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42Y1 -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42Y1
KR200461342Y1 KR2020100012129U KR20100012129U KR200461342Y1 KR 200461342 Y1 KR200461342 Y1 KR 200461342Y1 KR 2020100012129 U KR2020100012129 U KR 2020100012129U KR 20100012129 U KR20100012129 U KR 20100012129U KR 200461342 Y1 KR200461342 Y1 KR 200461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eiling member
diffuser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861U (ko
Inventor
송병진
Original Assignee
송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진 filed Critical 송병진
Priority to KR2020100012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4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실내의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덕트에 연결되어,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장부재에 설치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단면적이 확장형성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고정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턱부의 상측 테두리부를 따라 요홈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원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요홈부 방향으로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지지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턱부의 중앙에서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하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하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개폐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피스, 나사, 볼트 등 별도의 결합구 없이,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본체를 천장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Diffusor with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에 냉?난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천장 내에 설치되는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나 나사 등의 별도의 결합구 없이 천장에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분리가 용이한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창문을 이용한 환기보다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강제 공급하는 기계식 공기분배 시스템이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기계식 공기분배 시스템은 일반적인 외부 공기뿐만 아니라, 겨울에는 온풍, 여름에는 냉풍을 공급하여 실내에서의 생활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등, 수요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유닛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조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천장내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덕트의 주관을 따라 여러 국소부에 형성되는 지관에는 냉난방기류를 실내에 확산공급 또는 공급량 조절을 위한 디퓨져가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장부재에 고정 설치된다.
종래의 디퓨져는 천장부재에 고정되어 덕트와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연결 결합되어 냉?난방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재 및 상기 통기부재 내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확산되게 하는 내부격자와 같은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디퓨져는 건축 현장에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우선 본체를 덕트와 연결되게 한 다음 내부격자가 조립된 상태의 통기부재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디퓨져 설치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종래 디퓨져의 본체와 통기부재에는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결합수단은 나사결합, 본딩결합 또는 걸림부에 의한 삽입결합 등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디퓨져를 한 번 설치한 후, 내부 청소 또는 보수를 위하여 다시 분리시키려고 할 때, 분리가 어렵거나, 분리가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결합부 없이, 분리와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 실내의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덕트에 연결되어,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장부재에 설치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단면적이 확장형성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고정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턱부의 상측 테두리부를 따라 요홈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원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요홈부 방향으로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지지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턱부의 중앙에서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하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하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개폐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그 길이방향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측 테두리에서 그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프레임부와, 그 길이방향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기 요홈부에 위치되는 제 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요홈부에 수용되면서 내측으로 틸팅되어,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부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 2 프레임부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통부의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연에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링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링이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고정홀의 중앙에 구비되되, 연결홀을 형성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홀 내주연과 상기 삽입부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조절부재는, 상기 고정턱부의 상기 고정홀을 하방에서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저를 제공한다.
또한, 일단에 상기 덕트와 삽입 결착되는 덕트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원통부와 삽입 결착되는 본체연결구가 형성되는 연결엘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피스, 나사, 볼트 등 별도의 결합구 없이,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본체를 천장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청소 또는 교체를 할 경우, 고정부재와 나사 결합된 본체를 고정부재에서 회전시켜서 하방으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제 1 프레임부 하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삽입홀을 통과하여 다시 외측으로 벌어질 때, 제 1 프레임부 하단부에 발생되는 반동에 의하여 제 1 프레임부 하단부가 천장부재의 상면을 가격하게 되어, 소리가 발생되므로, 작업자는 고정부재가 천장부재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에 연결엘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고정부재가 천장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고정부재가 천장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본체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개폐 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건물 실내의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덕트(20: 도 2 도시)에 연결되어,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장부재(10: 도 5 도시)의 삽입홀(10a: 도 5 도시)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00), 고정부재(300) 및 개폐 조절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원통부(110)와 고정턱부(12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원통부(110)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부는 후술하는 연결엘보(400: 도 2 도시)에 삽입연결되거나, 덕트(20)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120)는 원통부(110)의 하단부에서 외측방으로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하단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그 상측 테두리부를 따라 요홈 형상의 요홈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턱부(120)의 중앙에는 원통부(110)의 하단부와 연통되도록 고정홀(120a: 도 6 도시)이 형성되어, 연결엘보(400)와 원통부(110)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고정홀(120a)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고정홀(120a)을 통하여 원통부(110) 및 연결엘보(400)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300)는 본체(100)를 천장부재(10)의 하측부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개폐 조절부재(200)는 고정턱부(120)의 고정홀(120a)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에 연결엘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건물에 매설된 덕트(20: 도 5 도시)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덕트(20)와 본체(100)의 원통부(110) 사이에는 연결엘보(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엘보(400)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ㄱ" 자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현장 조건에 따라, 일자형, 'U' 자형, 'T' 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엘보(400)의 일측에는 상기 덕트(20)에 연결되는 덕트연결구(4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후술하는 원통부(110)에 연결되는 본체연결구(42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연결구(420)는 원통부(110)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삽입 결합에 의하여 원통부(110)에서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고정부재가 천장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고정부재(300)는 본체(100)를 천장부재(10)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에 삽입 결합 되는 삽입부(305)와, 삽입부(30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부(310)를 포함한다.
삽입부(305)는 상기 본체(100)의 원통부(110)가 관통삽입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305)가 원통부(110)에 삽입 결합되기 위하여, 삽입부(305)의 내주연에는 나사링(307)이 형성되고, 원통부(110)의 외주연에는 나사부(112)가 형성되어, 삽입부(305)가 원통부(110)에 삽입될 때, 삽입부(305)의 나사링(307)이 원통부(110)의 나사부(112)를 타고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된다.
프레임부(310)는 삽입부(305)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프레임부(310)는 삽입부(305)의 하측 테두리에서 요홈부(122) 방향 즉, 대각선 하방으로 점차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부(310)는 그 길이에 따라 제 1 프레임부(311) 및 제 2 프레임부(31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프레임부(311)는 그 길이방향 하단부가 본체(100)의 상측 테두리에서 그 상단에 위치되도록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부(312)는 그 길이방향 하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상기 요홈부(122)에 위치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제 1 프레임부(311)와 제 2 프레임부(31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교차 배열되거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차, 즉, 한 쌍의 제 2 프레임부(312)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제 1 프레임부(311)가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프레임부(311)와 제 2 프레임부(312)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 1, 2 프레임부(311, 312)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틸팅(Tilting)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원통부(110)가 천장부재(10)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턱부(120)가 상기 천장부재(10)의 하측부에 위치되며, 이때, 고정부재(300)의 제 1 프레임부(311)의 길이방향 단부는 요홈부(122)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상기 천장부재(10)의 삽입홀(10a)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부재(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부(312)의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천장부재(10)의 하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300)가 천장부재(10)에 고정된다. 이는 하기 도 5를 통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고정부재가 천장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연결엘보(400)의 본체연결구(420)에 본체(100)의 원통부(110)가 삽입 결합되고, 원통부(110)의 외주연에 고정부재(300)가 삽입 결합되며, 본체(100)의 고정턱부(120)에 후술하는 개폐 조절부재(200)가 삽입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디퓨져가 천장부재(10)에 장착되기 위하여, 천장부재(10)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10a)에 본체(100)의 원통부(110)가 상방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고정부재(300)의 제 1, 2 프레임부(311, 312)가 삽입홀(10a)의 내주연에 강제 압입되면서,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된다. 이때, 제 2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제 1 프레임부(311) 하단부가 먼저 삽입홀(10a)을 통과하여 다시 외측으로 벌어져 천장부재(10)의 상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부(312) 하단부는 삽입홀(10a)을 통과하지 못하고 내측으로 오므려진 상태에서 천장부재(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제 1, 2 프레임부(311, 312)가 삽입홀(10a)에 강제 압입되면서 내측으로 오므려질 때, 고정턱부(120)의 요홈부(122)가 제 1, 2 프레임부(311, 312)의 하단부를 수용하게 되어, 제 1, 2 프레임부(311, 312)가 하측으로 용이하게 오므려지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피스나 나사, 볼트 등 별도의 결합구 없이, 고정부재(300)를 사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본체(100)를 천장부재(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청소 또는 교체를 할 경우, 고정부재(300)와 나사 결합된 본체(100)를 고정부재(300)에서 회전시켜서 하방으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제 1 프레임부(311) 하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삽입홀(10a)을 통과하여 다시 외측으로 벌어질 때, 제 1 프레임부(311) 하단부에 발생되는 반동에 의하여 제 1 프레임부(311) 하단부가 천장부재(10)의 상면을 가격하게 되어, 소리가 발생되는데, 상기 소리에 의하여 작업자는 고정부재(300)가 천장부재(10)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본체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개폐 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턱부(120)는 상기 고정홀(120a)의 중앙에 형성되되, 후술하는 연결봉(220)이 삽입되도록 연결홀(130a)을 구비하는 연결부(130)와, 상기 고정홀(120a) 내주연과 상기 연결부(130)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140)을 포함한다.
개폐 조절부재(200)는 몸체부(210)와 연결봉(220)이 수직으로 연결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고정턱부(120)의 고정홀(120a)을 하방에서 덮을 수 있는 면적의 원 형태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220)은 상기 몸체부(210)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홈(222)이 형성되어, 연결홀(130a)에 나사 결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는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본체(100)가 천장부재(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턱부(120)의 고정홀(120a)을 통하여 원통부(110)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연결홀(130a)에 나사 결합된 연결봉(220)을 일 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개폐 조절부재(200)의 높이를 올리면, 상기 몸체부(210)의 상측면과 고정턱부(120)의 고정홀(120a) 사이의 틈이 좁아지게 되어, 고정홀(120a)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연결홀(130a)에 나사 결합된 연결봉(220)을 타 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개폐 조절부재(200)의 높이를 내리면, 상기 몸체부(210)의 상측면과 고정턱부(120)의 고정홀(120a) 사이의 틈이 넓어지게 되어, 고정홀(120a)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본체 110: 원통부
112: 나사부 120: 고정턱부
120a: 고정홀 122: 요홈부
130: 연결부 130a: 연결홀
140: 연결편 200: 개폐 조절부재
210: 몸체부 220: 연결봉
222: 나사홈 300: 고정부재
305: 삽입부 307: 나사링
310: 프레임부 311: 제 1 프레임부
312: 제 2 프레임부 400: 연결엘보
410: 덕트연결부 420: 본체연결부

Claims (6)

  1. 건물 실내의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덕트에 연결되어,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장부재에 설치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단면적이 확장형성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고정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턱부의 상측 테두리부를 따라 요홈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원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요홈부 방향으로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지지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턱부의 중앙에서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하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하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개폐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
    그 길이방향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측 테두리에서 그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프레임부와, 그 길이방향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기 요홈부에 위치되는 제 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요홈부에 수용되면서 내측으로 틸팅되어,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천장부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 2 프레임부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연에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링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링이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고정홀의 중앙에 구비되되, 연결홀을 형성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홀 내주연과 상기 삽입부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조절부재는, 상기 고정턱부의 상기 고정홀을 하방에서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6.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덕트와 삽입 결착되는 덕트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원통부와 삽입 결착되는 본체연결구가 형성되는 연결엘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KR2020100012129U 2010-11-24 2010-11-24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KR200461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29U KR200461342Y1 (ko) 2010-11-24 2010-11-24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29U KR200461342Y1 (ko) 2010-11-24 2010-11-24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61U KR20120003861U (ko) 2012-06-01
KR200461342Y1 true KR200461342Y1 (ko) 2012-07-06

Family

ID=4661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129U KR200461342Y1 (ko) 2010-11-24 2010-11-24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65B1 (ko) 2020-02-06 2020-12-23 강민구 발향기능을 갖는 건축물 공기 유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283Y1 (ko) 2002-07-19 2002-10-30 서봉석 디퓨져 조립체
KR100767022B1 (ko) 2007-08-29 2007-10-15 삼보설비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용 디퓨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283Y1 (ko) 2002-07-19 2002-10-30 서봉석 디퓨져 조립체
KR100767022B1 (ko) 2007-08-29 2007-10-15 삼보설비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용 디퓨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65B1 (ko) 2020-02-06 2020-12-23 강민구 발향기능을 갖는 건축물 공기 유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61U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3158A (zh) 通风系统及其装配方法
WO2011007541A1 (ja) 換気空調装置
KR100978862B1 (ko)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20080094760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61342Y1 (ko)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KR100963035B1 (ko) 탈착식 디퓨져
KR200471258Y1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US20180003410A1 (en) Hvac base and return air system
KR200459987Y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KR20150103475A (ko) 에어컨의 바람막이
KR101332486B1 (ko)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CN206743705U (zh) 一种空调机组用控制电柜
KR100729801B1 (ko) 바닥용 디퓨져
JP3176500U (ja) 空調吹出口及び省エネ空調システム
JP2009063212A (ja) 空気調和機
KR200446972Y1 (ko) 탈착식 방향 디퓨져
JP2021179262A5 (ko)
CN209893601U (zh) 一种用于中央空调安装的管路吊架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CN206320907U (zh) 空调器室内机
CN210717999U (zh) 灯槽出风口
KR101019646B1 (ko) 원터치 체결방식을 갖는 디퓨져
CN219283599U (zh) 一种新风机排水连接弯头及新风机
KR101157619B1 (ko)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