20190140137A KR 20190130991 A KR20190130991 A KR 2019013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door air
fixed
center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교
Original Assignee
황의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교 filed Critical 황의교
Priority to KR102019014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991A/ko
Publication of KR2019013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와 냄새 등으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를 시키되, 실내 공기가 오염된 때와 장소에 한해 선택적으로 배기를 함은 물론, 벽이나 창문을 뚫지 않고서도 효율적인 배기가 되도록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내설 고정되는 배기 팬(10)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기 팬을 지지 고정 해주면서 중심으로 바람을 모아 주는 한편, 중심으로 모인 바람을 외부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플렉시블관(5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배기홈(21)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의 집진하우징(20)과, 중심에는 배기구(40)가 삽입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되며, 창틀(80)과 창문(81) 사이에 탈착형으로 고정되어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커버유닛(30) 및 상기 커버유닛(30)의 삽입홈(31)에 끼움 고정되며,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관부(41) 형성되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된 배기구(40)와, 상기 집진하우징의 배기홈(21)과 체결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배기구(40)와 체결 고정되는 플렉시블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Portable Indoor Air Exhaust}
본 발명은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미세먼지와 냄새 등으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를 시키되, 실내 공기가 오염된 때와 장소에 한해 선택적으로 배기를 함은 물론, 벽이나 창문을 뚫지 않고서도 효율적인 배기가 되도록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장치로 공기정화기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방이나 음식점에서는 후드가 설치되어 냄새를 외부로 배기시켜준다.
상기 공기정화기는 고가라는 비용적인 부담과,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후드의 경우 음식물 조리 냄새를 일부 제거할 수는 있으나 실내 전체에 퍼져있는 냄새 및 미세 분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없다.
특히, 냄새가 방방으로 퍼져나갈 경우에는 후드 등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창문을 열어서 환기를 시키는데,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에는 이 또한 여의치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방방마다 미세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환기구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배기를 위한 벽 또는 창문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
1. 특허등록 제10-0703617호(발명의 명칭 : 건축 천정 환풍 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2. 특허등록 제10-0717426호(발명의 명칭 :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3. 특허등록 제10-0983811호(발명의 명칭 :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미세먼지 또는 음식물 조리 냄새가 나는 방으로 이동을 하면서 미세먼지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무엇 보다 벽이나, 창문에 손상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게 배기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S)는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내설 고정되는 배기 팬(10)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기 팬을 지지 고정 해주면서 중심으로 바람을 모아 주는 한편, 중심으로 모인 바람을 외부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플렉시블관(5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배기홈(21)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의 집진하우징(20)과, 중심에는 배기구(40)가 삽입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되며, 창틀(80)과 창문(81) 사이에 탈착형으로 고정되어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커버유닛(30) 및 상기 커버유닛(30)의 삽입홈(31)에 끼움 고정되며,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관부(41) 형성되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된 배기구(40)와, 상기 집진하우징의 배기홈(21)과 체결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배기구(40)와 체결 고정되는 플렉시블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팬(10)의 일측에는 배기 팬(10)의 단계별 회전 속도 조절 및 타이머 기능이 탑재된 조작부(1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30)은 가압에 의해 외형의 변형이 용이한 고탄성 스펀지 또는 스치로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구(40)의 끝단 내측에는 배기되는 바람의 압력에 의해 자유 회전하며, 플렉시블관(50) 내부의 미세 분진 및 냄새의 배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분사팬(60)이 일체형 또는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 팬(10)의 후면에는 입체형의 보호케이스(12)가 구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60)이 하나 이상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최하단에 위치 되는 사물함(60)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7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무실의 칸칸 또는 주택의 방방마다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벽이나 창문을 뚫지 않고서도 실내의 미세 분진 및 냄새를 외부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실내 인테리어 공사 현장에서 소음 및 추위방지를 위해 창문을 닫고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중 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중 커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S)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S)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내설 고정되는 배기 팬(10)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기 팬을 지지 고정 해주면서 중심으로 바람을 모아 주는 한편, 중심으로 모인 바람을 외부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플렉시블관(5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배기홈(21)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의 집진하우징(20)과, 중심에는 배기구(40)가 삽입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되며, 창틀(80)과 창문(81) 사이에 탈착형으로 고정되어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커버유닛(30) 및 상기 커버유닛(30)의 삽입홈(31)에 끼움 고정되며,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관부(41) 형성되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된 배기구(40)와, 상기 집진하우징의 배기홈(21)과 체결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배기구(40)와 체결 고정되는 플렉시블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기 팬(1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내설 고정되며, 배기 팬(10)의 후측 방향에는 배기 팬을 지지 고정해 주면서 바람을 중심으로 모아 주는 집진 하우징(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팬(10)의 일측에는 배기 팬(10)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사용자가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입력한 시간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타이머 기능이 탑재된 조작부(11)가 구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 팬(10)의 후면에는 입체형의 보호케이스(12)가 구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60)이 하나 이상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최하단에 위치 되는 사물함(60)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70)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주변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S)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장자리에 비치하여 물품 보관용 사물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진 하우징(20)은 도시된 바와 같은 다각형의 형상이 될 수도 있고, 선풍기와 같은 원형의 형상이 될 수도 있으나, 배기가 되는 방향의 중심으로 바람이 집진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30)은 가압에 의해 외형의 변형이 용이한 고탄성 스펀지 또는 스치로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구(40)의 끝단 내측에는 배기되는 바람의 압력에 의해 자유 회전하며, 플렉시블관(50) 내부의 미세 분진 및 냄새의 배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분사팬(60)이 일체형 또는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기구는 확관부(41)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유닛(30)의 삽입홈(31)에 끼움고정할 경우 외측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절곡부(42)에 의해 배기되는 바람의 방향을 아래로 하도록 함으로써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분사팬(60)은 배기 팬(10) 작동시 배기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자유회전이 되는 것이며, 회전과정에서 플렉시블관(50) 내부의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하게 됨은 물론, 나아가 실내공기까지 효율적인 외부 배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관(50)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면서 가벼운 것이 보다 효율적이며, 배기 팬(10)의 크기에 따라 관의 지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관(50)을 배기홈(21)과 배기구(40)에 연결을 할 때는 나사에 의한 체결방식 또는 원터치 결합방식 등 간편한 연결 고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S)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여 사무실의 칸칸 및 주택의 방방마다 곧바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운 겨울의 실내 인테리어 공사시 실내 먼지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를 시켜주기 때문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커버유닛(30)은 창틀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이 용이하며, 어느 정도의 가압에는 형상이 변화기 때문에 창문을 일부만 열고 설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 후에는 창틀에서 제거를 하고 창문을 닫아주면 벽을 뚫지 않고서도 원형이 보존된 채로 실내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10: 배기 팬 11: 조작부
20: 집진하우징 21: 배기홈
30: 커버유닛 31: 삽입홈
40: 배기구 41: 확관부
42: 절곡부 50: 플렉시블관
60: 사물함 70: 캐스터

Claims (5)

  1.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내설 고정되는 배기 팬(10);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기 팬을 지지 고정 해주면서 중심으로 바람을 모아 주는 한편, 중심으로 모인 바람을 외부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플렉시블관(5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배기홈(21)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의 집진하우징(20);
    중심에는 배기구(40)가 삽입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되며, 창틀(80)과 창문(81) 사이에 탈착형으로 고정되어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커버유닛(30);
    상기 커버유닛(30)의 삽입홈(31)에 끼움 고정되며,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관부(41) 형성되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된 배기구(40);
    상기 집진하우징의 배기홈(21)과 체결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배기구(40)와 체결 고정되는 플렉시블관(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10)의 일측에는 배기 팬(10)의 단계별 회전 속도 조절 및 타이머 기능이 탑재된 조작부(1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30)은 가압에 의해 외형의 변형이 용이한 고탄성 스펀지 또는 스치로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40)의 끝단 내측에는 배기되는 바람의 압력에 의해 자유 회전하며, 플렉시블관(50) 내부의 미세 분진 및 냄새의 배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분사팬(60)이 일체형 또는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팬(10)의 후면에는 입체형의 보호케이스(12)가 구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60)이 하나 이상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최하단에 위치 되는 사물함(60)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7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KR1020190140137A 2019-11-05 2019-11-05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KR20190130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37A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05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37A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05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91A true KR20190130991A (ko) 2019-11-25

Family

ID=6873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137A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05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30B1 (ko) * 2021-04-02 2022-03-07 남혜경 트레일러형 방송 스튜디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17B1 (ko) 2007-01-27 2007-04-09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100717426B1 (ko) 2007-01-31 2007-05-16 (주)설화엔지니어링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KR100983811B1 (ko) 2009-10-15 2010-09-27 고승대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17B1 (ko) 2007-01-27 2007-04-09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100717426B1 (ko) 2007-01-31 2007-05-16 (주)설화엔지니어링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KR100983811B1 (ko) 2009-10-15 2010-09-27 고승대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30B1 (ko) * 2021-04-02 2022-03-07 남혜경 트레일러형 방송 스튜디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600B1 (en) Ventilation device
US4266528A (en) Ducted/ductless range hood
US3523409A (en) Portable air filter
KR20190130991A (ko)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KR101526136B1 (ko) 에너지 회수형 가역팬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
KR102159103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US10473349B2 (en) Adaptive makeup air system and method for tight enclosures
KR100684696B1 (ko) 레인지 후드의 배기구조
RU13654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481933B2 (ja) 空気調節装置並びにその排気管の開閉弁取付方法
AU2006252127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on
CN211177287U (zh) 一种内窗式高效新风净化换气机
EP1635121B1 (en) Hood ventilation system
JP2000257897A (ja) 室内空調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CN110332644B (zh) 一种厨柜框式新风机
DE102021001694A1 (de) Fenster und Türrahmen Multi-Lüftungssystem
CN207661941U (zh) 一种建筑工程的通风空调安装结构
JP2007205637A (ja) 換気装置
CN203586476U (zh) 通风系统
RU91412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JP2006266659A (ja) テーブル換気扇
JP3799705B2 (ja) レンジフード
JPH0559828A (ja) 清浄空間住宅ユニツト
CN216203637U (zh) 一种室内外气压平衡灶
CN2416174Y (zh) 通风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