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426B1 -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426B1
KR100717426B1 KR1020070010217A KR20070010217A KR100717426B1 KR 100717426 B1 KR100717426 B1 KR 100717426B1 KR 1020070010217 A KR1020070010217 A KR 1020070010217A KR 20070010217 A KR20070010217 A KR 20070010217A KR 100717426 B1 KR100717426 B1 KR 10071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eiling
building
ancho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설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천정 마감재 내에 설치되는 환풍 닥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공동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배기 그릴과; 상기 배기 그릴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는 제 1주름관과; 상기 제 1주름관의 타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고, 상면에 앵커 볼트가 돌출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건축물의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기가 결합되는 진동 흡수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타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는 제 2주름관과; 일단이 상기 제 2주름관과 수평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천정과 수직 연결되도록 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부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되는 환풍 닥트; 및 상기 환풍 닥트의 플렌지에 결합되는 흡기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송풍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건축, 천정, 환풍, 닥트, 진동, 흡수

Description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DUCT EQUIPMENT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환풍 시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배기 그릴 120 : 제 1주름관
130 : 송풍기 140 : 제 2주름관
150 : 진동 흡수장치 160 : 환풍 닥트
170 : 흡기 그릴
본 발명은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송풍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송풍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천정 마감재 상부 위치에 설치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와, 먼지 및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쾌적하게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환풍시설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환풍시설(10)은 실내 오염 공기를 공동구(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실내와 실외를 연통하는 환풍 닥트(13)와, 환풍 닥트(13) 상에 설치되어 실내 오염 공기를 공동구(11)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기(15)와, 환풍 닥트(13)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흡기 그릴(17)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9는 환풍 닥트(13)와 공동구(11)를 연결하는 배기 그릴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풍순환시설은 환풍 닥트가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앵커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송풍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이 환풍 닥트를 진동시켜 환풍 닥트의 진동시 발생하는 진동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송풍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건축물의 천정 마감재 내에 설치되는 환풍 닥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공동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배기 그릴과; 상기 배기 그릴과 일 측이 수평 연결되는 제 1주름관과; 상기 제 1주름관의 타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고, 상면에 앵커 볼트가 돌출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건축물의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기가 결합되는 진동 흡수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타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는 제 2주름관과; 일단이 상기 제 2주름관과 수평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천정과 수직 연결되도록 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부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되는 환풍 닥트; 및 상기 환풍 닥트의 플렌지에 결합되는 흡기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환풍 닥트는 상기 수평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진동 흡수장치는 내부에 제 1나사홀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고정판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 고정집과; 다단 절곡되고, 중앙부에 상기 앵커 고정집의 제 1나사홀과 대응되도록 제 2나사홀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송풍기의 앵커 볼트가 체결되는 앵커 볼트홀이 형성되는 체결대와; 상기 체결대의 제 2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 고정집의 제 1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대를 앵커 고정집에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체결대의 양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100)는, 배기 그릴(110)과, 제 1주름관(120)과, 송풍기(130)와, 제 2주름관(140)과, 진동 흡수장치(150)와, 환풍 닥트(160)와, 흡기 그릴(170)로 구성된다.
먼저, 배기 그릴(110)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배출하도록 건축물의 공동구(101)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주름관(120)은 진동을 흡수하도록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배기 그릴(110)과 일측이 수평 연결된다.
또한, 송풍기(130)는 제 1주름관(120)의 타측과 일측, 즉 배출측이 수평 연결되고, 상면에 앵커 볼트(131)가 돌출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133)가 설치된다.
또, 진동 흡수장치(150)는 내부에 제 1나사홀(151)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고정판(152)이 돌출 형성되어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03)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 고정집(153)과, 다단 절곡되고, 중앙부에 앵커 고정집(153)의 제 1나사홀(151)과 대응되도록 제 2나사홀(154)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송풍기(130)의 앵커 볼트(131)가 체결되는 앵커 볼트홀(155)이 형성되는 체결대(156)와, 체결대(156)의 제 2나사홀(154)을 관통하여 앵커 고정집(153)의 제 1나사홀(151)에 체결되어 체결대(156)를 앵커 고정집(153)에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157)와, 체결 볼트(157)에 의해 체결대(156)의 양면에 결합되어 송풍기(130)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 스프링(158)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체결 볼트(157)에는 코일 스프링(158)을 받치는 평와셔(159)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주름관(140)은 진동을 흡수하도록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송풍기(130)의 타측, 즉 유입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된다.
그리고, 환풍 닥트(160)는 일단이 제 2주름관(140)과 수평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천정과 수직 연결되도록 수직부(161)와 수평부(163)를 가지며, 수평부(163) 하단에 플렌지(165)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환풍 닥트(160)는 수평부(16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흡음재(167)가 부착된다.
또한, 흡기 그릴(170)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천정 마감재(105)에 위치하고, 환풍 닥트(160)의 플렌지(165)에 볼트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의 설치 과정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03)를 타설시 진동 흡수장치(150)의 앵커 고정집(153)을 설치한 후 양생시켜 앵커 고정집(153)을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03)에 고정시킨다. 이때,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103)를 타설하고 양생 후 별도의 홀을 천공하여 홀에 몰탈을 채우고 앵커 고정집(153)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건축물의 공동구(101)를 형성시에도 배기 그릴(110)이 설치되는 홀을 확보한 상태에서 형성하고, 배기 그릴(11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앵커 고정집(153)과 배기 그릴(110)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송풍기(130)를 진동 흡수장치(150)에 고정시키는데, 앵커 고정집(153)에 체결대(156)를 체결 볼트(157)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송풍기(130)의 앵커 플레이트(133)에 형성된 앵커 볼트(131)를 체결대(156)의 앵커 볼트홀(155)에 삽입하여 너트(107)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송풍기(130)와 배기 그릴(110) 사이에 제 1주름관(120)을 결합 설치하고, 송풍기(130)의 타측에 제 2주름관(140)을 결합 설치한다. 이때, 별도의 밴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이음부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플렌지(165)에 흡기 그릴(170)이 부착된 환풍 닥트(160)의 수직부(161)를 제 2주름관(140)과 연결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송풍기(130)가 동작을 하면, 실내 공기가 흡기 그릴(170)과 환풍 닥트(160)를 통해 제 1주름관(120)으로 유입되고, 제 1주름관(120)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송풍기(130)와 제 2주름관(140)을 통해 배기 그릴(110)로 배출된다.
이때, 송풍기(130)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 흡수장치(150)와 제 1주름관(120) 및 제 2주름관(140)에 의해 흡수되고, 송풍기(130)의 동작음은 환풍 닥트(160)의 흡음재(167)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에 따르면, 송풍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송풍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건축물의 천정 마감재 내에 설치되는 환풍 닥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공동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배기 그릴과;
    상기 배기 그릴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는 제 1주름관과;
    상기 제 1주름관의 타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고, 상면에 앵커 볼트가 돌출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건축물의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기가 결합되는 진동 흡수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타측과 일측이 수평 연결되는 제 2주름관과;
    일단이 상기 제 2주름관과 수평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천정과 수직 연결되도록 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부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되는 환풍 닥트; 및
    상기 환풍 닥트의 플렌지에 결합되는 흡기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닥트는,
    상기 수평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 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장치는,
    내부에 제 1나사홀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고정판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천정 콘크리트 슬래브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 고정집과;
    다단 절곡되고, 중앙부에 상기 앵커 고정집의 제 1나사홀과 대응되도록 제 2나사홀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송풍기의 앵커 볼트가 체결되는 앵커 볼트홀이 형성되는 체결대와;
    상기 체결대의 제 2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 고정집의 제 1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대를 앵커 고정집에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체결대의 양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KR1020070010217A 2007-01-31 2007-01-31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KR10071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17A KR100717426B1 (ko) 2007-01-31 2007-01-31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17A KR100717426B1 (ko) 2007-01-31 2007-01-31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426B1 true KR100717426B1 (ko) 2007-05-16

Family

ID=3827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217A KR100717426B1 (ko) 2007-01-31 2007-01-31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4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44B1 (ko) 2011-02-10 2011-06-03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용 환기 개선 장치
KR20170011085A (ko) 2015-07-21 2017-02-02 김응국 천정형 환풍장치
KR101863346B1 (ko) 2017-09-20 2018-06-0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KR101895435B1 (ko) 2017-08-30 2018-09-05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25 황의교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KR20230119902A (ko) * 2022-02-08 2023-08-16 (주)진성디지털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034A (ja) 1981-11-04 1983-05-11 Hitachi Ltd ダクト用換気扇
JPH02140545A (ja) * 1988-11-22 1990-05-30 Fujita Corp ダクト用換気扇取付工法
JPH05296488A (ja) * 1992-04-13 1993-11-09 Kubota Corp 天井設置型空調機
JPH09159263A (ja) * 1995-12-05 1997-06-2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天吊型空気調和設備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0197133Y1 (ko) 2000-04-26 2000-09-15 박진형 조명 등을 갖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034A (ja) 1981-11-04 1983-05-11 Hitachi Ltd ダクト用換気扇
JPH02140545A (ja) * 1988-11-22 1990-05-30 Fujita Corp ダクト用換気扇取付工法
JPH05296488A (ja) * 1992-04-13 1993-11-09 Kubota Corp 天井設置型空調機
JPH09159263A (ja) * 1995-12-05 1997-06-2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天吊型空気調和設備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0197133Y1 (ko) 2000-04-26 2000-09-15 박진형 조명 등을 갖는 환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44B1 (ko) 2011-02-10 2011-06-03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용 환기 개선 장치
KR20170011085A (ko) 2015-07-21 2017-02-02 김응국 천정형 환풍장치
KR101895435B1 (ko) 2017-08-30 2018-09-05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KR101863346B1 (ko) 2017-09-20 2018-06-0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KR20190130991A (ko) 2019-11-05 2019-11-25 황의교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KR20230119902A (ko) * 2022-02-08 2023-08-16 (주)진성디지털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KR102620666B1 (ko) * 2022-02-08 2024-01-02 (주)진성디지털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426B1 (ko) 건축실내 천정 환풍 닥트 설치구조
US9004995B1 (en) Wall curb for air treatment system
KR101595499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717680B1 (ko) 소음저감형 공기조화기
TW201107685A (en) Ventilation/air-conditioning device
KR100709109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KR102019627B1 (ko) 환풍 장치
KR100972048B1 (ko)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KR100977666B1 (ko) 공기조화용 환기구 고정장치
KR100619632B1 (ko) 터널의 흡음 및 공기정화장치
KR200358678Y1 (ko)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EP2344737A1 (en) A cover unit for controlling noise from engines or the like
JP2011190971A (ja) 換気フード
KR10061585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물
CN209709693U (zh) 一种有源滤波柜
KR200382863Y1 (ko) 공조용 덕트 소음기
KR20120027781A (ko) 소음저감기능을 갖는 급기덕트
KR101355403B1 (ko) 조립식 환풍기 설치장치
KR100954575B1 (ko) 환기시스템용 디퓨져
KR100703617B1 (ko) 건축천정 환풍순환시설 닥트 설치구조
KR101839603B1 (ko) 경사연결장치를 구비하는 디퓨저
JP2003108148A (ja) 発電装置及び発電装置の内部に発生する音の吸音方法
CN209083630U (zh) 一种低噪声壁式轴流风机
KR100940558B1 (ko) 고정압 휀 걸이구
KR100556083B1 (ko)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