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096U -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8096U KR20100008096U KR2020090001267U KR20090001267U KR20100008096U KR 20100008096 U KR20100008096 U KR 20100008096U KR 2020090001267 U KR2020090001267 U KR 2020090001267U KR 20090001267 U KR20090001267 U KR 20090001267U KR 20100008096 U KR20100008096 U KR 201000080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connection flange
- air conditioning
- conditioning system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구획된 공간 내에 환기된 공기, 온기 또는 냉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풍량분배기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일 측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음디퓨져와;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풍량분배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디퓨져로 이동하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덕트; 그리고 일 측은 상기 연결플랜지 또는 상기 덕트삽입구에 결합되고, 타측은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풍량분배기 또는 상기 소음디퓨져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풍량분배기, 덕트 및 디퓨져의 규격화된 결합구조를 제공하므로, 덕트 설치가 간소화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환기시설, 덕트, 연결구, 가이드팬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구획된 공간 내에 환기된 공기, 온기 또는 냉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도서관 등 대형 건물에는 환기설비가 설치된다. 특히 최근에 공표된 건축물설비기준에 의하면 1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환기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환기설비는 그 양단이 각각 건물의 내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덕트(duct)와 같은 구조물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덕트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로 나누어져, 각각 건물 안팎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설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건물의 슬래브와 천장 사이에 해당하는 설치공간에는 덕트(13,14,15)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3,14,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덕트들은 환기대상공간(방)이 많을수록 많은 개수가 구비되어야 하고, 따라서 배관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덕트의 설치 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 덕트는, 덕트와 덕트의 연결 또는 덕트 단부의 연결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덕트와 덕트 또는 덕트와 디퓨져 등을 압입한 이후에 테이프 등으로 마감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덕트의 환기 성능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달라져 시공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유입된 공기를 각 환기대상 공간으로 분배하는 풍량분배기와 상기 풍량분배기에 결합되는 덕트 및 디퓨져의 안정화되고 규격화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된 연결플랜지, 그리고 상기 유동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플랜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다른 연결플랜지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량분배기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일 측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음디퓨져와;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풍량분배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디퓨져로 이동하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덕트; 그리고 일 측은 상기 연결플랜지 또는 상기 덕트삽입구에 결합되고, 타측은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풍량분배기 또는 상기 소음디퓨져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랜지 내주연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안착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랜지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 내에는 상기 연결플랜지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연결구는, 덕트가 삽입되는 덕트 연결부와; 연결플랜지 또는 덕트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외주면에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며;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연결부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 내주연에는,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는 끼움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는, 상기 챔버본체 양 측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덕트 삽입구 내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 단부에는, 상기 연결플랜지 내측의 안착면 또는 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덕트 연결구를 상기 연결플랜지 또는 상기 덕트 삽입구에 결합시키는 후크가 형성될 수동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 디퓨져는, 상기 유출입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음챔버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지지턱과; 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입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된 연결플랜지, 그리고 상기 유동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플랜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다른 연결플랜지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량분배기와;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풍량분배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덕트와; 일 측은 상기 연결플랜지에 결합되고, 타측은 덕트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풍량분배기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구; 그리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덕트가 결합되는 덕트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결합부와 소정의 각으로 경사져 환기대상공간으로 개방되는 연통관이 형성되는 간이디퓨 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랜지 내주연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안착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랜지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 내에는 상기 연결플랜지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연결구는, 덕트가 삽입되는 덕트 연결부와; 연결플랜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외주면에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며;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연결부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결합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외주면에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며;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결합부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연통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간이디퓨져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걸림턱과; 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연통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 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풍량분배기, 덕트 및 디퓨져의 규격화된 결합구조를 제공하므로, 덕트 설치가 간소화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각 부품이 규격화된 체결방식에 따라 결합되고 시공되므로, 안정적인 공기조화 효과를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연결플랜지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연결플랜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연결구 및 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음디퓨져를 구성하는 챔버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음디퓨져의 덕트삽입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간이디퓨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고, 도 11 및 도 12를 통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각각의 연결플랜지(130)로 분배하는 풍량분배기(100), 상기 풍량분배기(100)로부터 분배된 공기를 환기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덕트(200), 상기 덕트(200)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환기대상공간으로 배출하는 소음디퓨져(400) 및 상기 덕트(200)를 상기 풍량분배기(100)와 상기 소음디퓨져(400)에 결합시키는 덕트연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천정 슬래브(600)와 천정 마감재(7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풍량분배기(100)는 천정슬래브(600)에 고정되고, 상기 소음디퓨져(400)는 천정 마감재(700)에 고정된다.
도 3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풍량분배기(100)에 하나의 덕 트(200)만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제 설치시에는 상기 풍량분배기(100)의 각 연결플랜지(130)에 다수개의 덕트(200)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구성을 살피기로 한다. 상기 풍량분배기는 본 실용신안 출원의 출원인이 2008년 1월 16일자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8-0005060호에 기재된 '덕트연결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량분배기(100)의 골격은 베이스플레이트(110)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나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PC)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다각형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되는 측면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120)은 별개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방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유동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유동공간(S)은 상기 덕트(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다른 덕트(200) 들로 이동하게 되는 일종의 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458)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혹은 압입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측면에는 연결플랜지(130)가 구비된다. 상기 연 결플랜지(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측면을 둘러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30)는 덕트(200)와 상기 유동공간(S) 사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매개체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동공간(S)에는 가이드팬(14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팬(14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공간(S)에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팬(140)은 상기 덕트(20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다른 덕트(200) 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팬(140)은 상기 유동공간(S) 내부에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다수개의 연결플랜지(1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다수개의 연결플랜지(130) 방향으로 각각 공기를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팬(140)은 조절볼트(B)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상기 조절볼트(B)는 상기 가이드팬(140)이 회전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상기 커버의 조절레버(150)에 연결되어 연동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조절볼트(B)를 조작하여 상기 가이드팬(14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팬(140)의 높이는 상기 유동공간(S)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동공간(S)에 유입된 공기가 가이드팬(14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가이드팬(140)에 의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팬(140)의 설치방식은 상기 덕트연결구(300)의 종류에 따 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에는 조절레버(150)가 구비된다(도 1 참조). 상기 조절레버(150)는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조절볼트(B)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조절볼트(B)를 회전시켜 가이드팬(14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플랜지(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측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연결플랜지(130)의 입구를 통해 후술할 덕트연결구(300)가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덕트(200)에는 상기 덕트연결구(300)가 결합되고, 상기 덕트연결구(300)가 상기 연결플랜지(130)에 결합하여 상기 덕트(200)가 상기 연결플랜지(13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플랜지(130)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연결구(300)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32)은 'ㄷ' 형태로 꺾인 안착턱(134)이 상기 연결플랜지(130) 내주연에 돌출됨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랜지(130) 내주연 일부 구간에는 상기 안착턱(134)이 형성되지 않아 후술할 상기 덕트연결구(300)의 후크(3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면(136)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플랜지(130)의 형태는 도 6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랜지(13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내주연을 따 라 안착홈(132)을 형성하는 안착턱(134)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134) 중앙 측면부분이 상기 덕트연결구(300)의 후크(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연결구와 덕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연결구(300)의 일측은 상기 덕트(200)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연결부(310)로 구성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플랜지(130) 또는 후술할 덕트삽입구(420)에 삽입되는 삽입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연결부(310)는 상기 덕트(20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덕트(2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부(310)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200)가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200)는 원형의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덕트연결부(310) 내측면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연결부(310)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320)는 상기 연결플랜지(130)(또는 덕트삽입구(420))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플랜지(130)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20) 측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330)가 형성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안착면(136)에 상기 후크(330)가 안착되어 상기 덕트연결구(300)를 상기 연결플랜지(13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320)가 상기 연결플랜지(130)에 결합되면, 상기 삽입부(320)의 단부 테두리는 전술한 안착홈(132)에 삽입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소음디퓨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음디퓨져(400)는 상기 소음디퓨져(400)와 결합되는 덕트(200)로부터 유입되는 음파 또는 후술할 환기 대상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산란시켜 유출입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음파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디퓨져(400)는 비교적 큰 내부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본체(410)는 횡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횡단면이라 하면, 상기 소음디퓨져(400)가 설치되는 천정면과 평행한 면 방향을 말하고, 종단면이하 하면, 상기 횡단면과 수직인 방향의 면을 말한다.
한편, 상기 챔버본체(410)의 일측에는 덕트(200)가 연결되는 덕트삽입구(420)가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덕트(200)의 단부에는 덕트연결구(300)가 결합되고, 상기 덕트연결구(300)가 상기 덕트삽입구(420)에 결합하여 상기 덕트(200)가 상기 챔버본체(410)에 결합된다.
상기 덕트삽입구(420)는 상기 연결플랜지(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본체(410)의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장방형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삽입구(420) 내측에는 상기 덕트연결구(300)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4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22)은 'ㄷ' 형태로 꺾인 끼움턱(424)이 상기 덕트삽입구(420) 내주연에 돌출됨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구(300) 내주연 일부 구간에는 상기 끼움턱(424)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덕트삽입구(420)의 후크(33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426)가 형성된다.
도 9의 정면도에서 보이듯이, 상기 덕트삽입구(420)에는 상기 안착턱(134)에 대응하는 끼움턱(424)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32)에 대응하는 체결홈(4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플랜지(130)와 덕트삽입구(42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동일한 덕트연결구(300)를 상기 연결플랜지(130) 및 덕트삽입구(4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품간 호완성을 증대시킨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랜지(130)의 크기는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연결플랜지(130)에 맞는 다수개(다양한 크기)의 덕트연결구(300)가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플랜지(130)와 덕트삽입구(420) 내측에는 상기 연결플랜지(130) 및 상기 덕트삽입구(420)를 차폐하는 차단판(미도시)을 형성시켜, 시공시 설치 위치 및 조건에 따라 상기 덕트연결구(300)를 삽입시키는 부분의 상기 연결플랜지(130) 또는 덕트삽입구(420)만 상기 차단판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본체(410) 하부에는 상기 챔버본체(410)의 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입관(430)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입관(430)의 단부는 환기 대상공간(방)의 천정 마감재(700)를 관통하는 부분으로 덕트(2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환기 대상공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환기 대상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덕트(200)로 이동하는 이동로가 된다.
상기 유출입관(430)은 다각형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천정마감재(700)의 천공 과정 등을 고려해 볼 때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시공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상기 유출입관(430)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지지플레이트(450)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플레이트(450)는 압입방식으로 상기 유출입관(43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안정정인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출입관(430) 외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턱(44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440)은 상기 천정 마감재(700)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후술할 지지플레이트(450)와 함께 상기 소음디퓨져(400)를 상기 천정 마감재(70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지지턱(44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상기 소음디퓨져(40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유리하다.
한편, 상기 천정 마감재(700)를 관통한 유출입관(430)의 내측면에는 지지플레이트(450)가 천정 마감재(700)의 하면 쪽(환기 대상공간으로 노출된 면)으로부터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4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 마감재(700)의 하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지지대(452)와 상기 지지대(452)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된 원통형의 결합관(4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관(454)의 형태와 크기는 상기 유출입관(4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입관(4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입관(430) 내측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관(454) 외주연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관(454) 내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지지봉(456)에 의해 지지된 체결구(45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458)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조절플레이트(460)를 상기 지지플레이트(450)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50)의 체결구(458)에는 상기 결합관(454)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플레이트(46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460)는 상기 결합관(45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밑판(462)과 상기 밑판(462) 중심부로부터 연장된 체결봉(4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봉(464)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구(458) 내주면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봉(464)이 상기 체결구(458)에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460)가 지지플레이트(4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봉(464)이 상기 체결구(458)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밑판(462)과 상기 지지대(452)의 통공부분과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결합관(454)의 개방정도가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풍량분배기(100)와 상기 풍량분배기(100)의 연결플랜지(130)에 삽입되는 덕트연결구(300)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구(300)에 결합되는 덕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200)의 타측에 소음디퓨져(400) 대신에 간이디퓨져(500)가 결합된다.
상기 간이디퓨져(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00)의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원형관 형태의 덕트결합부(510)와 상기 덕트결합부(510)와 연통하여 상기 환기대상공간으로 상기 천정마감재(700)를 관통하는 연통관(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덕트결합부(510) 중심축(X)과 상기 연통관(520)의 중심축(Y)는 소정의 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520)은 상기 소음디퓨져(400)의 상기 유출입관(43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연통관(520)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관(520)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턱(440)에 대응하는 걸림턱(53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30)은 상기 지지턱(4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천정 마감재(700)의 상면에 지지되어 지지플레이트(450)와 함께 상기 간이디퓨져(500)를 상기 천정 마감재(70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천정 마감재(700)를 관통한 연통관(52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450)가 천정 마감재(700)의 하면 쪽(환기 대상공간으로 노출된 면)으로부터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50)의 체결구(458)에는 상기 결합관(454)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플레이트(4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간이디퓨져(500)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450)와 조절플레이트(460)는 상기 소음디퓨져(400)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450)와 조절플레이트(46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덕트 설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연결플랜지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풍량분배기의 연결플랜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연결구 및 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음 디퓨져를 구성하는 챔버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음디퓨져의 덕트삽입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간이 디퓨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풍량분배기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측면판 130 : 연결플랜지
132 : 안착홈 134 : 안착턱
136 : 안착면 140 : 가이드팬
150 : 조절레버 200 : 덕트
300 : 덕트연결구 310 : 덕트연결부
320 : 삽입부 330 : 후크
400 : 소음디퓨져 410 : 챔버본체
420 : 덕트삽입구 422 : 체결홈
424 : 끼움턱 426 : 안착부
430 : 유출입관 440 : 지지턱
450 : 지지플레이트 452 : 지지대
454 : 결합관 456 : 지지봉
458 : 체결구 460 : 조절플레이트
462 : 밑판 464 : 체결봉
500 : 간이디퓨져 510 : 덕트결합부
520 : 연통관 530 : 걸림턱
600 : 천정슬래브 700 : 천정마감재
Claims (19)
- 베이스플레이트와,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된 연결플랜지, 그리고상기 유동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플랜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다른 연결플랜지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량분배기와;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상기 챔버본체 일 측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 그리고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음디퓨져와;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풍량분배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디퓨져로 이동하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덕트; 그리고일 측은 상기 연결플랜지 또는 상기 덕트삽입구에 결합되고, 타측은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풍량분배기 또는 상기 소음디퓨져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플랜지 내주연에는,상기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안착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플랜지 내측면에는,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플랜지 내에는 상기 연결플랜지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연결구는,덕트가 삽입되는 덕트 연결부와;연결플랜지 또는 덕트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상기 덕트 외주면에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며;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연결부와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삽입구 내주연에는,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는 끼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면에는,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삽입구는,상기 챔버본체 양 측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상기 상기 덕트 삽입구 내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삽입부 단부에는,상기 연결플랜지 내측의 안착면 또는 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덕트 연결구를 상기 연결플랜지 또는 상기 덕트 삽입구에 결합시키는 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소음 디퓨져는,상기 유출입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음챔버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지지턱과;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입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베이스플레이트와,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된 연결플랜지, 그리고상기 유동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플랜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다른 연 결플랜지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량분배기와;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풍량분배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덕트와;일 측은 상기 연결플랜지에 결합되고, 타측은 덕트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풍량분배기와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구; 그리고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덕트가 결합되는 덕트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결합부와 소정의 각으로 경사져 환기대상공간으로 개방되는 연통관이 형성되는 간이디퓨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플랜지 내주연에는,상기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안착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플랜지 내측면에는,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플랜지 내에는 상기 연결플랜지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연결구는,덕트가 삽입되는 덕트 연결부와;연결플랜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상기 덕트 외주면에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며;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연결부와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 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 결합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상기 덕트 외주면에 상기 덕트 연결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며;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결합부와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통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간이디퓨져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걸림턱과;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연통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267U KR200459987Y1 (ko) | 2009-02-05 | 2009-02-05 | 공기 조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267U KR200459987Y1 (ko) | 2009-02-05 | 2009-02-05 | 공기 조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096U true KR20100008096U (ko) | 2010-08-13 |
KR200459987Y1 KR200459987Y1 (ko) | 2012-04-27 |
Family
ID=4445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1267U KR200459987Y1 (ko) | 2009-02-05 | 2009-02-05 | 공기 조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98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57868A (zh) * | 2016-03-10 | 2016-07-13 | 于法周 | 一种集成式工业通风过滤装置 |
CN114161899A (zh) * | 2021-12-24 | 2022-03-11 | 芜湖通和汽车管路系统有限公司 | 一种汽车空调管法兰结构 |
IT202100013712A1 (it) * | 2021-05-26 | 2022-11-26 | Valsir S P A A Socio Unico | Unita' di distribuzione, in particolare per la distribuzione d'aria in sistemi di ventilazio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563B1 (ko) * | 2015-10-15 | 2017-10-12 | 이종찬 | 실내 실외 공용 제습기용 하우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3038A (ko) * | 2005-08-23 | 2007-02-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에어크리너와 에어덕트의 연결구조 |
KR100851052B1 (ko) * | 2008-01-16 | 2008-08-12 | 신기만 |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 |
KR20080094760A (ko) * | 2008-10-01 | 2008-10-24 | 신기빈 | 공기조화용 디퓨져 |
-
2009
- 2009-02-05 KR KR2020090001267U patent/KR20045998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57868A (zh) * | 2016-03-10 | 2016-07-13 | 于法周 | 一种集成式工业通风过滤装置 |
IT202100013712A1 (it) * | 2021-05-26 | 2022-11-26 | Valsir S P A A Socio Unico | Unita' di distribuzione, in particolare per la distribuzione d'aria in sistemi di ventilazione |
CN114161899A (zh) * | 2021-12-24 | 2022-03-11 | 芜湖通和汽车管路系统有限公司 | 一种汽车空调管法兰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9987Y1 (ko) | 2012-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41506B2 (en) |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US20080182505A1 (en) | Air diffuser for high velocity hvac systems | |
US20080318515A1 (en) | Ventilation exhaust fan | |
KR100957122B1 (ko) | 환기덕트의 디퓨저 | |
KR200459987Y1 (ko) | 공기 조화 장치 | |
EP3546845A1 (en) | Air diffus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WO2009028826A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0910615B1 (ko) | 공기조화용 디퓨져 | |
KR200414327Y1 (ko) | 디퓨저 | |
KR101882629B1 (ko) |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 |
KR100972048B1 (ko) |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 |
KR100886245B1 (ko) | 디퓨져 조립체 | |
KR20190005597A (ko) |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 |
KR100953903B1 (ko) | 디퓨져 조립체 | |
EP2184556A1 (en) | Ventilation hub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inlets and an outl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947023B1 (ko) | 공기량 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분배 시스템 | |
JP2018091563A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20130003946A (ko) |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 |
KR20110016279A (ko) |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 |
KR200461342Y1 (ko) |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 |
KR100954575B1 (ko) | 환기시스템용 디퓨져 | |
US6666761B2 (en) | Wall-mounted supply-air device | |
KR101560252B1 (ko) | 공기 분배기 | |
KR200429007Y1 (ko) | 공기조화장치 | |
KR101052584B1 (ko) | 소음 디퓨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