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083B1 -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 Google Patents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083B1
KR100556083B1 KR1020050081776A KR20050081776A KR100556083B1 KR 100556083 B1 KR100556083 B1 KR 100556083B1 KR 1020050081776 A KR1020050081776 A KR 1020050081776A KR 20050081776 A KR20050081776 A KR 20050081776A KR 100556083 B1 KR100556083 B1 KR 10055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entilation
inlet
bathroom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8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내에 시설하여 주어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저면과 정면 방향에서 실외로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환기 과정에서도 환기에 가정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기 시설물의 전동 모터 측으로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실내 공기의 접근을 미연에 차단하여 환기 시설물의 수명을 장기간 연장시켜 줄 수 있으며, 천장판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욕실의 공간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에는 벽면에 앙카 볼트를 이용한 고정 설치를 이룰 수 있고, 배풍기와의 연결을 이룰 수 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구와 인접한 양측에는 정면 방향으로 부터 흡기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상부 흡기관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흡기관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면 흡입구 상에는 그릴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접철 개폐 마감구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와 인접한 저면 부위에는 저면 흡입구가 양측에 마련된 하부 흡기관의 중앙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앙카 볼트를 이용한 천장 슬라브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배기 닥트와;
일측에는 상기, 배기 닥트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플랜지 연결이 가능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배풍에 필요한 임펠러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전동 모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상부에는 천장 슬라브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풍기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흡기 닥트,흡기관,배풍기

Description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ventilation facilities of toilet for an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배기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면 2 : 천장 슬라브
3 : 앙카 볼트
10 : 흡기 닥트 11 : 입구
12 : 배기구 13a,13b : 플랜지부
14 : 흡기관 15 : 정면 흡입구
16 : 그릴 17 : 접철 개폐 마감구
18 : 저면 흡입구 19 : 고정 브래킷
20 : 배풍기 21 : 플랜지부
22 : 배풍구 23 : 임펠러
24 : 전동 모터 25 : 연결 고정구
본 발명은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욕실 내에 시설하여 주어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저면과 정면 방향에서 실외로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환기 과정에서도 환기에 가정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기 시설물의 전동 모터 측으로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실내 공기의 접근을 미연에 차단하여 환기 시설물의 수명을 장기간 연장시켜 줄 수 있으며, 천장판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욕실의 공간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쾌적한 외기를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유입 순환시켜 실내 공기 상태를 생활하기 적합하게 하기 위한 환기 시설이 구축 및 설계에 반영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환기 시설의 구축 및 설계 반영은 외기의 유입과 배출을 자연적으로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내부 설계에 반영시키거나 이러한 자연적인 방법으로는 외기 유입과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화장실과 욕실 공간 내에 설치하여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 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팬, 방향 절환 밸브, 후렉시블 호스, 댐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동력을 전달받은 팬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빨아들인 후 방향 절환 밸브와 후렉시블 호스 및 댐퍼를 경유시켜 주배기관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을 말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동력을 이용한 환기 시설은 천장에 팬을 설치하고, 이 팬과 벽면 내에 배설된 주배기관에 부착된 댐퍼 사이에 후렉시블 호스를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 시설은 실사용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팬을 이용한 강제 흡입하여 배기하는 방식으로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일정기간 사용하다보면 팬 내에 설치되어 있던 전동 모터가 습기에 의한 영향으로 고장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강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전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팬을 경유하여 배기되기 때문이다.
둘째, 흡기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그릴부와 흡기를 이루는 전동 모터의 임펠러 사이 간격이 좁아 흡입 과정에서 그릴부와 임펠러에 끼인 미세 먼지에 의해 임펠러의 원활한 회동에 장애를 제공하여 흡입력을 점차적으로 저하시키는 문제점 이 있었다.
셋째, 천장 판넬의 상부에 거치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천장 판넬의 국부적인 처짐 현상을 초래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욕실 내에 시설하여 주어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저면과 정면 방향에서 실외로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환기 과정에서도 환기에 가정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기 시설물의 전동 모터 측으로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실내 공기의 접근을 미연에 차단하여 환기 시설물의 수명을 장기간 연장시켜 줄 수 있으며, 천장판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욕실의 공간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에는 벽면에 앙카 볼트를 이용한 고정 설치를 이룰 수 있고, 배풍기와의 연결을 이룰 수 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구와 인접한 양측에는 정면 방향으로 부터 흡기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상부 흡기관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흡기관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면 흡입구 상에는 그릴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접철 개폐 마감구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와 인접한 저면 부위에는 저면 흡입구가 양측에 마련된 하부 흡기관의 중앙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앙카 볼트를 이용한 천장 슬라브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배기 닥트와;
일측에는 상기, 배기 닥트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플랜지 연결이 가능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배풍에 필요한 임펠러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전동 모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상부에는 천장 슬라브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풍기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와 배기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에는 벽면(1)에 앙카 볼트(3)를 이용한 고정 설치를 이룰 수 있고, 배풍기(30)와의 연결을 이룰 수 있는 플랜지부(13a),(13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구(12)와 인접한 양측에는 정면 방향으로 부터 흡기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상부 흡기관(14)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흡기관(14)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면 흡입구(15) 상에는 그릴(1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접철 개폐 마감구(17)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11)와 인접한 저면 부위에는 저면 흡입구(18)가 양측에 마련된 하부 흡기관(19)의 중앙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앙카 볼트(2)를 이용한 천장 슬라브(2)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19)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배기 닥트(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닥트(10)의 입구(11)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3a)에는 내측에는 배풍에 필요한 임펠러(2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전동 모터(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상부에는 천장 슬라브(2)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구(25)가 형성되어 있는 배풍기(20)가 일측에 위치한 배풍구(22)의 플랜지부(21)를 접하여 볼트와 너트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배기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먼저, 상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조립 시공 방법과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 시공시에는 먼저, 하부 흡기관(19)을 실내 상부에 정위치 시킨 후 양측에 벽면(1)과 접하게 되는 플랜지부에 앙카 볼트를 박아 연결 고정하면 된다.
뒤이어 벽면(1) 상부에 형성된 구멍(4) 부위에 배기 닥트(10)의 배기구(12)를 정 위치시킨 후 이 배기구(12) 주변에 형성된 플랜지부(13b)에 앙카 볼트(2)를 박아 벽면(1)과의 연결 고정을 이룸과 동시에 천장 슬라브와 접하게 위치하는 천장 슬라브 고정 브래킷(20)에도 앙카 볼트(3)를 박아 배기 닥트(10)의 연결 설치를 이루면 된다.
이때 배기 닥트(10)는 입구(11)와 인접한 저면에 뚫린 부위를 하부 흡기관(19)의 중앙 상부에 뚫린 부위에 접하도록 위치 시킨 후 용접 밀봉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천장 슬라브에 연결 설치된 배기 닥트(10)의 입구(11) 주변에 형성되어있는 플랜지부(13b)에 배풍구(22)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21)를 접합 연결함과 동시에 천장 슬라브 벽면과 접하게 위치하는 천장 고정 브래킷(20)에도 앙카 볼트(3)를 박아 배풍기(30)의 연결 설치를 이루고 상기 배기 닥트(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 바닥 고정 브래킷(21)에 천장 마감 판넬(5)을 연결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흡기관(19)의 양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면 흡입구(18)와 천장 마감 판넬(5)에 형성되어 있는 그릴(16)이 연통 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되는 본 발명은 실사용시 배풍기(30)로 부터 배기 닥트(10)의 배기구(12)로 전달 배출되는 배풍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양측과 하부에 연결 설치된 상부 흡기관(14)과 하부 흡기관(19)의 내부 공기를 강력히 흡수 배출하게 된다.
즉, 배풍기(20)에 의해 발산되는 배풍은 배기 닥트(10)의 입구(11)와 배기구(12)를 차례로 경유하여 벽면(1) 상부에 형성된 구멍(4)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배출 과정에서 양측에 연결 설치된 상,하부 흡기관(14),(20) 내의 공기를 강력히 흡수하여 이에 형성된 정면 흡입구(15)와 저면 흡입구(18)를 통해 실내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욕실 내의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다양한 방향. 즉, 저면과 정면에서 외부로 신속하게 흡수 배출할 수 있어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 다량 포함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전동 모터(34)가 설치된 배풍기(30) 내로 흡기시켜 배출하지 않고 배풍기(30) 측에서 불어내는 배풍에 의해 흡기 배출시켜 배풍기(30)를 이루는 전동 모터(34)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호간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배기 닥트(10)과 배풍기(30)에는 실내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물. 즉, 천장 슬라브 고정 브래킷(20)와 바닥 고정 브래킷(21)이 수개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고정 시설물 없이도 천장 마감 판넬(5)을 신속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닥트(10)로 부터 양측으로 연장 분기된 흡기관(14)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정면 흡입구(15) 상에는 천장의 일면을 마감할 수 있되, 천장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접철 개폐 마감구(17)가 힌지 연결되어 있어 배풍기(30)의 설치는 물론이고 교환 수리를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천장 마감 판넬(5)의 형성이 가능하여 통상적으로 욕실 내에 마련되게 되는 욕실 수납장(6) 등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욕실의 공간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욕실 내에 시설하여 주어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저면과 정면 방향에서 실외로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환기 과정에서도 환기에 가정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기 시설물의 전동 모터 측으로 수분이 포함된 오염된 실내 공기의 접근을 미연에 차단하여 환기 시설물의 수명을 장기간 연장시켜 줄 수 있으며, 천장판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욕실의 공간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부연 하자면, 본 발명의 기술을 설계 작업에 반영하므로 욕실 내 공기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천장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시공되므로 정밀한 감리 작업을 통해 사용자들의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플랜지부와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 닥트; 및 그릴, 임펠러와 전동 모터가 설치된 배풍기;로 구성되어 욕실 내의 수분이 다량 포함된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는 욕실의 환기 시설에 있어서,
    배기 닥트(10)는 입구(11)와 배기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에는 벽면(1)에 앙카 볼트(3)를 이용한 고정 설치를 이룰 수 있고, 배풍기(30)와의 연결을 이룰 수 있는 플랜지부(13a),(13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구(12)와 인접한 양측에는 정면 방향으로 부터 흡기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상부 흡기관(14)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흡기관(14)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면 흡입구(15) 상에는 그릴(1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접철 개폐 마감구(17)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11)와 인접한 저면 부위에는 저면 흡입구(18)가 양측에 마련된 하부 흡기관(19)의 중앙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앙카 볼트(2)를 이용한 천장 슬라브(2)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19)이 수개 형성되며,
    배풍기(30)는 일측에는 상기, 배기 닥트(10)의 입구(11)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3a)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플랜지 연결이 가능한 플랜지부(31)가 형성되어 있는 배풍구(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배풍에 필요한 임펠러(3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전동 모터(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 상부에는 천장 슬라브(2)와의 연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구(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KR1020050081776A 2005-09-02 2005-09-02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KR10055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776A KR100556083B1 (ko) 2005-09-02 2005-09-02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776A KR100556083B1 (ko) 2005-09-02 2005-09-02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083B1 true KR100556083B1 (ko) 2006-03-10

Family

ID=3717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776A KR100556083B1 (ko) 2005-09-02 2005-09-02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08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3398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압축기/응축기 유닛
KR20080026423A (ko) 조립식 환기장치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KR100605205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4790529B2 (ja) 窓用換気扇装置
KR10061585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물
KR101150513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100556083B1 (ko) 주택용 욕실의 환기시설
JP7412149B2 (ja) 空調制御室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JP4710286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101012282B1 (ko)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된 환기 구조
KR102390500B1 (ko) 댐퍼 일체형 후드 캡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100769300B1 (ko) 주택환기시스템
KR200299883Y1 (ko) 지하 주차장의 환기장치
JP2002286269A (ja) 換気ユニット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200440947Y1 (ko)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20110027213A (ko) 로터리 방식의 건축물 에어 흡, 배기 유닛
JPH0410500Y2 (ko)
JP2000055552A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04301447A (ja) 空調装置
JP2001272074A (ja) 換気装置
KR100621244B1 (ko) 공기청정기
JP3939032B2 (ja) 浴室暖房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